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의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차세진 ( Se Jin Cha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의 직업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특수학교 초등부 교사 157명, 부모 137명을 대상으로 직업교육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지원체제, 실시체제 등의 직업교육과 관련된 6개 영역에 대하여 중요도와 요구도가 어떠한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중요도에서는 특수학교초등부 교사와 부모 집단간에 목표, 지원체제, 실시체제 부분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학교 초등부 직업교육에 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도에 관한 인식에서는 교사-직업교육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부모-학교ㆍ가정간 연계에 대하여 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초등부 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의 주요 구성요소 및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on vocational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in special school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demand of parents as well as teacher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a survey on the teachers who teach elementary students in the 13 special schools located in Pu-San and Kyung-Nam and the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these schools. The survey covers 6 areas-aim, contents, method, evaluation, support system, practice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with the 11 questions on its importance and 6 questions on demand.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education, the largest difference was found in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its aim, support system and practice system.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n contents, method and evalu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he major issues in these areas was private safety skills, understanding/application of interest, talent, capability of students, experience centered education and observation evaluation. Second, regarding the matters of demand, the largest demand of teachers was about curriculum and program while that of parents was about the tie between school and family. The common demand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as found in the understanding/development of students’ interest, talent and capability, experience centered education and observation evaluation.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모듈형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차세진 ( Cha Se-jin ),황순영 ( Hwang Soon-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균형잡힌 성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모듈형으로 개발하고, 타당도와 양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지적장애학생 요구 조사, 전문가 집단 델파이 조사(2차), 특수교사 양호도 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와 구조 타당도 모두 전체 평균 4.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급내상관계수도 .900(p<.001)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다만, 구조타당도의 켄달계수가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낮은 일치도를 보였다. 양호도는 전체평균 4.45이상이며, 전체 세모듈이 놓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대모듈 4개, 중모듈 7개, 소모듈 14개, 세모듈 29개(신체구조와 기능, 2차 성징(여자, 남자), 신체청결, 속옷청결, 자위, 생리, 공간적/신체적 경계, 신체적/언어적/시각적 성폭력, 데이트 폭력, 성매매, 음란물, 디지털 성범죄, 연인관계 맺기, 데이트 기술, 연인관계 끊기, 자립, 결혼, 가족, 청소년의 성관계와 자기결정, 성관계, 피임, 임신과 태아성장, 출산과 육아, 남녀의 차이와 차별, 성적 다양성)로 구성되었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 또는 부분을 실제 특수교육 장면에 적용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in a modular format to support the balanced sexual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t tri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usability. To this end,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analysis,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needs survey, expert group Delphi survey (2nd round), and special teacher usability survey were sequentially conducted. As a result, both the content validity and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program were above 4.60 points on the overall average. The Intracorrelation coefficient also showed high reliability with over .900(p<.001). However, the Kendall coefficient of structural validity did not secure statistical significance or showed low concordance. The usability is above the overall average of 4.45 points. And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three modules. The program finally developed was 4 large modules, 7 medium modules, 14 small modules, and 29 small modules: physical structure and function, secondary sex characteristics (female, male), body cleanliness, underwear cleanliness, masturbation, menstruation. spatial boundaries, physical boundaries, physical/verbal/visual sexual violence, dating violence, prostitution, pornography, digital sexual crime, forming a romantic relationship, dating skills, breaking off a romantic relationship, self-reliance, marriage, family, sexual relations and self-determination of adolescents, sexual relations, contraception, pregnancy and fetal growth, childbirth and care, gender differences and sexual discrimination and sexual diversity. Finally,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that applies all or part of this program to the actual special education scene.

      • KCI등재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장애인평생학교 교육과정 구성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차세진(Cha, Se-jin),황순영(Hwang, Soon-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장애인평생학교에서 5년간 특수교사로 근무하며 겪은 교육과정 구성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의 방식으로 탐색한 것이다. 연구자 경험의 탐색은 발달장애인 법 제정으로 인해 장애성인 평생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 구성을 시도하는 현시점에 중요한 실천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 예상한다. 탐색의 결과 성인으로서 행복과 즐거움을 스스로 찾도록 하는 ‘교양있는 어른 학교의 교양있는 교육과정’, 직업ㆍ성(性)ㆍ생활기술 교육을 통해 현실로 직면한 독립ㆍ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독립된 성인으로서의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과정’, 장애인 중에서도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평생학교의 교육과정’이라는 3가지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제언으로는 장애성인 평생교육 제공인력의 교육과정 구성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연수 및 재교육강화, 장애성인 평생교육에서의 시민참여교육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xperiences conduct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ive years in a lifelong schoo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the autoethnography method. The exploration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practical evidence for construction of a new curriculu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derived Cultured curriculum at liberal adult schools to find happiness and pleasure as adults,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future as an independent adult’ to support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through job, sex, and life skills education, and ‘Lifelong school curriculu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reflects the specific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ould propose training to enhance the creation of a curriculum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vide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activation of a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성·재산 범죄 가해·피해 사례와 지원 -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 경험을 중심으로 -

        황순영(Hwang, Soon-Young),차세진(Cha, Se-J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성·재산 범죄 가해·피해에 대한 사례와 지원 실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P시에 소재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사례관리 담당자 및 경력 10년 이상의 사회복지사 1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FGI를 실시하였다. FGI 자료를 사례와 실태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범죄 사례를 성범죄와 재산범죄로 구분하였다. 성범죄 사례는 중재되지 못하면 사건으로 발전 가능한 습관들, 재피해와 후유증이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발달장애인 성폭력, 스마트폰 기반의 디지털 성범죄, 묵시적 위계가 작용하는 성범죄 등을 주제로 사례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발달장애인의 재산범죄는 피해를 입는 과정에서 범죄를 학습하는 발달장애인, 명의도용과 대출사기에 이용되는 사례, 계약조건의 복잡함으로 핸드폰과 렌탈상품이 빚이 되는 사례 등을 주제로 사례를 도출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성·재산 범죄의 지원 사례를 살펴보았다. 범죄 지원 체제의 미비로 인해 사회복지사의 역량에 따른 지원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사 소진의 문제를 주제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범죄 지원 체제로서 사례관리와 권익옹호가 있으나 아직 현장에서는 혼재되어 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음을 주제로 도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른 발달장애인 성·재산범죄를 예방하기 우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인 스스로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평생교육지원과 발달장애인 범죄 예방을 위한 구체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발달장애인 범죄 실태조사 정례화를 제안하였다. 둘째, 지원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발달장애인 범죄를 주제로 한 전문적학습공동체와, 발달장애인을 위한 개별화된 지원을 위해 긍정적행동지원 등의 행동중심 지원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ases and actual support for sexual and property crimes perpetrated/victimized b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FGI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or 14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well as case management managers at the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P city. FGI data were analyzed by cases and actual conditions. Result: First, Sexual offenses were derived under the theme such as habits that can develop into incidents if not mediated, sexual crim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complex re-injury and after-effects, smartphone-based digital sex crimes, and sexual offenses under the hierarchy. In addition, the property crimes o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erived as theme such a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ho learn crimes in the process of being harmed, cases used for identity theft and loan fraud, and cases where mobile phones and rental products become debt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ontract terms. Second, Due to the inadequacy of the criminal support system, support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and the problem of social worker exhaustion was derived as a topic. In addition, as the crime support system, case management and advocacy exist, but they are still used without distinction in the field, and field-oriented methods are being sought to supplement them. Conclusion: First, lifelong education support was proposed so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improve their self-determination ability and prevent crime. In order to prepare a concrete basis for the prevention of crimes o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also proposed to regularly conduct investigations on crimes o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 the theme of crimes o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support personnel. In addition, for individualize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proposed to prepare action-oriented support measures such as positive behavior support.

      • KCI등재

        장애학생 학부모 상담 지원 방안 탐색

        황순영 ( Hwang Soon Young ),차세진 ( Cha Se Jin ),강승희 ( Kang Seung Hee ),김정은 ( Kim Jung Eun ),정은영 ( Jung Eun Young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 발달과 적응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 상담이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은 장애학생 학부모 22명, 경력 10년 이상의 특수교사 8명, 장학사 등의 관계자 4명 등 총 32명이다. 델파이 조사지는 주요상담자, 상담횟수, 상담형태, 상담방법, 상담내용, 상담자 역량, 상담지원체계 등의 영역에 대한 4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응답은 5점 척도를 적용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왜도, 내용 타당도 비율, 합의도, 수렴도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를 평균값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요 상담자는 ‘학교 이외의 상담전문기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담 횟수는 규정하기 보다 ‘필요시 수시’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상담형태 및 방법으로는 ‘1:1’로 ‘개인상담’하는 것에 의견이 수렴되었다. 주요하게 다룰 상담내용으로는 ‘문제행동 ‘, 상담자의 역량은 ‘교육관련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전문성’이 가장 높았다. 상담지원체계에 대해 ‘온라인 전문가 상담’과 ‘외부전문가 정기 상담 기회 제공’이 두드러졌다.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 학부모 주요 상담자로서의 특수교사 역량 강화. 둘째, 전문가 컨설테이션 활용과 관련 정보 제공 인프라 구축. 셋째, 장애학생 학부모 상담의 운영 체계 정립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effectively provide parent counseling services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and adap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team conducted a two-round Delphi study. The panel of expert participants includes 22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4 other related professionals (e.g., superintendents). The initial Delphi survey was comprised of 40 predebriefing statements relating to the implementation of parent counseling in seven areas, such as main providers, frequency of sessions, formats, approaches, topics, proficiency, and counseling support systems. Expert panelists used the five-point Likert scale to indicate agreement with each statement. Each statement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y mean rank with standard deviation, skewness, content validity ratio, degree of agreement, and degree of convergenc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mean score of each statement, panel participants agreed that parents should be provided counseling by a specialized counselor outside of the school system, at any time the parents need it. They agreed that the one-on-one counseling format would be the most effective. The panelists identified the necessity of parent counseling services for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as the primary topic of concern. The panelists agreed that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counselors is the ability to answer parents’ education-related ques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broader system to support local parent counseling, the panelists agreed that national and local public education agencies should facilitate online expert consultation groups, and provide parent counseling sessions on a regular basi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authors discuss strengthening the profici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roviding parent counseling, using outside consultants to support parents and creating an online infrastructure (e.g. information resource center) for parents, and establishing a parent counseling system in local school districts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인식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박희경(Park Hee kyung),박재국(Park Jae kook),황순영(Hwang Soon young),차세진(Cha Se jin),김민경(Kim Min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8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인식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 간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의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인식자료를 활용하였고, Mplus 7.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첫째,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회귀효과가 있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은 이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역시 자기회귀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전 시점의 지역사회인식은 이후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차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 교육에 관한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betwee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community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r 7 years were used in the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community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previous tim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later time, so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was confirmed. Second, community perception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influence community perception at a later time, which also confirmed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Third,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previous time was found to affect the community perception at the later time. Also, the community perception at the previous time influenced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later time, and the autoregressive cross lagged effect was confirmed. Based on this results, the suggestions and discussions on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