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7-19세기 韓 · 中 經學에 나타난 비판의식 연구

        Chin Sung su(陳晟秀)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With the rise of Confucian Classics Studies and Confucian intellectuals, clashes of ideologies with conventional teachings erupted. One of representative clashes include conflict between 禁書(Banned Books) and 異端(Heterodoxies) in China and Korea. This paper reviews critical approaches taken by Confucian Classics scholars between 17th and 19th century focusing on Jeong Yak-yong, Wang Fuzhi, and Dai Zhen. Wang Fuzhi shifted the scholastic focus from conventional scholastic interest in universe and moral principle to Jing Shi Xue(經世學)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moral standards. Such shift to philosophical criticism emphasized practicality and major criticism against conventional system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ai Zhen believed that scholars from Song and Ming dynasties misinterpreted Confucian Classics and caused ideological and national chaos. Dai Zhen wrote 『Mengzi Zi yi shu zheng(孟子字義疏證)』 that archaeologically analyzed concepts presented by Zhu Xi(朱熹), Lu Jiuyuan(陸九淵), Wang Shouren(王守仁 )and reinterpreted concepts of li (理) · qi(氣) · xin(心) · xing(性). Jeong Yak-yong criticized Chu-tzu's emphasis on nurturing the mind rather than actual events which results in distance with reality. Such criticism by Dai Zhen reflects his belief that Neo-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overemphasized the distinction between yi(義) li(利) and wang(王) ba(覇) and was biased towards moral philosophical tradition that only emphasized strict yi-li(義理). Realistic studies of Jeong Yak-yong took archaeological approach to criticize idealistic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and prioritize practical studies with much emphasis on practice. 새로운 경학과 함께 등장한 유교지식인들은 기존 사상과 사상투쟁을 벌이게 된다. 한국과 중국에서 나타난 禁書와 異端논쟁 등이 그 實例이다. 본 연구는 17-19C에 활동한 왕부지 · 대진 · 정약용을 중심으로 한 · 중 경학사에서 유교지식인의 비판의식을 검토했다. 왕부지는 기존의 우주본체와 도덕원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經世學으로 전환하고, 制度와 禮制論의 관점에서 도덕규범의 함의를 분석한다. 이러한 철학적 문제의식의 전환은 그의 새로운 경학을 통해 현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성이 강조되었으며, 정치 · 경제적으로는 제도에 대한 강한 비판의식으로 전개된다. 대진은 宋 · 明代유학자들이 儒家經典을 왜곡시켜 사상적 · 국가적 혼란을 초래했다고 보았다. 대진은 朱熹와 陸九淵, 王守仁등이 사용한 개념을 고증학적으로 분석한 『孟子字義疏證』을 저술하여 理 · 氣 · 心 · 性개념을 새롭게 해석한다. 정약용은 조선의 주자학에 대해 '실제 일이 아닌 마음을 다스리는 養心에 힘쓴 결과 결국 실제 일과 관련 없는 것이 되었다'고 비판한다. 다산의 비판은 조선 성리학이 義利와 王覇에 대한 구별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엄격한 義理만을 중시하는 道學的전통에 치우쳤음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정약용의 실학적 경학은 성리학적 관념성을 비판하기 위해 고증적 태도를 취한 점과 '실천' 중심의 실용학문을 추구한 것이 특징이다.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자녀교육

        진성수(Chin, Sung-su)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0

        한국 학부모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사교육 문제이다. 그러나 사교육문제가 좀 더 복잡한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엄청난 사교육비를 들여 가르친다고 해도 장래에 안정적인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느냐는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둘째, 사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人性을 가진 成人으로 성장하여 건강한 사회인이 될 수 있느냐는 문제 역시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를 다시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지금의 어린 자녀가 머지않은 장래에는 부모와 자녀간의 새로운 관계를 만드는 데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정에서의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개인-가족’ 관계뿐만 아니라 ‘개인-사회’ 관계로 확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자녀교육의 문제는 결코 개별 가정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현대사회에서 자녀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霞谷鄭齊斗의 학문관 및 「名兒說」에 나타난 하곡의 자녀관과 자녀교육의 핵심원리 등을 검토하였다.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은 물론 특히, 최근 중요시 되고 있는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역할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名兒說」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하곡학의 교육적 가치와 현대적 의의를 생각해 보았다. One of the biggest concerns of South Korean parents is the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The greater complexity of private education problems is, however, due to two reasons. First, stable work life in the future cannot be assured even if a great amount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is spent. Second, whether private education will make children grow into healthy society members with desirable personality cannot be confirmed, either. Such issues, however, need to be seriously taken into consideration again. The reason is that today’s young children will be acting as a decisive factor for making new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t home can be extended to the relationships not only between ‘individual-family’ but also ‘individual-society’. Accordingly, children education problem is not limited to an individual family but it can be a problem for society as a whole.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children education in modern society and reviewed Hagok Jeong Je-du’s view of children and the key principles of children education shown in his view of learning and Myeong-a-seol(名兒說). The educational value and modern significance of Hagok Studies in contemporary society were considered through Myeong-a-seol(名兒說) in which the role of parents for children, especially the role of fathers for sons that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recently is comprehensively discussed.

      • KCI등재

        『사소절(士小節)』의 청소년교육론 연구

        진성수 ( Sung Su Chi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이덕무의 청소년예절교육론의 본질과 원리를 살펴보고, 그의 청소년예절교육론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이덕무의 생애와 『사소절』의 저술동기, 『사소절』의 구성과 내용 등을 살펴보았으며, 『사소절』 「동규」편을 중심으로 청소년예절교육의 3가지 원리를 검토하였다. 이덕무가 활동했던 조선후기는 근대사회로의 전환기였다. 당시는 중인층의 문화운동 전성기였으며, 지식인을 중심으로 역사의식을 새롭게 정립하려던 시기였다. 또한 당시는 기존의 가치관이 약화되고 새로운 질서의식이 싹트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덕무는 신분과 직업에 관계없는 개방적·실용적·맞춤식 교육을 강조하였다. 『사소절』은 조선의 문예부흥기인 영조 51년(1775)에 실학자 이덕무가 지은 생활예절수양서이다. 이덕무는 序文에서 자신의 修身齊家를 위해 『사소절』을 저술했다고 말했다. 전체내용은 ``남자들의 예법``을 다룬 「士典」과 ``여자들의 예절``을 다룬 「婦儀」, ``청소년들의 생활규범``을 다루고 있는 「童規」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작은 예절을 지켜서 허물을 적게 하면 大義에 나아갈 수 있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덕무가 강조한 청소년예절교육의 원리를 ``조기교육의 원리``, ``생활교육의 원리``, ``가치교육의 원리``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In this paper, observed the essence and the principles of youth etiquette education theory of Lee, Duk-mu(李德懋), and investigated how to apply his theory in today. Therefore examined the Lee, Duk-mu`s life, writing motivation of 『Sa So Jeol(士小節)』, composition and contents of 『Sa So Jeol』, also investigated three principles and contents of 「Dong Kyu(童規)」 that the chapter of 『Sa So Jeol』. 『Sa So Jeol』 is the life etiquette training book written by Lee, Duk-mu in 1775, in the Renaissance of the Joseon Dynasty. In 『Sa So Jeol』`s introduction, Lee said he wrote this book for ``self-training and regulating the family(修身齊家)``. This book includes 「Sa Jeon(士典)」 for men`s etiquette, 「Bu Ui(婦儀)」 for women`s etiquette, 「Dong Kyu(童規)」 for youth life pattern etc., which contains the purpose of ``keep small etiquette could get the great cause``.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principles of youth etiquette education by ``principles of early educaion``, ``principles of life education``, ``principles of value education``.

      • KCI등재

        우계 성혼의 가정교육

        진성수 ( Chin Sung-s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은 우계 성혼의 성장과정과 가학(家學)으로 전해진 도학(道學)의 계승, 생사를 기약할 수 없는 상황에서 유언으로 쓴 편지에 나타난 우계의 가정교육을 검토한 것이다. 부모의 심리적 태도가 자녀의 도덕성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연구에서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가정교육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밝혀진 후, 아버지의 역할은 ‘가정의 경제적 책임자’에서 ‘자녀의 능동적 양육자’로 변하고 있다. 자녀의 행동을 ‘따뜻하게 격려하고 적절하게 조절하며 미래지향적으로 훈계하는’ 아버지의 역할은 한국사회의 가정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성혼 우계가 자녀에게 남긴 20편의 편지는 오늘날 매우 의미있는 자료이다. 유언 형식으로 작성한 우계의 편지로 본 가정교육의 내용은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검소한 생활 강조이다. 우계는 자신의 장례와 아들의 혼례를 간소하게 할 것을 당부한다. 둘째, 가학으로서 도학의 계승이다. 우계는 부친의 가르침과 문헌(文獻)의 유풍(遺風)이 후손에게 전해지도록 가르치고 있다. 셋째, 자녀 개인별 격려와 훈계이다. 우계는 자녀들의 상황과 조건에 따라 맞춤식 훈계와 당부를 하고 있다. 넷째, 사대부로서 우국애민 실천이다. 우계는 치국(治國)의 책임을 진 사대부로서 국가의 장래와 백성의 안녕을 걱정하며 애민(愛民)을 강조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Ugyae Seong-hon’s upbringing at home reflected in his letter of will which he wrote in the face of life and death and unclear succession of the moral philosophy which was his familial doctrine. It is a widely known fact that parent’s emotional attitude has direct impact on shaping children’s morality. After a recent research found that the father’s rearing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at home, the role of father is changing from ‘economic breadwinner of family’ to ‘active caretaker of child’. The new role of the father being ‘warmly encouraging, appropriately controlling and practicing future-oriented discipline’ of the child’s behavior can address the problem of household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n this regard, the 20 letters left by Ugyae Seong-hon have great value these days. The content on household education as a letter written in the form of a will can be summarized in four. First, it has an emphasis on frugality. Ugyae requests to hold simple funerals and weddings of his sons. Second, it is the succession of moral philosophy as familial doctrine. Ugyae requests that the teachings of his father and the spirit of the literature be passed down to his descendants. Third, it is encouragement and discipline catered to each individual children. Ugyae encourages customizing disciplin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each child. Fourth, it is the practice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 as a gentry. Ugyae emphasizes the affection towards the people concerned about the future of the nation and the well-being of the people as a gentry who should be responsible for governing of the nation.

      • KCI등재

        유교경전에서 술[酒]의 상징체계 연구

        진성수(Chin, Sung-su)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7

        동양에서 술은 국가적 제사?의식?연회 등의 필수품이었다. 술은 정신을 혼미하게 만들어 신비로운 체험을 하게 해주기도 하지만, 사람들을 기분 좋게 만들어 서로 화합하도록 만드는 중요한 매개물이었다. 따라서 동서양의 고대인들은 술을 신이 내린 축복의 선물로 생각하기도 했다. 음주문화에는 한 나라의 풍토와 민속이라는 문화적?사회적 배경이 짙게 배어있다. 따라서 한 지역의 역사와 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음주문화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은유와 상징은 유교경전에서 뿐만 아니라 동양고전 전반에 나타나는 일종의 문장서술 기법이다. 이 글은 유교경전에 담긴 술에 관한 자료들을 검토하여 중국고대 문명의 片鱗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천인관계로서 ‘敬’, 사회관계로서 ‘禮’, 개인수양으로서 ‘德’에 초점을 두고 술의 3가지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유교경전에 나타난 술[酒]의 상징?은유 체계를 살펴볼 것이다. Alcohol was indispensable in ancestral rites, ceremony, feast in Confucian countries. Drinking was an important social lubricant putting people in good mood as well as giving an individual a mysterious experience of buzz. This is why ancestors of both the East and the West regarded alcohol as blessings of God. Drinking culture heavily reflects on a country’s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Therefore, studying drinking culture as a way to understand a region’s history and thoughts is significant. Metaphors and symbols are popular writing methods widely used in Confucian Scriptures and Oriental Classics.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analyzing parts from Confucian scriptures on alcohol to understand ancient Chinese civiliz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symbol and metaphors of alcohol in three aspects: “respect”(敬) in Heaven-Human relationship, “proprieties”(禮) in social relationship, and “virtue” (德) of self-discipline.

      • KCI등재

        논문(論文) : 왕부지(王夫之) 기철학(氣哲學)의 특징(特徵)에 관한 연구 -성리학(性理學)에서 기철학(氣哲學)으로의 선회(旋回)를 중심으로-

        진성수 ( Sung Su Chi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8 漢文古典硏究 Vol.17 No.1

        왕부지의 氣哲學은 기본적으로 明末·淸初의 시대상황에 대한 비판의식과 경세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즉 明왕조의 멸망 원인을 空疎한 학문풍토로 인한 사상적 혼란 때문이라고 본 왕부지는 보다 구체적으로 현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천을 강조하는 이론체계를 구상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출발한 왕부지의 철학사상은 經學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 과정에서 그는 漢代와 宋代의 학문풍토를 비판하고 張載의 氣哲學을 계승하였다. 왕부지는 張載의 一物兩體說을 계승하여 陰陽이라고 하는 두 가지 운동·변화를 강조하며 陰陽二氣를 상호 대립적인 존재가 아닌 一氣로의 통일을 전제로 한 하나의 본체로 보았다. 또한 왕부지는 一物兩體說을 통해 자신의 철학체계의 골간을 이루었던 기일원론적 역학관을 정립하였다. 즉 氣의 두 가지 존재양태인 陰陽이 『주역』에서는 乾·坤卦가 되어 모든 현상의 두 가지 변화를 상징하게 된다는 것이다. 왕부지 기철학의 특징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정주학의 도덕수양 중심의 학문관 뿐만 아니라, 道家의 虛無說과 佛敎의 寂滅說 등을 부정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는 점이다. 즉 이념적 추상세계로부터 구체적 현상세계로 관심을 전환하여 사대부로서 明왕조의 멸망에 대해 반성하고, 보다 구체적이며 실용적인 학문을 지향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程朱學的 理學體系의 역사적 한계를 인식하고 張載의 氣哲學을 계승하여 氣一元論을 완성했다는 점이다. 즉 漢代·宋代의 철학사조에서 정통 유학의 명맥은 오직 장재의 一物兩體와 易學思想에 있다고 평가하고, 기일원론을 중심으로 유학적 원리를 확고히 세우려고 했던 것이다. 이러한 왕부지의 氣哲學은 도덕수양과 理중심의 程朱學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실천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철학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易學思想을 `理的易學에서 氣的易學으로 旋回`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왕부지의 기철학은 이후 道器一貫으로 집약되어 `천하에는 오직 器뿐이다[天下惟器]`라는 명제로 정립되면서 氣一元論的 특성을 드러내게 된다. 이것은 思想史的으로 볼 때, 淸代 氣學과 實學의 시작을 알리는 중대한 선언이었다. Wang Fu-zhi meant to rehabilitate the learning of Chinese Classics(經學) having its roots in ideology and value of orthodoxy Confucian school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Ming to Qing and his thought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li-centered to qi-centered value system. Wang Fu-zhi criticized the moral cultivation theory of xing li learning and Yang-ming learning and asserted that `acting` should be focused on the moral cultivation and learning. This became a principle moment for him to from xing li learning to qi philosophy. Wang Fuzhi`s criticism was not on xing ji li (Nature is priciple 性卽理), but on logical contradiction of Cheng-Zhu learning`s moral cultivation system. In other words, he pointed out the logical weakness that dualized realm of qi may deteriorate into formalism. On the other hand, his criticism on Yang-ming learning, different from Cheng-Zhu learning`s point of view, is focused on xing ji li itself. This was because of his historical valuation on Yang-ming learning. He laid responsibility on Yang-ming learning, which has similar logics to heretical Daoism·Buddhism, on ideological chaos and the fall of Ming. As mentioned above, Wang Fu-zhi`s criticisms on Cheng-Zhu learning and Yang-ming learning are different in detail. Yet it means the transition of value system from `li`-centered to `qi`-centered. Wang Fu-zhi succeeded and developed Zhang Zai`s qi philosophy, established yi qi (一氣) as a moving noumenon(本體) and completed qi de yi xue (氣的易學) based on qi yi yuan lun (氣一元論). Wang Fu-zhi complemented the logical problems of Zhang Zai`s qi philosophy and established his own qi yi yuan lun. In this process, he completed his view on yi learning which is based on qi yi yuan lun. Wang Fu-zhi asserted that the true essence of the nature and human beings is yi qi(一氣), yin yang er qi(陰陽二氣) filled tai xu(太虛), the principle of the change is mysterious and marvelous so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and the harmonious state of yin yang er qi is tai xu. The reason he analyzed the world focusing on yi qi was that his philosophical interest shifted from abstract to concrete while he was analyzing the cause of the fall of Ming Dynasty. Therefore, he criticized the limits of Cheng-Zhu learning, succeeded qi philosophy of Zhang Zai and completed qi yi yuan lun. As a result, qi characterized his thought on I-Ching. Afterward, based on his view, terms, `dao qi yi guan(道器一貫)` and `tian xia wei qi(天下惟器)` were established.

      • KCI등재

        17-18세기 중국 유교지식인의 기철학(氣哲學)연구

        진성수 ( Sung Su Ch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0 No.-

        본 논문에서는 17-18세기에 활동했던 劉宗周·黃宗羲·王夫之·戴震등을 중심으로 중국 기철학의 내재적 연관성을 검토했다. 이들은 당대 유교지식인으로서 心學·理學·氣學·史學的관점에서 명·청대 학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청대유학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체로 淸朝의 사상통제로 인해 경전에 대한 본질적인 연구보다 字句해석과 註解에 치우친 고증학에 머물렀다고 평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치적인 요인 외에 철학사상 내부에서 그 원인을 찾고자 한다. 근대시기 중국 기철학은 明代心學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여 宋代理學까지 거슬러 올라가 비판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명말.청초시기학문적 반성은 內聖을 목표로 심성수양 위주의 理學과 心學의 한계를 넘어 外王의 문제에 주목하여 마침내 제도개혁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당시 유교지식인들이 修己에만 몰두하는 老·佛을 비판했던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따라서 청대학술에서 가장 주목을 받았던 것이 바로 氣哲學이었다. 기철학은 과연 어떠한 과정에서 형성.발전되었으며, 그 전개양상과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청대 학술이 등장하게 된 사상적 연원과 배경을 살펴보고, 명.청대 기철학의 특징과 내재적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what Liu Zong-zhou(劉宗周), Huang zong-xi(黃宗羲), Wang Fu-zhi(王夫之), and Dai Zhen(戴震) have in common in terms of Qi philosophy. As contemporary Confucian intellectuals, they had major influence on the school of thought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y from xinxue(心學), lixue(理學), qixue(氣學), and historical perspectives. Preliminary studies on Confucianism from the Qing dynasty was merely documental archeology that involved interpretation and explanation about the phrases rather than fundamental study of the bible due to authoritarian control on thoughts. This paper examines philosophical reason other than a political one. Modern chinese Qi philosophy started from criticism of xinxue of the Ming dynasty and lixue of the song period. Especially, academic self-reflection during the end of Ming and beginning of Qing dynasty overcame the limitation of lixue and xinxue centered on Confucian methods of cultivation for the Heart-Mind with a goal of “inner sage(內聖)” and finally tried to reform the measures focusing on the problem of “outer sovereign(外王)”. In this respect, contemporary Confucian intellectuals had may reasons to criticize Tao-Buddhism which concentrated only on “outer sovereign(外王)”. Therefore, it was Qi philosophy that received great attention in academics during the Qing dynasty. How did Qi philosophy come about and how can we characterize each stage of the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behind the thought’s inception and development. The paper also explains philosophical origin and background of the Qing academics and reviews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relation of Qi philosophy of the Ming and Qing dynasty.

      • KCI등재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원규

        진성수 ( Chin Sung-s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9 No.-

        무성서원(武城書院)은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서원이다. 무성서원의 역사는 통일신라 시기 태산(泰山) 군수로 선정(善政)을 베풀었던 최치원(崔致遠)의 생사당(生祠堂)에서 기원하여 조선시대 태산사(泰山祠)로부터 시작한다. 1615년에 건립된 무성서원은 초기부터 일반적인 서원과는 달리 지방관에 의해 향촌의 흥학(興學)과 교화(敎化)를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 하나였던 무성서원은 일찍이 정극인(丁克仁)이 창시한 고현동향약(古縣洞鄕約)이 시행된 곳이었다. 또한 구한말에는 호남 최초의 의병운동인 병오창의(丙午倡義)가 일어났던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무성서원 「원규(院規)」의 저작연대와 작성자는 현재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이이(李珥)의 「은병정사학규(隱屛精舍學規)」와 김원행(金元行)의 「석실서원학규(石室書院學規)」를 종합하여 17개항으로 요약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18세기 말경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원의 성립과정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조선시기 전라우도(全羅右道)의 대표 서원이었던 무성서원의 성립 과정과 강학(講學) 활동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무성서원원지(武城書院院誌』에 들어있는 「원규」 내용을 분석하여 향학(鄕學)의 중심지로서 무성서원의 강학활동과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의의를 재조명하고 향후 보존 및 활용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Museong Seowon(武城書院) is the only seowon(school) in Jeollabuk-do that is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history of the Museong Seowon(武城書院) originates from the shrine of Choi Chi-won(崔致遠), the governor of Taesan county of the Unification Shilla period who is lauded for his wise governance. Museong Seowon’s history starts from Taesansa(泰山寺) during the Joseon Dynasty. Built in 1615, the Museong Seowon, unlike the general seowons, was govern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encouraging academic studies and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In 1868, the Museong Seowon, one of the 47 seowons that was not destroyed by the Heongseon Daewongun’s order to abolish all seowons, was the place where the Gohyundong-Hyangyak(古縣洞鄕約) created by Jeong Geuk-in(丁克仁) was practiced. It is also a historical place where Byung-Oh Changyi(丙午倡義), the first righteous army movement in Honam(湖南), took place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time of work and the author of the Museong Seowon “Educational regulations(院規)” is unknown at present. However, it is combining and summarizing Lee Yi’s The educational regulations of Eunbyeongjeongsa(隱屛精舍學規) and Kim Won-haeng’s The educational regulations of Suk-Sil Seowon(石室書院學規) into 17 sections so the date of the work is presumed to b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seowons and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and teaching activities of the Museong Seowon, the representative seowon of Jeollawoo-do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will examine the teaching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eong Seowon as the center of regional school(鄕學) by studying Educational regulations(院規) original texts of the Museong Seowon,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It will reexamine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useong Seowon and review future conservation and use methods.

      • KCI등재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의 수양론(修養論)연구

        진성수 ( Chin Sung Su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7 No.-

        본 논문은 龜峰 宋翼弼의 수양론을 검토하기 위한 글이다. 개인사적으로 불행한 삶을 살았던 그가 어떻게 자신의 현실적 고난과 좌절을 극복하며 학문세계를 구축했는지, 이 과정에서 眞儒로서의 자세를 잃지 않기 위해 어떻게 자신을 수양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학의 理想과 전통적 선비관을 살펴보고, 조선조 선비들의 眞儒에 대한 논의를 검토했다. 또한 불행한 가족사와 현실적 좌절을 극복하기 위한 구봉 자신의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현실적 고난에 대한 선비의 태도와 내적 승화 과정을 조망해 보았다. 구봉은 불합리한 신분제도와 불공평한 禮制로 인해 자신이 처한 불운한 상황을 詩로 승화시켜 정제된 언어로 내면의 平靜에 도달하고자했다. 이렇게 볼 때, 구봉의 학문에서 禮論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된 것은 불운한 인생을 통해 체험한 사회·제도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이었을 지도 모른다. 또한 儒學의 理想이자 선비가 학문하는 궁극적 목표인 修己治人중 治人이 원천적으로 봉쇄된 상황에서 구봉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을 매우 제한적이었다. 결국 구봉이 선택할수 있는 길은 오로지 은둔으로 안정된 修己의 공간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無慾과 主靜의 수양을 실천하여 君子로서 知足하는 삶을 영위하는 것뿐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Gubong(龜峰) Song Ik-pil(宋翼弼)`s Self-Cultivation Theory. This paper examines how he who lived a miserable life overcame his agony and breakdown in life and established his own field of study and how he self-cultivated himself in order not to lose his attitude as a true scholar. For this purpose, the paper first looked into Confucianism`s idealism and traditional view of scholars and reviewed the Chosun Dynasty scholars` discussion about what it means to be a true scholar(眞儒). Moreover, by exploring Gubong himself``s own efforts to overcome unfortunate family history and real frustration he suffered, the paper presents scholar`s attitude towards realistic hardship and internal sublimation process. Gubong strived to stay calm internally by sublimating his own situation he suffered due to irrational status system and unfair etiquette system by sublimating his poems and thereby reaching internal peace through refined language. In this respect, how etiquette system became an important part of his studies may have been one of the solutions for solving social and systemic contradictions that he experienced in his miserable life. Furthermore, in a situation where ``governing people``(治人) from ``governing people through self-cultivation``(修己治人), which is the ideal (理想) of Confucianism(儒學) and final goal of scholar`s study, is fundamentally blocked, the options that Gubong can choose from was very restricted. The only option Gubong had was to prepare a stable space for self-cultivation by living in seclusion and through this, he practiced self-cultivation of no desire(無慾) and quietness(主靜) and tried to stay content about life(知足).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