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객체 면적중심 기반의 색 추적 시스템 개발

        지유나 ( Yu-na Ji ),강유경 ( Yu-kyung Kang ),이현 ( Hyu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최근 무인로봇 시장이 커지면서 국방관련, 민간, 상업적으로 무인로봇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사람이 직접 접근할 수 없는 재난발생지역, 환경오염지역, 방사능위험지역, 국가 간 분쟁지역 등에 무인항공기나 무인지상로봇을 투입하여 실시간 원격으로 재난피해 정도를 관찰하고 인명구조작업, 생존자 위치파악, 국경지대 순찰 등에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제한적인 환경에서 가지고 있는 부품들이 기능을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때, 하나의 센서 또는 부품을 활용한 위치추적, 원격제어 및 자율주행 등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개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객체의 색을 인식하고 추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거리감지 센서 기반의 색 객체 추적 알고리즘에 비교하여, 면적중심 값의 변화량에 따라 객체추적의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쉽게 객체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스펙트럼 성형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명료도 향상

        지유나(Youna Ji),박영철(Young-cheol Park),황영수(Young-su Hwang)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11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성형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명료도 향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영화, 동영상과 같은 오디오-비주얼 미디어 콘텐츠에서 다이얼로그는 영상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종종 영상내의 효과음, 배경음악 등과 같이 함께 믹싱 된 오디오 성분에 의해 중요한 정보를 지닌 다이얼로그의 명료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어왔다.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용 환경이 다양해지면서 청자의 주변 환경 또한 오디오 볼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의 중요 단서를 담고 있는 사운드트랙의 음성 성분 명료도를 높이고자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먼저 영상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서 음성 존재 확률(Speech Presence Probability)을 이용한 소프트 마스커를 통해 다이얼로그 성분을 검출한다. 추출된 다이얼로그 성분은 스펙트럼 성형 기법을 적용하여 명료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고주파대역의 성분을 증폭시키는 등 음성 신호 스펙트럼의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켰다. 마지막으로 크기 정규화 과정을 통해 프로세스 전과 후의 전체 오디오의 파워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증폭으로 인한 스피커의 오디오 포화(saturation)를 방지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알고리즘이 동일한 오디오 볼륨에서 영상의 명료도를 향상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lligibility enhancement algorithm for multimedia contents using spectral shaping. The dialogue signals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lot of audio-visual media contents such as movie and TV. However, the non-dialogue components as like sound effects and background music often degrade the dialogue clarity.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tries to improves the dialogue clarity of audio soundtracks which contain important cues for the visual scenes. In the proposed method, the dialogue components are first detected by soft masker based on speech presence probability (SPP) which is widely used in speech enhancement field. Then, extracted dialogue signals are applied to the spectral shaping method. It reallocate the spectral-temporal energy of speech to enhanced the intelligibility. The total energy is maintained as unchanged via a loudness normalization process to prevent saturation. The algorithm was evaluated using the modeled and real movie soundtracks and it was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enhances the dialogue clarity while preserving the total audio power.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다이얼로그 명료도 향상 알고리즘

        지유나(Youna Ji ),박영철(Young-cheol Par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6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명료도를 향상시켜 사용자가 주변 환경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볼륨에서 오디오 청취를할 수 있는 다이얼로그 명료도 향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최근 모바일 기기들의 발달로 다양한 환경에서 영화, TV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기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시청자는 주변 환경에 따라 영상의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게 되는데 주변 소음에 비하여 과하게 증폭된 볼륨은 주변에 피해를 끼치거나 고막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반대로 주변에 비해 너무 작은 오디오 볼륨은 시청을 어렵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신단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로부터 다이얼로그 성분을 검출하여 음성 명료도 향상 알고리즘을 적용시켜 동일한 볼륨에서도 음성의 명료도를 높이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다이얼로그를 검출하여 단순히 증폭 시키는 기존 기술들과 달리 전체 에너지는 유지하면서 명료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 대역에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에너지 재분배 방식을 이용해 동일한 볼륨에서도 더 높은 음성 명료도를 기대할 수 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명료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대역을 적절히 증폭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The Changing Images of Shakespeare and Writing in Shakespeare in Love (1998)

        Yuri Ji(지유리)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9 셰익스피어 비평 Vol.55 No.2

        As one of the icons of English literature, countless fictional works have been devised around William Shakespeare. Shakespeare is a man with few documentary records and such an incessant desire for a fictional life of Shakespeare might be read as a response to discover the driving imaginative forces that produce a piece of writing, i.e., to find out things or ways that make writing possible. Specifically, this study takes a closer look at one film, Shakespeare in Love (1998), which imaginatively pictures Shakespeare’s writing life in London. By analyzing the images of Shakespeare in this film with its related ideas about writing, we will see how this movie narrates what Shakespeare does to produce a piece of writing and how it, in that process, disseminates the Romantic myth of writing. Writing scenes in the movie first give the impression that writing is an enchanted work, which is aroused by uncontrollable and magical powers like love. However, this movie can lead us to a new idea about writing-a process writing or a process theory of writing-which is, as this paper will eventually argue, a more collaborative and helpful and thus productive way of writing. Introducing this newly emerged approach to writing via Shakespeare, this paper, at the end, pictures new writing scenes and moving images of Shakespeare, which can in the future further help the practice of writing be more approachable.

      • KCI등재

        Sites of Loss and Gain

        Yuri Ji(지유리)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2 셰익스피어 비평 Vol.48 No.1

        이 논문은 셰익스피어 희극의 중요한 요소인 노래에 대한 흔치 않은 연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뜻대로 하세요」에 담긴 노래들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이 논문은 당대 공연 기록이나 자필 원고가 거의 없기 때문에 셰익스피어의 노래가 지닐 수밖에 없는 근원적인 부재의 상황부터 논한다. 이 글은 우선 글로브 극장과 같은 야외극장에서 관객들이 으레 가사를 놓쳐 버리고 그 곡조만 듣게 되는 경향에 대해 밝히고, 악보가 그 어느 곳에도 남아있지 않는 셰익스피어의 노래는 가사를 읽음에도 그 곡조까지는 정확히 알 수 없는 흥미로운 순간임을 고찰한다. 더 나아가 이 글은 한 곡의 노래가 작품에 기여하는 효과나 분위기를 알기 위해, 부재하는 곡조를 재구성하는 다른 학자들과 연출가들의 실증적인 연구는 물론, 우리에게 남겨진 셰익스피어의 노래에 대한 가장 애초의 기억인 이절판 텍스트 읽기를 시도한다. 이절판 텍스트의 노래 부분은 "노래"라는 소제목과 이탤릭체로 쓰여진 가사로 이미 시각적으로도 일반 대사 부분과 차이가 두드러진다. 이는 당시 연극 무대에서 노래가 심입되던 방식을 아는 실마리가 되는데, 당시에 노랫말은 대본에 일일이 기록되지 않고 노래를 부르는 역할을 맡은 배우에게만 따로 제공되었고, 이는 이미 알려진 곡조에 새로운 가사만을 실어 부르던 당시 노래 만들기 풍습이 반영된 결과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절판으로 인쇄되어 우리가 보게 되는 노래 부분은 그렇다면 역설적으로 가장 극명한 공연 순간(노래)의 기록이며, 이절판 텍스트는 "&c."라는 표기로 반복되는 후렴구와 강조되어야할 극의 희극적 분위기를 더욱 더 명확하게 제시한다.「뜻대로 하세요」가 유래된 전원시 장르도 작품 속에 노래를 많이 삽입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은 희극적 효과를 위해 작품 속에 활용되고 있는 노래의 역할에 보다 주목하였다. 이 극에 담긴 음악적 비유들과 악기 소리, 그리고 이 글에서 다루지 못한 나머지 노래들에 관한 연구를 앞으로 기대하며, 이 글은 애초에「뜻대로 하세요」를 희극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출발하였음을 다시 한 번 더 밝힌다.

      • KCI등재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에 적합한 잔여 음악 제거기 기반의 2차 경로 추정 알고리즘

        지유나,이근상,박영철,Ji, Youna,Lee, Keunsang,Park, Youngcheol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5

        본 논문은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위한 능동 소음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피드백 구조의 filtered-x least mean square algorithm(FxLMS) 기반 능동 소음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헤드폰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을 제어한다. 이때 가변적인 2차 경로에 강인하게 대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2차 경로를 추정하는 잔여 음악제거기 기반의 온라인 2차 경로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실험을 통해 2차 경로가 변화하는 환경에서 제안 능동 소음제어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들에 비해 음악 신호의 왜곡 없이 안정적으로 일관성 있는 소음 제어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An active noise control (ANC) algorithm for noise canceling headphone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feedback ANC operated with the filtered-x least mean square algorithm (FxLMS) algorithm is used to attenuate the undesired noise. Also an adaptive residual music canceller (RMC) is proposed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the reference signal of the feedback ANC.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 high quality of music sound can be consistently achieved in a time-varying secondary path situation.

      • KCI등재

        양이형 음성 음질개선 시스템을 위한 온라인 잡음 상관도 추정 알고리즘

        지유나,백용현,박영철,Ji, Youna,Baek, Yong-hyun,Park, Young-cheol 한국음향학회 2016 韓國音響學會誌 Vol.35 No.3

        In this paper, an on-line noise coherence estimation algorithm for binaural speech enhancement system is proposed. A number of noise Power Spectral Density (PSD) estimation algorithms based on the noise coherence between two microphon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speech enhancement performance. In the conventional algorithms, the noise coherence was characterized using a real-valued analytic model. However, unlike the analytic model, the noise coherence between the two microphones is time-varying in real environments. Thus, in this paper, the noise coherence is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the acoustic environment to track the realistic noise coherence. The noise coherence can be updated only during the absence of speech, and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over the conventional algorithms based on the analytic model. 본 논문에서는 양이형 음성 음질개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잡음 상관도 온라인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양이형 시스템에서 공간 상관도(spatial coherence) 정보를 이용해 잡음의 파워 스펙트럼을 추정하거나 음질 개선 이득을 형성하는 기술들이 다수 연구되어 왔다. 이때 잡음 상관도는 통상적으로 수학적으로 모델링된 실수의 고정 값을 사용하여왔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잡음의 상관도는 음향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오차는 음질 개선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잡음의 상관도를 온라인으로 업데이트하여 정확한 잡음 상관도를 추정함으로써 양이형 음질 개선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잡음의 상관도는 음성 부재 구간에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실험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기존의 수학적 모델에 비해 음질 개선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FxLMS를 이용한 단일 센서기반 능동 반향음 제어 시스템

        김재필,지유나,박영철,서영수,Kim, Jaepil,Ji, Youna,Park, Young cheol,Seo, Young soo 한국음향학회 2017 韓國音響學會誌 Vol.36 No.1

        본 논문에서는 FxLMS(Filtered-x 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한 단일 센서 기반의 능동 반향음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먼저 단일 센서 입력 신호로부터 입사음과 반향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신호들을 사용하여 반향음과 반대 위상을 갖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센서 위치에서 반향음과 중첩되어 반향음의 음압을 감소시킨다. 적절한 신호 분리를 위해 반향 음향 경로와 제어 음향 경로가 필요하며 이는 swept sine 신호를 이용해 측정한 음향 응답으로부터 사전에 구할 수 있다.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보드를 사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구현하였으며, 공기 중 음향 덕트 환경에서 1 kHz 버스트 신호에 대해 반향음이 11.6 dB 감소함을 확인 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active acoustic-reflection control algorithm based on a single sensor. The proposed algorithm operates in a system comprising a single sensor located nearby the reflective surface and a control transducer mounted on the reflective surface. First, the incident and reflected acoustic signals are separated from the sensor signal, and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the separated signals. For the signal separation, the proposed algorithm requires the response of the reflection path which is estimated from the acoustic response between an external sound source and the sensor. Finally, the control filter is adjusted using the FxLMS (Filtered-x Least Mean Square) algorith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t was implemented in real time using a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boar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one-dimensional air-acoustic environment show that the reflections of the 1 kHz burst can be reduced by 11.6 dB.

      • KCI등재

        디지털 청진기를 위한 잡음 제거 기술 개발 및 구현

        이근상,지유나,전영택,박영철,Lee, Keunsang,Ji, Youna,Jeon, Youngtaek,Park, Young Chool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3 의공학회지 Vol.34 No.4

        In this paper, an algorithm for suppressing acoustic noises contained in stethoscope sound is proposed and implemented in real-time using an embedded DSP system. Sound collected by stethoscope is down-sampled and band-pass filtered, and later an NLMS adaptive filter is used to cancel the acoustic noise induced from external noise sources. Also, the unpredictable impulsive noises due to fabric friction and instantaneous tapping are detected using the SD-ROM algorithm, and suppressed using an algorithm approximating the morphology filter. The proposed algorithm was tested using signals collected with a digital stethoscope mockup, and implemented on an ARM920T-based DSP system.

      • KCI등재

        비선형 음향 반향 제거를 위한 파티션 블록 주파수 영역 적응 필터링 알고리즘

        이근상,지유나,박영철,Lee, Keunsang,Ji, Youna,Park, Youngcheol 한국음향학회 2015 韓國音響學會誌 Vol.34 No.3

        This paper proposes a robust nonlinear acoustic echo canceller (NAEC) which is effective for modeling the nonlinearity of a speaker module and the long acoustic echo path within a speech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proposed NAEC utilizes a sigmoid pre-processor for modeling the speaker nonlinearity and a partitioned block frequnecy-domain adaptive filter for identifying the acoustic echo path with small delay. Simulation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excellent performance with much lower computational complexity than the previous NAEC. 본 논문은 음성 통신 환경에서 스피커 모듈 비선형 특성 모델링과 긴 음향 반향 경로에서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강인한 비선형 음향 반향 제거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비선형 음향 반향 제거기는 sigmoid 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스피커 모듈의 비선형 특성을 모델링하며, 적은 시간 지연으로 긴 음향 반향 경로를 추정할 수 있도록 파티션 블록 주파수 영역 적응 필터를 사용한다. 실험을 통해 스피커 모듈의 비선형 특성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제안 비선형 음향 반향 제거기는 기존 비선형 음향 반향 제거기에 비해 적은 연산량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