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행환경 만족도 연구

        지우석(Osok Ji),구연숙,좌승희 경기연구원 2008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08 No.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커지면서 이동수단에 대해서도 녹색교통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환경 개선, 자전거도로 개설 등의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연구와 정책 제시도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보행 및 자전거 관련 기반시설이 취약하고 녹색교통수단을 이동수단보다는 레저활동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는 수준이며, 보행환경은 자동차 통행을 위한 도로환경에 비해 분석 기준 및 방법, 평가 기준 등의 개발이 미흡하다. 보행 서비스수준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보행만족도는 기계적 평가에 의해 결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보행의 주체인 사람이 평가 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으므로 보행자의 만족도 평가를 통해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여 향후 보도개선 및 확충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요약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영향력의 파악을 위해 수원시의 구도심에 해당하는 팔달구 지역과 신도심에 해당하는 영통구 지역에 대해 실제 보행자가 느끼는 보행만족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수원시 YMCA 소속 회원으로 구성하였으며, 10여명을 1개조로 편성하여 조별 조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구간은 팔달구 약 6.8㎞(13개 구간)와 영통구 약 7㎞(11개 구간)이며, 각 조사원은 한 구간씩 직접 걸어본 후 해당 구간에 대한 전체적인 보행만족도,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등에 대해 5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간별로 단절구간 수, 수직 경사도 및 수평 경사도, 음영비율, 불법주차차량 대수, 자전거 도로 유무, 인접도로 차로 수, 보도폭 균일 정도, 점자블럭 설치유무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항목과 보행자가 느끼는 전체적 보행만족도, 안전성, 편안함, 쾌적성, 흥미성 등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인접차로의 자동차 통행량은 영통구와 팔달구 지역간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보도의 노후정도, 보도경사, 단절구간, 보도 불법주차, 인접차로 수, 쓰레기, 보도폭의 일관성 부족, 전신주 수, 가로변 주차대수, 보도상 적치물, 유효폭대비 보행량, 대화불편 정도 등의 변수가 보행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도폭, 보행인수, 음영정도, 인접차로 차량속도 등의 변수는 보행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수별 보행환경 만족도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팔달구와 영통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변수들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팔달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던 도로상의 점자블럭은 영통구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타나났으며 가로등의 경우는 반대로 팔달구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연령이나 성별 등 개인적 특성은 두 지역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분산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변수들을 중심으로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을 나타내는 변수들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적 요인으로 주로 물리적 시설설치 방안과 관련이 있는 1차 변수와 보행환경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요인으로 주로 제도적 요인 또는 그간 보행환경 개선과 관련하여 고려가 미흡했던 2차 변수로 구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들을 선정하기 위해 회귀분석에서 Stepwise를 사용하였다. 결론 및 정책건의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을 조사 및 분석하여 보다 나은 보행환경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실질적으로는 보행기초시설이라 할 수 있는 보도의 유무 및 노후정도, 보도의 기울기 등 보행환경과 보행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1차적 요인이 일정수준 만족된 조건에서 2차적으로 보행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보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 보행환경의 현실에서는 1차적 요인들에 대한 영향력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어 1차적 요인들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아직까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역적으로는 신도시라 할 수 있는 영통구에 비해 구도심에 해당하는 팔달구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보행환경의 개선을 위해 제시된 모든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겠지만 재원의 한계, 공간적 한계 등의 문제로 인해 일괄적 개선이 불가능하다면 단계적 시설확충을 통한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보행환경 개선의 단계를 구분하였다. 1차적 요인으로는 보행의 기본적 인프라시설이 포함되는 보행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해줄 수 있는 요인들이며, 2차적 요인으로는 보행의 쾌적성과 관련되는 요인들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1차, 2차 요인을 다시 1차, 2차 개선사항으로 나누었는데, 1차적 개선사항은 주로 물리적 시설개선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2차적 개선사항은 단속 등 제도적 개선내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분에 의해 4단계의 개선 우선순위가 만들어지는데 1단계 개선으로는 보도단절구간, 보도노후도, 보도 수평경사 등이며, 2단계 개선으로 유효폭 대비 보행인수, 가로수 개수이다. 3단계 개선으로는 보도상 오토바이 통행빈도, 보도상 불법주차 빈도 등이며 4단계 개선으로는 인접차로 자동차 통행량, 인접차로 차로수 등이다. Recently a sharp attention on green transportation is increasing as worldwide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is rising. Accordingly various efforts to improve pedestrian street and bike road are actively followed and as the related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In Korea, infrastructure for walking and biking is still insufficient and green transportation is considered as leisure activity rather than a transportation mode. However many cities recently starts various green transportation related plans such as pedestrian environment master plan or bicycle road master plan. Most recently master plan for mobility inferior social groups such as the handicapped, elders, and children becomes a legal plan. However, analysis tools, analysis methods,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pedestrian environment are not satisfactorily developed comparing to those for vehicle road environment. Some studies suggest the measurement of service level of pedestrian environment with similar methodology to determine the vehicle road service level. These efforts however can not suggest satisfactory standard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vehicles. In case of vehicle roads, we can use rather simple indices to decide the service level such as speed, density, or congestion level. In case of pedestrian streets, these indices have certain limits. For instance, some extremely crowded pedestrian streets, like the Insa-dong street in Seoul, service level should be the lowest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used for vehicle roads, which actually satisfaction level of the Insa-dong street should very high. To find cruci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satisfaction level of pedestrian environment, many studies survey the pedestrian passing on the sidewalk. In this study a different survey method is used. A survey team is formed, which is constructed with 100 people from various age spectrum. They are instructed how to survey and what to survey prior to the survey. In order to compare areal differences, 13 blocks from Padal Ku are chosen to survey and 11 blocks are chosen from Yongtong Ku. Paldal Ku is an old town while Youngtong Ku is a new and planned town. Satisfaction level or service level of pedestrian street can not be determined by rather simple and mechanical evaluation tools. This is because we can not disregard the role of pedestrian themselve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for pedestrian, which can be used to enhance pedestrian environment.

      • KCI등재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원인 분석 및 대책

        지우석(Ji Osok)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3

        본 연구는 노인들의 보행 교통안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어린이 교통사고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감소추세에 있지만 아직도 노인교통사고는 줄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 노인 보행교통사고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공단에서 제공한 최근 보행관련 교통사고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노인 보행교통사고의 특성을 이해하고, 추가적으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보행안전을 위협하는 요인과 개선대책을 파악하였다. 연령대별 차대사람 교통사고 자료 분석결과 노인교통사고는 횡단보도나 교차로보다는 횡단보도 부근, 교차로 부근에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보행자 과실 사고는 감소추세인 반면 운전자 과실로 인한 사고는 오히려 증가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령대별 교통사고 발생비율을 살펴보면 'U'자형 분포를 보이고 있어 향후 교통안전개선지점의 우선순위는 12세 이하의 어린이와 65세 이상의 노인연령대의 교통사고 잦은 지점을 통합한 기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된 내용으로써는 노인들은 도로교통안내 표지판을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많은 노인들이 교통정보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이 교통안전상 불안을 느끼는 때는 교차로 횡단 시와 이면도로 보행시로 나타났으며 교통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대상은 보도를 주행하는 오토바이와 보도에 불법 주차된 차량이라고 응답하였다. 교통사고자료와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교차로 및 횡단보도의 시설개선이 시급하며, 운전자를 대상으로 노인 보행특성에 대한 교육의 필요, 노인을 위한 휴게시설의 확충, 보도의 자전거도로 공유 금지, 보행교통사고지도작성 등이 대책으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destrian accidents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the level of elderly pedestrian safety. Although much efforts has made to enhance traffic safety environment,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among elderly population a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is mainly because current traffic safety measures do not mu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destrians in the aspect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Main findings from vehicle-pedestrian traffic accident data and survey are as follows. First elderly pedestrians have high probability of traffic accident near crosswalks or cross streets rather than on crosswalk or cross streets. Second they need more green light time for crossing the streets. Third, they feel motor cycles running on the side walk and parked vehicles on the side walk are the most dangerous factors. Forth, general drivers do not have reasonable understanding for the walking behaviors of elderly pedestrians. Fifth, elderly pedestrians frequently need to rest while walking. Sixth, elderly people do not see clearly or understand traffic signs. Finally, many elderly pedestrians experience accidents or inconvenience while walking on the sidewal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