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등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생활변인차이

        지영주,김보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is increasing worldwide, including Korea, and its importance is being emphasized. Therefore, identifying predictive factors of adolescent obesity is important for preventing obesity and necessary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2014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p = 0.78),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p = 0.50), lunch frequency (p = 0.65), dinner frequency (p = 0.19). There was a difference only in the number of breakfasts (p = 0.0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breakfast should be emphasized and breakfast should be prepared at home, considering that the meaning of breakfast is an important variable in high school students' obesity. 서구문명의 확산으로 비만 청소년이 증가하는 가운데 그 심각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도 비만환자 유병률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아동·청소년기 비만은 후일 성인기 비만, 대사증후군 등 만성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비만을 불러일으키는 많은 변인 중에서 신체활동과 식습관관련 변인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관이 높은 변인들로 규명지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활동과 식습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만군과 정상군의 비교에서 신체활동(p=0.78), 신체활동분류(p=0.50), 점심식사횟수(p=0.65), 저녁식사횟수(p=0.19), 외식횟수(p=0.99)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아침식사횟수(p=0.04)만이 그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비만에 아침 식사횟수는 의미가 중요한 변수임을 감안하여, 아침 식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가정에서도 꼭 아침식사를 준비해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간호대학 3, 4학년생의 핵심기본간호술능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문제해결능력과 일반적 특성을 중심으로

        지영주,김보라,우경미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1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22 No.1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proficienc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se as evidence data for an intervention study to increase the proficienc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4 people in the 3rd and 4th years of the nursing department at a university located in K city. They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fill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provided. The questionnaire includes general characteristics,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oficiency in core basic nursing skil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é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problem-solving ability, the higher the master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roficiency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vid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practi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to continuously improve problem-solving skills from the lower grades.

      • KCI등재

        간호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영향요인: 일개대학

        지영주,김경남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간호대학생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신체활동량에 따른 대학생들의 우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상관성과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K대학교 간호학과 학생들 1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신체활동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는 성별(p=.004), 입학년도(p<.001), 우울(p=.01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비만도(p=.018)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입학년도(β=-0.207), 우울(β=-0.211)이었으며, 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2.0%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입학년도와 우울인 것으로 나타나 간호대학생들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체활동 증진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시 간호대학생들의 입학년도에 따라 차별화하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간호대학생들의 신체활동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self - efficacy, self - esteem, life satisfaction, and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were identifi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44 students of K university nursing students in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 order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using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variables correlating with physical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ender (p=.004), admission year (p<.001), and depression (p=.01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besity (p=.018).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admission year (β=-0.207) and depression (β=-0.211), and explanatory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12.0%.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of nursing students. I would like to develop a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differentiates and reduces depression according to the admission yea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지영주,우경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으로 야기되는 질병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우울은 예방과 조기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이다. 따라서,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이에 대한 중재를 실시하는 것은 추후의 노인관련 문제를 예방하는 시급한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 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고, 65세 이상 노인 1164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SPSS WIN 21.0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우울과 우울관련 변수들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우울과 관련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노인의 우울은 성별(p=0.192, r<0.001), 주관적 건강상태(p=0.382, r<0.001), 식생활 형편(p=0.224, r<0.001), 만성질환 수(p=0.169, r<0.001), 교육(p=-0.137, r<0.001), 소득(p=-0.112, r<0.001), 배우자 유무(p=-0.131, r<0.001), 활동제한 여부(p=-0.261, r<0.001), 하루 평균수면시간(p=-0.164, r<0.001), 평소 스트레스 인지 정도(p=-0.465, r<0.001)와 상관을 보였다.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노인의 우울은 성별, 식생활형편,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제한여주, 하루평균 수면시간, 평소 스트레스 인지정도에 의해 34.6% 설명되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elderly in Korea. In this paper is a secondary analysis using raw data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tudy confirmed that factors affecting of depression among elderly has correlations with gender(p=0.192, r<0.001), health state(p=0.382, r<0.001), economic state of diet(p=0.224, r<0.001), number of chronic diseases(p=0.169, r<0.001), education(p=-0.137, r<0.001), total incom(p=-0.112, r<0.001), Marital status(p=-0.131, r<0.001), Activity limitation(p=-0.261, r<0.001), the average sleep(p=-0.164, r<0.001), stress(p=-0.465, r<0.001). The above mentioned dependent factors were explicable causes of 34.6%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pecific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pression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보건지소ㆍ보건진료소 통합 운영과 보건지소의 기능 확장에 따른 보건지소 최적모형 개발 연구

        지영주,홍현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4

        Consolidated Changwon city is a mega-city which is the combination of Changwon, Masan, Jin-hae and it was the opportunity to bring the change i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Especially, development of the place where health care center was founded is minimized, and because the change in organization of users followed by urbanization, merge of branch office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 and health care center is acutely required. This study was took effect to review the existing health care center's statistics, to have successful combined benchmarking between branch office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 and health care center, and to develop the best form that is structural and can keep pace with change of time in details of business affairs by the ways such as reviewing administrative representative's opinion. As a result of the study we suggest health care center to have partial consolidation and closing by three times of planning in whole four years. For pushing forward community combined health improvement business we also suggest innovation in details of business affairs. 창원, 마산, 진해의 3개 도시가 합쳐진 통합 창원시는 메가시티로, 행정구역과 보건의료의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보건진료소가 설치되었던 지역의 개발은 역할이 축소되었고, 도시화로 인한 사용자들의 구성이 급변함으로 인해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 통·폐합 운영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보건진료소 자료 검토, 성공적 보건지소·보건진료소의 통합 벤치마킹, 행정 책임자들의 의견 검토 등을 통해 구조적이고 업무내용 구성에도 시대적 변화에 발맞출 수 있는 최적 모형개발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대상 보건진료소는 4년간의 3회차 계획에 의해, 부분적 통합과 폐쇄를 제안한다. 또한, 보건진료전담공무원 모두가 보건진료소의 폐쇄를 원치 않고 있으므로 주민의 새로운 건강요구충족을 위한 노력, 건강한 지역 구축을 위한 주민의 참여유도를 위한 노력, 건강에 대한 주민의 관심 유도 노력 등이 필요하며,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정보시스템을 따라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의 추진으로 업무내용의 혁신도 추천하는 바이다.

      • KCI등재

        음주경험과 만성질환

        지영주,김경남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만성적인 음주는 신체건강을 위협하고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으며 과도한 음주는 문제행동을 유발한다. 음주는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 수준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만성질환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평생 음주 경험 유무에 따른 만성질환을 진단 받는 것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평생 음주 경험에 따른 만성질환 진단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연구의 대상 및 자료는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 225,2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 21.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평생 음주 경험 유무에 따른 만성질환 진단 차이는 고혈압(x2=4430.586, p<.001), 당뇨(x2=1186.599, p<.001), 뇌졸중(중풍)(x2=458.784, p<.001), 심근경색증 또는 협심증(x2=541.201, p<.001), 관절염(x2=7748.03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음주를 경험과 만성질환 진단에 대한 통계적인 차이를 반영하여 개인적인 측면 뿐 아니라 정책적으로 음주 관련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High-risk drinking rates of adults in Korea tend to increase, and lifelong drinking is an important action to increase chronic diseases and mortality. Chronic drinking can threaten the health of the body and can lower the quality of life and excessive drinking can induce problematic behaviors Because drinking can increase neutral fat and colesterol values, The overall calorie level absorbed by people who drink alcoholic beverages increases, and the risk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increase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diagnosis of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lifelong drinking experience. The subjects and data of the study were analyzed for the 225,232 members of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For the data analysis, a SPSS WIN 21.0 was used. As a result, the diagnosis of the chronic diseases of high blood pressure(x2=4430.586, p<.001), diabetes(x2 =1186.599, p<.001), stroke(x2=458.784, p<0.001), myocardial infarction or angina pectoris (x2=541.201, p<.001), arthritis(x2=7748.034, p<.001) between the drinking people and non-drinking people in their lif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lcohol related chronic diseases as well as individual aspects, reflecting the statistical difference in experience and diagnosis of chronic diseases something to do.

      • KCI등재

        교수신뢰 프로그램이 학업관련 스트레스, 교수신뢰,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영주,마예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간호학과 1학년 대상으로 교수-학생 친밀감 향상 전략을 이용한 교수신뢰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의 학업관련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교수신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C시 K대학 간호학과 1학년 학생 51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학업스트레스는 Geon, Kim, Lee (2000)이 개발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수신뢰는 Geong, Park (2009)이 개발한 교수신뢰측정도구(PTS), 대학생활적응은 Geong, Park (2009)이 개발한 대학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은 Reivich, Shattee (2003)가 개발하고 Kim (2009)이 수정·보완한 대학생 회복탄력지수(KRQ)를 사용하였다. 연구진행은 ‘교수-학생 친해지기 프로젝트’로 월 1회에 120분씩 2회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 23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 비교는 paired t test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정도는 프로그램 적용 후 유의하게 점수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학생활적응정도를 높이기 위해 적용된 교수신뢰 프로그램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나 교수신뢰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교수신뢰는 학생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및 대학생활부적응을 경험하더라도 교수신뢰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대처, 학업지속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교수-학생간의 신뢰를 높이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fessor 's trust program using the strategy of improving the student-friendliness of the nursing students.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 of student 's academic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professor' s trust. The subjects were 51 first year students in nursing.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PTS, the college adaptation scale, KRQ. The research progress was 'Professor-student friendship project' twice a month for 120 min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 23,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as a percentage and a paired t 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s a result, the academic stresses of the subjects were decreased after the program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fessor trust and resili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program was applied.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or's trust program applied to reduce the academic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increas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a way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to nursing students and freshmen. Even if students experience maladjustment in their college lif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willingness to cope with stres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stud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fessors' confide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efforts to increase the trust between the faculty and students.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영주,김보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is study aims to discover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mong elderly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tendency to activity. For the study, it targeted 1293 elderly persons whose ages were above 65 for a final analysis except data whose physical activities related factors could not be evaluated from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χ2=25.06, p〈.001), Age(t=5.56, p〈.001), City Size(χ2=35.78, p〈.001), Education(t=-7.45, p〈.001), Health condition(t=6.12, p〈.001), EQ-5D(t=-10.08, p〈.001), PHQ-9(t=6.23, p〈.001) and The sum chronic diseases(t=2.51, p=.01)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The above mentioned dependent factors were explicable causes of 15.4%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Significantly predictors are age, education, EQ-5D. The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more factors, ranges and periods are needed.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에서 성실히 답한 자료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129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신체활동 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 중 신체활동군과 비활동군 간의 일반적 특성 및 신체활동 관련 특성에 대한 차이의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과 t-test로 분석하였다. 신체활동 여부에 따라 성별(χ2=25.06, p〈.001), 나이(t=5.56, p〈.001), 도시크기(χ2=35.78, p〈.001), 교육(t=-7.45, p〈.001), 건강상태(t=6.12, p〈.001), 삶의 질(t=-10.08, p〈.001), 우울(t=6.23, p〈.001), 만성질환의 합(t=2.51, p=.01)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들 변수를 이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의 신체활동은 나이, 교육수준, 삶의 질(EQ-5D)에 의해 15.4% 예측되어졌다. 추후 좀 더 다양한 요인과의 분석과 다양한 기간을 두고 분석하는 다면적 연구 및 운동기간과의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활용한 현재음주 여고생의 위험음주 영향요인

        지영주,박영선,배선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3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2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Risky Drinking among Current Drinking High School Girls in Korea. Methods: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of the 17th Adolescent Health Behavior Survey (2022) and selected 1599 high school girls who are currently drinking. Results: A result of the study, the risk drinking influencing factors of current drink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school type, type of residence, first start of drinking, drunk experience (month), ease of purchase of alcoholic beverages, and presence of depression. In particular, ease of purchase of alcohol is a very important factor as it was shown to increase risky drinking by 4.763 times (Exp(β)=0.568, p<.001). Conclusion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composition of the risk drinking intervention program for high school girls who are currently drinking, and the results of future intervention studies are expected.

      • KCI등재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3배체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지영주,장영진 한국패류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8 No.1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sed a cytogenetic analysis of the Pacific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duced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We got a lot of mitotic metaphase chromosome spreads from the triploid and diploid Pacific abalones' hatched larvae (trochophores). The chromosome number of diploid abalone was 2n = 36 and that of triploid abalone was 3n = 54, so the chromosome number of triploid abalone was 1.5 times higher than that of diploid abalone. We developed a modified flow cytometric method for Pacific abalone from the existing methods. We uesd 51 months aged triploid and diploid Pacific abalones' hemolymph to get the DNA contents by flow cytometry. The DNA content of diploid abalone was 1.743 pg/cell and the DNA content of triploid abalone was 1.49 times higher than that of diploid one. It proved that triploid abalone was consisted with two sets of maternal diploid and one set of paternal genome.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을 저온자극으로 3배체를 유도하고 부화유생인 trochophore를 이용하여 염색체 표본을 만들었고, 유도된 3배체와 정상 2배체 북방전복은 실내유수식의 동일 환경에서 51개월 동안 사육하여 혈구를 채취하여 DNA 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2배체 및 유도된 3배체의 염색체 수를 조사한 결과, 2배체염색체 수는 2n = 36으로 나타났고, 3배체의 경우에는 3n = 54로 나타나 3배체는 2배체에 비해 1.5배의 염색체 수를나타내었다. Flow cytometry로 인간의 백혈구를 control로 하여 북방전복의 DNA 함량을 측정한 결과, 북방전복의 DNA 함량은1.743 pg/cell이었으며 3배체 북방전복의 DNA함량은 2배체전복의 1.49배의 DNA 함량을 나타내 3배체 특성인 모계 2n DNA 함량과 부계 n DNA함량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