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Z세대, 포노 사피엔스, 그리고 프랑스 어문학 교육

        지영래 ( Ji Young-ra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0 프랑스어문교육 Vol.71 No.-

        2020년 현재 학교의 교실과 강의실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일까 ? 인쇄된 문자나 언어에 의한 사유보다 이미지와 동영상을 통한 사유에 훨씬 더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학생들은 지금 강단에 서 있는 기성세대의 교수자들과 같은 방식으로 사유하고 있는 것일까 ? 이 논문은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관점보다 지금 ‘누구를’ 가르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Z세대’의 성향을 이해하고 그에 맞춘 교수법을 모색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다. 이를 위해 ‘Z세대’와 ‘포노 사피엔스’ 문화는 과연 어떻게 정의되는 개념인지를 먼저 살피고, 이어서 그들을 대하는 기성세대의 우려 섞인 시선이 정당한 것인지를 매체 이론적 시각과 인지 과학적 시각에서 각각 질문을 던져본다. 멀티태스킹이 당연시 되는 오늘날의 산만한 인터넷 문화는 점점 고요함과 집중이 미덕이던 문자문화 시대에서 멀어지고 있고, 이러한 문명의 이기를 누릴수록 더 산만해지는 우리는 인간의 가장 섬세하고 고유한 특성인 공감과 열정, 비판적 사고 등의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어린 세대일수록 더 가속화되는 공감 능력의 상실 속도를 문학 수업에서의 가장 깊은 수준의 읽기 훈련을 통해 다소간 늦출 수 있지 않을까 ? 대학 강단에서 프랑스 문학 수업을 담당하는 입장에서 그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에 대해 고민해 본다. En 2020, la communication entre les instructeurs et les apprenants est-elle fluide dans les salles de classe ? Les étudiants d'aujourd'hui, qui appartiennent à la génération des « enfants du numérique », beaucoup plus habitués à penser à travers des images qu'à travers du texte imprimé, pensent-ils de la même manière que les enseignants de l'ancienne génération ? Nous examinerons d'abord comment se définissent les cultures de « la génération Z » et du « Phono sapiens » auxquelles nous sommes confrontés en classe. Puis nous verrons, du point de vue philosophique des médias et du point de vue de la psychologie cognitive, si le regard ainsi que les préoccupations des anciennes générations qui leur sont adressées sont justifiées. Au fur et à mesure que nous devenons plus distraits dans la culture internet, nous risquons fortement de perdre l'empathie et la critique, qui sont les caractéristiques les plus délicates et uniques des humains. Enfin, nous essayerons, en tant que professeurs de littérature française, de justifier la nécessité d'une classe de « littérature », pour éviter la perte des compétences d'empathie, qui s'accroit de nos jours chez la jeune géné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사르트르 『구토』의 우리말 번역본 현황 연구

        지영래(Young Rae JI) 프랑스학회 2016 프랑스학연구 Vol.78 No.-

        L 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 faire l inventaire des traductions coréennes de La Nausée de Jean-Paul Sartre, écrite en 1938. C est en 1953 que ce roman fut traduit en coréen pour la première fois par Yang Byungsik, publié à Jeongeum-Sa pendant la période difficile de la guerre. Depuis, pendant une soixantaine d années, cette œuvre représentative de Sartre fut traduite par 17 traducteurs coréens et publiée sous une trentaine de versions différentes. La première étape de notre étude consiste à les classer suivant leurs traducteurs, leurs maisons d édition, et leur date de publication pour choisir les bonnes traductions en appliquant les critères requis pour bien comprendre La Nausée. Dans une deuxième étape, nous avons décrit en détail une par une les 8 versions choisies et nous avons tenté d établir les relations entre elles. Les traductions de Bang Gon, de Lee Hwi-yeong et de Kim Hee-young nous sont finalement apparues comme la plus significatives, et nous avons critiqué sévèrement la qualité de la traduction publiée par Haseo, maison d édition qui possède actuellement les droits de traduction de La Nausée. Puis, dans une troisième étape, nous avons proposé le mot “현존(現存)” pour traduire “exister” ou “existence” en soulignant la distinction sartrienne de “l ê̂tre” et “l existence” dans La Nausée, qui est un roman métaphysique sur la contingence, notion sartrienne liée à ses études ontologiques sur la réalité humaine.

      • KCI등재

        사르트르와 실존적 정신분석

        지영래(Youngrae JI) 프랑스학회 2017 프랑스학연구 Vol.81 No.-

        L 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 suivre le changement du rapport ambigu que Sartre a entretenu avec la psychanalyse pendant toute sa carrière. Avant la guerre, Sartre élabore sa théorie de la mauvaise foi pour faire échec à l hypothèse freudienne de l inconscient et pour dévoiler le mode d être de la réalité humaine en opposition à celui des choses. À la fin de l Être et le Néant, Sartre expose sa conception d une psychanalyse existentielle qui se donnerait pour tâche de dégager le choix fondamental qui commande les multiples décisions d une existence, des plus anodines aux plus importantes. Tout en soulignant la parenté de leur perspective, Sartre oppose à la psychanalyse freudienne une psychanalyse existentielle. Après la guerre, Sartre tente ambitieusement d unir le marxisme et la psychanalyse sous les auspices de son existentialisme. En rejetant le déterminisme mécaniste de Freud et de Marx, Sartre revendique la science humaine plus humaine. Ainsi, dans Questions de méthode, Sartre expose les données d une nouvelle méthode qu il appliquera dans L Idiot de la famille. Cette méthode, il la nomme une méthode progressive-régressive , dont l originalité réside avant tout dans le mouvement du va-et-vient constant entre le passé et le présent, entre l individu et le social, entre l homme et l histoire. Dans ses études toujours subtiles et pénétrantes des vies de Baudelaire, Genet, et Flaubert, ainsi que d autres textes plus brefs, Sartre s attache à comprendre l existence de ces écrivains en étudiant aussi bien leurs écrits que les différents événements de leur vie.

      • KCI등재

        사르트르의 문학비평과 신비주의

        지영래(JI Young-Ra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5

        본 논문은 보들레르에서부터 장 주네, 말라르메, 플로베르에 이르는 사르트르의 전기비평 작품 속에서 예술가로서의 작가들이 스스로의 존재를 구원하는 방식으로 선택한 전략인 “지는 자가 이기는 것 Qui perd gagne”이라는 성서적 경구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고, 그 근원을 젊은 시절 사르트르가 접했던 신비주의 신학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작업이다. 우선 사르트르가 출판한 세 편의 전기 비평 작품, 『보들레르』, 『성자 주네, 배우와 순교자』, 『집안의 천치』를 분석하여, 그 속에서 “어떻게 한 인간이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려는 사르트르의 기획과 그에 대한 공통된 답변으로 “지는 자가 이기는” 전략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 지를 살피고 그의 자서전 ??말??과 비교하며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동일한 테마가 ??문학이란 무엇인가?? 속에서는 시와 산문을 구분하는 사르트르의 독특한 언어관 속에 적용되고, ??존재와 무??에서는 인간존재에 대한 사르트르의 정의 속에 스며있음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르트르가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면서 제출한 학위논문을 분석하고 그의 지도교수였던 들라크루아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접하게 된 범신론적 신비주의가 사르트르의 모든 문학 비평 작업에 녹아 있음을 보일 것이다. “세상에서 죽는다는 것은 바로 예술가로서 다시 태어난다는 것”으로 풀어 볼 수 있는 이 “지는 자가 이기는” 놀이는, 사르트르의 철학적 사유를 거쳐 후기 전기비평 혹은 자서전 속에서, 상상계로의 도피를 통해서 현실계의 소멸을 기도하고, 자신이 창조주로 군림하게 되는 상상계 속에서 현실의 패배를 보상받으려는 글 쓰는 작가로서의 강박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aims to show the influence of mysticism in literary criticism of Jean-Paul Sartre. Sartre wrote the biographies of Charles Baudelaire, Jean Genet and Gustave Flaubert with the theme of “Qui perd gagne” which in its religious form means : in giving up everything, he pretends to lose, but in expecting to be rewarded a hundredfold, he hopes to win. All three are solitary, misanthropic, anti-bourgeois “par excellence” and, like Sartre himself, “contestataires” in so far as they reject ready-made values without creating an alternative system with which to replace them. But, by the “qui perd gagne” reversal, therein lies their moral and political utility. Baudelaire, Genet and Flaubert, in destroying the reality of language, they destroy the world and their own reality. According to Sartre, they see this radical ascesis as the one path to genius : “Dying to the world is to be reborn an artist”. This theme is also seen in his philosophical work Being and Nothingness : as man’s fundamental project is to become an “in-itself-for-itself”, which has always been identified with the concept of God, man loses himself in vain : “man is a useless passion”. And we find in this theme the influence of the Eckhart’s mysticism, known by Professor Henri Delacroix (under whose supervision Sartre had written his thesis for his diploma), which provides the common ground for Sartre’s future studies on the life of authors. 본 논문은 보들레르에서부터 장 주네, 말라르메, 플로베르에 이르는 사르트르의 전기비평 작품 속에서 예술가로서의 작가들이 스스로의 존재를 구원하는 방식으로 선택한 전략인 “지는 자가 이기는 것 Qui perd gagne”이라는 성서적 경구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고, 그 근원을 젊은 시절 사르트르가 접했던 신비주의 신학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작업이다. 우선 사르트르가 출판한 세 편의 전기 비평 작품, 『보들레르』, 『성자 주네, 배우와 순교자』, 『집안의 천치』를 분석하여, 그 속에서 “어떻게 한 인간이 작가가 되기로 결심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려는 사르트르의 기획과 그에 대한 공통된 답변으로 “지는 자가 이기는” 전략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 지를 살피고 그의 자서전 ??말??과 비교하며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동일한 테마가 ??문학이란 무엇인가?? 속에서는 시와 산문을 구분하는 사르트르의 독특한 언어관 속에 적용되고, ??존재와 무??에서는 인간존재에 대한 사르트르의 정의 속에 스며있음을 보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르트르가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면서 제출한 학위논문을 분석하고 그의 지도교수였던 들라크루아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접하게 된 범신론적 신비주의가 사르트르의 모든 문학 비평 작업에 녹아 있음을 보일 것이다. “세상에서 죽는다는 것은 바로 예술가로서 다시 태어난다는 것”으로 풀어 볼 수 있는 이 “지는 자가 이기는” 놀이는, 사르트르의 철학적 사유를 거쳐 후기 전기비평 혹은 자서전 속에서, 상상계로의 도피를 통해서 현실계의 소멸을 기도하고, 자신이 창조주로 군림하게 되는 상상계 속에서 현실의 패배를 보상받으려는 글 쓰는 작가로서의 강박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aims to show the influence of mysticism in literary criticism of Jean-Paul Sartre. Sartre wrote the biographies of Charles Baudelaire, Jean Genet and Gustave Flaubert with the theme of “Qui perd gagne” which in its religious form means : in giving up everything, he pretends to lose, but in expecting to be rewarded a hundredfold, he hopes to win. All three are solitary, misanthropic, anti-bourgeois “par excellence” and, like Sartre himself, “contestataires” in so far as they reject ready-made values without creating an alternative system with which to replace them. But, by the “qui perd gagne” reversal, therein lies their moral and political utility. Baudelaire, Genet and Flaubert, in destroying the reality of language, they destroy the world and their own reality. According to Sartre, they see this radical ascesis as the one path to genius : “Dying to the world is to be reborn an artist”. This theme is also seen in his philosophical work Being and Nothingness : as man’s fundamental project is to become an “in-itself-for-itself”, which has always been identified with the concept of God, man loses himself in vain : “man is a useless passion”. And we find in this theme the influence of the Eckhart’s mysticism, known by Professor Henri Delacroix (under whose supervision Sartre had written his thesis for his diploma), which provides the common ground for Sartre’s future studies on the life of authors.

      • KCI등재
      • KCI등재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을 통해 본 소설 읽기와 의식의 구조

        지영래 ( Young Rae Ji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4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0

        Selon Sartre, le prosateur utilise le langage a l`endroit, tout en le considerant comme un prolongement de notre corps, tandis que le poete pose le langage a distance en les regardant avec l`etonnement, et en manifestant une ambition creatrice. Pour etayer sa propre theorie de l`engagement litteraire dans Qu`est-ce que la litterature?(1948), Sartre va rendre cette distinction entre prose et poesie assez discutable, en la radicalisant de sorte que nous ne puissions pas l`accepter sans reserve. Mais la distinction entre le signe et l`image, base de celle entre prose et poesie, est l`objet d`une longue reflexion de Sartre. Dans cet article nous avons tente de fournir des preuves de la conclusion de l`etude precedente ou l`on a argumente que la division sartrienne “prose/poesie” ne doit pas etre comprise comme opposition des deux genres litteraires, mais plutot comme illustration des deux poles extremes dans l`esthetique litteraire. Pour cela, nous avons suivi les arguments developpes dans L`Imaginaire (1940) tout en focalisant sur le concept “savoir imageant” qui est considere, chez Sartre, comme une forme inferieure de pensee. Pour Sartre, l`image est un rapport. Et images materielles et images mentales relevent d`une seule famille et d`une seule fonction la fonction imageante. En decrivant les caracteres essentiels de la structure intentionnelle de l`image, Sartre nous montre que la conscience imageante se distingue de la pure conscience de signification comme de la conscience perceptive par le fait qu`elle vise un objet irreel, qui est soit absent soit inexistant, tout en se le donnant d`une certaine maniere en chair et en os, et donc avec telle grandeur, telle couleur, telle forme, etc. Et il affirme que le savoir imageant, surtout dans la lecture d`un roman, fait jouer au signe le role de representant de l`objet, que le savoir imageant use donc du signe comme d`un dessin. C`est tout a fait contraire a ce qu`il dira dans Qu`est-ce que la litterature?. Pour Sartre, la poesie est aussi le langage du romancier.

      • KCI등재
      • KCI등재

        사르트르 『구토』 한국어 번역의 쟁점

        지영래(Young-Rae JI) 프랑스학회 2024 프랑스학연구 Vol.- No.104

        1. 서론 2. 출판 사항 및 영향 관계 3. 『구토』에서 한국어 번역의 쟁점 4. 현존과 존재, 삶과 관념 그리고 예술 5. 결론 참고문헌 이 연구의 목표는 2024년 현 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사르트르의 소설 『구토 La Nausée』(1938) 의 한국어 번역본 3종을 비교 검토하고, 원전의 핵심적인 내용을 전달하기에 여전히 아쉬운 번역지점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사르트르의 『구토』는 1953년 양병식에 의해 처음 국내에 번역 소개된 이후 저작권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오랜 기간 동안 수많은 번역본들이 난립하며 독자들에게 많은 혼란을 주었던 작품들 중 하나이다. 최근 문예출판사에서 갈리마르 출판사와 정식 계약을 맺고 새로운 번역본을 출간함으로써 외형상 『구토』의 국내 번역 상황은 정상적인 수준에 많이 가까워 진 듯 보인다. 그러나 내용적인 면에서는 여전히 작품의 핵심을 전달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남아있다. 우리는 먼저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구토』의 세 판본(방곤 역, 이희영 역, 임호경 역)의 전반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비교 검토하고, 『구토』의 이해에 있어서 핵심적인 장면들의 번역음 ‘être’ 동사와 ‘exister’ 동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임시적으로 새로운 번역 용어와 적용 방식을 제안할 것이고, 이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여 『구토』의 주요 장면을 재검토하면서 그 타당성을 피력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시간의 관점에서 본 사르트르 『구토』의 미학

        지영래 ( Young Rae Ji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6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6

        Dans cet article nous avons tente d’eclaircir l’un des aspects esthetiques de La Nausee de Jean-Paul Sartre, en l’analysant par rapport a la temporalite. C’est parce que nous avons estime que le temps est un sujet pertinent pour montrer l’aspect hybride de ce roman qui chevauche deux registres, litteraire et philosophique. Notre analyse s’est deroulee en trois phases. D’abord, nous avons analyse la chronologie du recit de La Nausee pour comparer les dates modifiees dans la version de la collection “Bibliotheque de la Pleiade”(publiee en 1981) avec celles de l’edition originale (parue en 1938). Et nous avons essaye d’y deceler trois temps superposes, c’est-a-dire, comme dit Michel Butor, celui de l’aventure, celui de l’ecriture, celui de la lecture. Puis, nous avons regroupe les textes concernant le concept de contingence pour les eclaircir sous la lumiere de la temporalite. Nous avons montre, en soulignant la distinction sartrienne de “l’etre” et de “l’existence”, que les meditations de Roquentin portent surtout sur le temps et les diverses manieres de l’apprehender. Et nous avons egalement etabli que ses reflexions sur des themes disparates (la musique, l’aventure, les sciences historiques, etc.) aboutissent toujours a la revelation de la contingence. Enfin, nous avons observe que les reflexions sartriennes sur la contingence et la temporalite sont liees directement a ses etudes ontologiques sur la realite humaine, developpees dans L’Etre et le neant (1943). Chez Sartre, la temporalite est l’intrastructure du Pour-soi qui est definie comme “un etre qui a a etre son etre”. La temporalite est l’etre du Pour-soi en tant qu’il a a l’etre ex-statiquement. En conclusion, nous avons rapproche cette reflexion de Sartre sur la temporalite de sa reflexion sur la beaute developpee dans L``Imaginaire (1940), pour montrer que l``esthetique de l``irreel de Sartre est essentiellement (a)temporel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