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전자 부위의 골절을 동반한 불안정 대퇴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의 유용성을 높이는 방법 - 강선 및 나사를 이용한 대전자부 고정 -

        김주학 ( Joo Hak Kim ),박재형 ( Jai Hyung Park ),김형수 ( Hyung Soo Kim ),정수태 ( Soo Tai Chung ),유정현 ( Jeong Hyun Yoo ),차승도 ( Seung Do Cha ),박상준 ( Sang Joon Park ),조주원 ( Joo Won Joh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1

        목적: 노인의 불안정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 압박 고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함께 사용 시 대체로 우수 한 결과를 보이나 대전자의 분쇄가 동반된 불안정 골절의 경우 과도한 감입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강선과 나사를 이용한 대전자의 추가 고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12월 사이에 65세 이상의 대전자의 골절을 동반한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대해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함께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시 가능했던 환자 3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3.5개월이었다.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만을 이용해 수술한 군(A군: 20예), 추가로 강선과 나사를 이용하여 골절된 대전자를 고정한 환자군(B군: 17예)으로 구분하였으며, A군의 평균 연령은 80.9세(범위: 68~89세), B군의 평균 연령은 83.2세(범위: 72~91세)였다. 수술 직후와 최종 추시 방사선학적 평가를 비교하여 지연나사의 활강 정도, 대전자의 전위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A군의 2예를 제외하고 모두 골유합을 얻었으며 지연나사의 활강 정도는 A군에서 평균 8.96±5.98mm였고, B군에서 4.80±3.68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 value<0.05). 대전자의 전위 정도는 A군에서 평균 2.06±2.86 mm였고, B군에서 평균 0.99±1.41 mm로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P value>0.05). 결론: 불안정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활강 압박고 나사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이 유용하나 대전자부 골절선이 있으면서 내측부 결손이 심한 경우 감입되면서 금속판 밖으로 대전자부 골절편이 전이되며 과도한 활강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강선이나 나사 고정이 이를 막아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이 대전자를 지지하도록 하여 금속판의 유용성을 증가시켜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clinical outcome is favorable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using both dynamic hip screw (DHS) and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TSP) in elderly patients. However, there are sometimes complications related to excessive sliding.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ue of additional fixation of greater trochanter using wires and screw in the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 greater trochanter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4 through December 2005, thirty-seven patients, who were more than sixty-five years of age and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were treated with DHS and TSP in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 follow-up of more than 6 months (mean duration, 13.5 mont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group A: 20 patients) was treated with DHS and TSP only, whereas the other (group B: 17 patients) was treated with DHS and TSP augmented by a wire and screw. The average age was 80.9 (range 68 to 89) and 83.2 years (range 72 to 91)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All the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assessed radiographically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at the last follow-up. The level of sliding of the lag screw and displacement of the greater trochanter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Results: Bony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except for two cases in group A. At the last follow-up, the average of lag screw sliding in groups A and B was 8.96±5.98mm and 4.80±3.68, respectively, showing a statistical difference (P value<0.05). The average greater trochnateric displacement in groups A and B was 2.06±2.86mm and 0.99±1.41mm, respectively, showing no statistical significance (P value > 0.05). Conclusion: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can be treated successfully using a hip screw and TSP alone. However, the addition of wires and screws in the greater trochanter can prevent excessive sliding that occurs after displacing the greater trochanteric fragments out of the plate in the presence of a greater trochanteric fracture line or severe bone defect in the lateral aspect.

      • KCI등재

        족부 족관절에서 발생한 상피낭종

        양기원(Ki-Won Young),김진수(Jin-Su Kim),조주원(Joo-Won Joh),염철현(Cheul-Hyun Yeom),박영욱(Young-Uk Park),이경태(Kyung-Tai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2

        목적: 족부, 족관절에서 발생하는 상피낭종의 발생위치 및 절제술 시행 후 재발률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11년 까지 절제술 후 조직학적으로 상피낭종이 확진된 환자 37명에 대하여 종양의 발생 위치 및 크기를 측정하였고, 수술 전후 시각동통점수(visual analogue scale, VAS)와 수술 후 추시상 재발여부 및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제1 족지가 15예(40.6%)로 가장 많았으며, 발목 7예(18.9%), 제2 족지 6예(16.2%), 제3 족지 4예(10.8%), 제4 족지 1예(2.7%), 제 5 족지 2예(2.7%) 및 뒤꿈치가 2예(2.7%)였다. 측정이 가능하였던 35명에서 평균 크기는 15.5×15.0×7.9 ㎜였다. 수술 전 VAS는 평균 6.5점에서 절제술 후 평균 1.0점으로 감소하였다. 7명(18.9%, 제1 족지: 5예, 제2 족지: 2예)에서 재발하였고, 수술 후 아주 만족이 30명(81.0%), 만족한 경우 2명(5.4%), 불만족한 경우가 5명(13.5%)이었다. 재발 후 재수술을 4명에서 시행하였고, 재수술 후 1예에서 다시 재발하였다. 결론: 족부, 족관절에 발생한 상피낭종은 절제술 후 18.9%의 재발률을 가지므로 절제술 시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o document post-excision recurrence rates for epidermal cysts of the foot and ankle by 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epidermal cysts confirmed histologically by excisional biopsy in 37 patients (male 20, female 17) from 2004 to 2011. Cyst locations and sizes were analyzed an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ain levels were compar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Rates of recurrence and patient satisfaction levels were also measured. Results: Epidermal cysts occurred most commonly on the 1st toe (15 cases, 40.6%), followed by the ankle (7 cases, 18.9%), 2nd toe (6 cases, 16.2%), 3rd toe (4 cases, 10.8%), 4th toe (1 case, 2.7%), 5th toe (2 cases, 5.4%), and heel (2 cases, 5.4%). Average cyst size in 35 cases was 15.5×15.0×7.9 ㎜. VAS reduced from 6.5 preoperatively to 1.0 postoperatively. Cysts recurred in 7 cases (18.9%); on the 1st toe in 5 and on the 2nd toe in 2. Thirty patients (81.0%) were very satisfied with treatment results, 2 patients (5.4%) were satisfied, and 5 (13.5%) were not satisfied. Recurrence occurred in 4 cases, and in one of these cases the cyst recurred after second excision. Conclusion: The excision of epidermal cysts in the foot and ankle area was found to have an 18.9% recurrence rate. To achieve good results, the precise location of cysts should be determined by imaging study before excision, and cysts must be excised completely.

      • KCI등재

        고도의 원위 중족골 관절면 각을 동반한 성인 무지 외반증 환자에서의 삼중 절골술의 결과

        이경태,차승도,양기원,김재영,조주원,Lee, Kyung-Tai,Cha, Seung-Do,Young, Ki-Won,Kim, Jae-Young,Joh, Joo-W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7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1 No.1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al results of triple osteotomy as a treatment for adult hallux valgus with highly increased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kle (DMAA).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3 to April 2005, we retrospectively reviewed 7 hallux valgus patients (3 cases: moderate, 4 cases: severe) treated with triple osteotomy and followed-up for more than 1 year after operation. The mean follow up was 15.1 months. The hallux valgus angle (HVA), intermetatarsal angle (IMA),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DMAA) and the length of 1 : 2 metatarsal bone were measured. Proximal chevron osteotomy and distal biplanar chevron osteotomy were done in 1st metatarsal bone. Akin osteotomy was added to the base of the proximal phalanx. The clinical result was assessed using the AOFAS Hallux score, tenderness on the medial eminence, ROM of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calluses and patient satisfaction. Results: The mean HVA and IMA was improved from $37.5^{\circ}$ and $13.4^{\circ}$ to $10.5^{\circ}$ and $6.2^{\circ}$ respectively. The mean DMAA was corrected from $34.2^{\circ}$ to $11.2^{\circ}$ and mean shortening of 1st metatarsal was 2.4 mm (0.9-5.8 mm). The mean AOFAS hallux score was improved from 66.4 to 92.5 and VAS score (pain on the medial eminence) from 4.3 points to 0.4 points. Metatarsalgia disappeared in all cases and there was no complications such as necrosis of the metatarsal head. Conclusion: Triple osteotomy for adult hallux valgus with a highly increased DMAA is effec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treatment armamentarium.

      • KCI등재

        Short-term Results of the Agility Total Ankle Arthroplasty

        Kyung-Tai Lee(이경태),Ki-Won Young(양기원),Jae-Young Kim(김재영),Hyung-Soo Kim(김형수),Joo-Won Joh(조주원),Seung-Do Cha(차승도)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목적: 최근 족관절 전치환술이 관절 고정술의 대안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gility 인공 삽입물을 이용한 족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Agility 인공 삽입물을 이용한 족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11명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명(10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으로 관절 운동 범위, 보행시의 통증(VAS 접수), AOFAS 점수를 측정하였고 환자의 만족도, 수술 권유 의사, 신발의 선택도 등을 조사하였다. 방사선적으로 삽입물의 해리, 골용해 유무, 경비 인대 부위의 골 유합 등을 조사하였다. 수술 술기는 족관절의 전방 도달법을 이용하였으며 2개의 유관 나사못을 이용하여 경피적 술기로 경비 인대 부위를 고정하였고 1예에선 금속판을 이용하였다. 결과: 남자가 2명, 여자가 8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51.8세(41-67세), 평균 추시 기간은 30.3개월(24-36개윌)이었다. 수술전 진단은 류마티스 골관절염이 3예,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에 의한 경우가 3예, 족관절 주위 골절에 의한 후외상성 골관절염이 4예였다. AOFAS 점수는 수술 전 평균 38.2에서 최종 추시 평균 73.8로 향상되었고 보행시 통증은 수술전 평균 8.9에서 최종 추시 2.8로 개선되었다. 관절 운동 범위는 최종 추시에서 약 23% 감소하였으며 보행시 5예에서 지팡이를 사용하였다. 방사선적으로 삽입물의 해리나 실패를 보인 경우는 없었고 전례에서 삽입물 주위에 골용해가 관찰되었으나 1예에서만 진행되었다. 5예에서 6개월 이내에 원위 경비 인대 골유합이 관찰되었고 3예에선 지연 유합, 2예에선 불유합이 관찰되었다. 심부 비골 신경 지배 영역의 감각 소실, 외과 부위의 골절이 각각 1예에서 관찰되었으나 보존적 치료로 모두 회복되었고 1예에서 거골하 관절에 관절염이 발생되었다. 결론: Agility 인공 삽입물을 이용한 인공 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는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나 경비 인대 결합 부위의 불유합, 삽입물 주위의 골용해 등의 방사선적 문제를 상당수에서 볼 수 있었다. 원위 경비 인대 불유합만이 임상 결과와 연관이 있었으며 골용해, 해리 등의 연관성은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otal ankle arthroplasty as an alternative to ankle arthrodesis. This study examined the short-term results of total ankle arthroplasty using an Agility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result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ankle arthroplasty using the Agility prosthesis between May, 2003 and May, 2004. With a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of 2 years, 10 patients (10 ankles) were available for review at the time of the follow-up. The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the ankle range of motion, the personal type of preferred shoe, walking pain (VAS score) and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 score. In addition, the patients were asked wheth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and if they would choose to undergo the same procedure again. The radiologic evaluation included the loosening of the prosthesis, osteolysis and syndesmosis union. The anterior surgical approach was used. The syndesmosis area was fixed using 2 cannulated screws inserted percutaneously in 9 cases and a plate in 1 case. Results: The patients consisted of two men and eight women. The average age was 51.8 years (range 41 to 67) with an average follow-up of 30.3 (range 24 to 36) months. The mea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OFAS ankle scores were 38.2 and 73.8, respectively, demonstrating significant improvement. The mean preoperative and final follow-up walking pain was 8.9 and 2.8, respectively. The ankle range of motion was decreased slightly at the final follow-up. Five patients required a cane to walk. Radiographic analysis showed no prosthesis failure, even though osteolysis occurred around the prosthesis in all cases. Only one case showed further progression. Union in the syndesmosis area occurred within 6 months in 5 cases and delayed union was observed in 3 cases, and nonunion was observed in 2 cases. Sensory loss in the area innervated by the deep peroneal nerve and a fracture in the lateral malleolus was encountered in one case, but this recove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Subtalar joint arthritis was noted in one case. Conclusion: Agility total ankle arthroplasty results in a favorable outcome at the short-term follow-up. However, total ankle arthroplasty is associated with radiographic complications including syndesmosis nonunion and osteolysis. Only syndesmosis nonunion was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results. Therefore, long-term follow-up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o demonstrate osteolysis and loosening with their clinical association.

      • KCI등재

        경골 골수 내 금속정 확공중 발생한 확공기의 파단

        곽호윤 ( Ho Yoon Kwak ),김진수 ( Jin Su Kim ),양기원 ( Ki Won Young ),조주원 ( Joo Won Joh ),황새민 ( Sae Min Hwang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4

        The reamer crack, followed by breakage at its distal part occurred during intramedullary nailing of tibial shaft fracture. The broken reamer was trapped in the intramedullary canal, making it very difficult to pull out. We successfully extracted the broken reamer by retrograde impaction through the fracture site and completed intramedullary nailing procedure. Thus, we presen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한국인에서 오구쇄골 인대의 구조적 분석

        정수태(Soo Tai Chung),유정현(Jeong Hyun Yoo),조주원(Joo Won Joh),김수용(Soo Yong Kim),백두진(Doo-Jin Ba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목적: 최근 들어 견봉쇄골 관절의 재건술 기법은 오구쇄골 인대의 해부학적 복원에 중점을 기하고 있다. 히지만 오구쇄골 인대의 해부학적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고 보고서마다 다르게 기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오구쇄골 인대의 해부학작 고찰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6개의 신선시체 및 96개의 약품처리된 시체에서 얻은 102개의 오구쇄골 인대를 분석하여 기하학적 형상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오구돌기와 쇄골 부착부위에서의 모양 및 위치에 대한 정량적 측정도 함께 하였다. 아울러 이들 변수에 대한 측정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과: 원추 인대 및 능형인대 모두 중간부에서 측정 시 능형인대가 굵고 폭이 넓었고 쇄골에서부터 오구돌기 부착부까지의 평균 길이는 남자에 서 각각 1l.3±3.6 ㎜, 9.5±2.2㎜, 여자에서 각각 10.8㎜±2.7㎜, 9.2±1.9㎜로 측정되었다. 평균 쇄골의 길이는 남자에서 158.5±55.7 ㎜, 여자에서 146.6±50.9㎜였다. 능형선 중심 및 원추융기 중심으로부터 쇄골 외측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남자에서 각각 21.7±3.2㎜와 42.8±3.4㎜, 여자에서 20.9±1.8 ㎜와 39.9±3.3㎜였다. 전후방 및 외측면에서 원추인대와 능형인대가 이루는 각도는 남자에서 각각 25±8도, 19±3도, 여자에서 각각 28±1.8도, 17±3도로 측정되었다. 결론: 쇄골 길이에서의 원추인대 및 능형인대까지의 평균 거리를 구하고 원추인대와 능형인대의 관계를 예측함으로 임상적으로 정확한 오구쇄골인대 재건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Recently, the methods for reconstructing the acromion joint focused on an anatomical reconstruction. However, the reports of the anatomical method of the coraco-clavicle ligament have given different descriptions This paper reports an anatomical study of the coraco-clavicle ligament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wo coraco-clavicle ligaments distracted from 6 fresh cadavers and 96 drug-administered cadavers were analyzed and calibrated.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attachment site of the coracoid process and clavicle was performed,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applications were examined considering the calibrating variables. Results: The conoid and trapezoid ligaments were thick and wide when measured in the middle part, and the average length up to the attachment site of the coracoid process was 11.3±3.6㎜ in men and 9.5±2.2㎜ in women. The average length of the clavicle was 158.5±55.7㎜ in men and 146.6±50.9㎜ in women. The length between the middle of the trapezoid tubercle or conoid tubercle and the lateral edge of the clavicle was 21.7±3.2㎜ and 42.8±3.4㎜ respectfully in men and 20.9±1.8㎜ and 39.9±3.3 respectfully in women, respectively The angles of the conoid ligament and trapezoid ligament from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aspects were measured to be 25±8˚ and 19±3˚ respectfully in men and 28±5˚ and 17±3˚ degree respectfully in women. Conclusion: A more delicate reconstruction of the coraco-clavicle ligament is believed to be possible with regard to the mean distance from the clavicle to the conoid and trapezoid ligaments and the anticip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ligaments

      • KCI등재

        골화석증 환자에서 발생한 무지 외반증 치험예

        차승도(Seung Do Cha),김형수(Hyung Soo Kim),유정현(Jeong Hyun Yoo),박재형(Jai Hyung Park),김주학(Joo Hak Kim),조주원(Joo Won J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골 화석증은 발생 빈도가 극히 낮은 골격계 유전성 질환으로 장관골의 골절에 대한 논문만이 간혹 보고되고 있고 대부분 보존적 방법으로 치료를 하며 수술시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골 화석증 환자에서 발생되는 무지 외반증은 중증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치료에 대해서 언급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는 골 화석증 환자의 중증 무지 외반증을 삼중 절골술로 치료하여 불유합과 중족-족지 관절의 아탈구, 나사못의 파손 등의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경험하여 국내에서는 최초로 문헌 고찰과 함께 그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Osteopetrosis is a very rare hereditary musculoskeletal disorder with an unknown cause. There are few reports on this condition with most focusing on long bone fractures. Most patients with osteopetrosis require non-surgical treatment and surgery is technically difficult. Hallux valgus deformities in patients with osteopetrosis are always severe and there are no reports on its treatment. We treated a hallux valgus deformity using triple osteotomy method and experienced nonunion, subluxation of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screw breaka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such a case in Korea.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