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상산(陸象山)의 천인관계론 연구

        조원일 ( Cho Won-il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육상산은 마음을 우주의 통일적 근원 실체로 삼아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체계인 심학(心學)이라고 하는 사상을 형성하였다. 중국철학사에 주자의 사상을 언급할 때에는 성즉리(性卽理)의 입장에서 도문학(道問學) 중시한 리학(理學)으로 지칭하고, 육상산의 사상을 심즉리(心卽理)의 입장에서 존덕성(尊德性)을 강조한 심학이라고 한다. 육상산의 학설은 당시에 제자들에 의해서 장강이남 지역에서 성행했다. 물론 이러한 육상산의 심학은 한 때 잠시 주자학에 의해서 압도되기도 하지만, 명나라시기에 이르러 왕양명에 의해 다시 계승 발전하게 되어 결국 양명학이라고 하는 완정한 사상체계로 거듭나게 된다. 천天 사상은 주자를 비롯한 육상산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육상산의 심즉리 사상체계에서 빠져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사상으로 심학의 골간을 이루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육상산은 천(天) 사상의 체계를 마음心을 기초로 한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원칙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하여 서술한다. 즉 이러한 천인관계의 문제는 육상산의 심즉리설의 토대를 이루는 관건적인 성격을 지닌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육상산의 천인관계론에 대하여 본문에서는 심즉리의 수립과 발전 및 천인합일설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Lu Xiangshan regarded human mind as the unificative source entity of the universe to form thought named mind study(心學), which is a unique thought system of him. The thought of Chu Hsi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s called truth study(理學) that put emphasis on Tao studies (道問學) from the viewpoint of `Nature is the truth`(性卽理) and the thought of Yuk Sang-San is called mind study(心學) that emphasized dignity and virtue from the viewpoint of `Mind is the truth` (心卽理). Lu Xiangshan`s theory under the subjective system of spiritualism prevailed in the south of Yangtze River at that time with the efforts of his pupils. Of course this mind study(心學) of Lu Xiangshan was overwhelmed by neo Confucianism for a while but it was inherited by Wang Yangming in the Ming Dynasty period to eventually develop into a complete thought system named Yangmingism. The heaven (天) thought can be said to have significantly affected Chu Hsi as well as Lu Xiangshan.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hought indispensable for the `Mind is the truth` (心卽理) thought system of Lu Xiangshan and can be said to be the framework of mind study(心學). Lu Xiangshan understood the system of the heaven(天) thought centering on the principle of union of the heaven and humans based on human mind(心)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That is, this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as such can be said to be a key issue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Lu Xiangshan`s `Mind is the truth` (心卽理) theory. Therefore, with regard to Lu Xiangshan`s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in the present paper, discussion progressed centering o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Mind is the truth` (心卽理) theory and the theory union of the heaven and humans.

      • KCI등재

        대구횟대(Gymnocanthus herzensteini)를 이용한 식해 개발

        조원일 ( Won Il Cho ),김상무 ( Sang Moo Kim ) 한국수산과학회 201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5 No.4

        Sik-hae is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manufactured by mixing ingredients such as fish, radish, garlic, pepper, etc. To facilitate utilization of the black-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which is an abundant unusable fish caught in the East Sea, sculpin sik-hae was developed for commercialization as a low-salt fermented foo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sculpin sik-hae during storage. The pH of the sculpin sik-hae decreased, whereas the acidity, amino-N,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s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The number of microflora increased gradually up to 14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Based on a sensory evaluation, sculpin sik-hae stored at-˚C was superior to that stored at 5˚C. Therefore, sculpin sik-hae can be commercialized as a new fermented seafood.

      • KCI등재

        중장통(仲長統)의 천인관계론 연구

        조원일 ( Cho Won-il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0 No.-

        중장통이 양한 시기에 조정과 민간에 널리 퍼져서 맹신되고 있었던 천인감응설에 대하여 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부정을 한 것은, 사람들이 마땅히 자연적 의미의 천도 가운데에서 원리를 찾고 원칙을 추구하고 아울러 그러한 원리나 원칙을 제어하고 이용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또한 중장통은 하늘의 도리 혹은 법칙은 사계절의 순환이 각기 시기에 알맞게 이루어지는 것과 같은 것으로 보았으며, 자연을 인간들이 이용해야 하는 대상으로 파악하는 한편 진일보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농업생산을 증대시키고 공업생산력을 확대시켜야 하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와 같이 중장통의 천인관계론은 정치적ㆍ사회적 및 역사적인 요소들을 귀납시켜 내놓은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중장통은 “인간사가 근본이 되고, 천도는 말단이 되는 것이다.”라고 하는 주장을 제기한다. 그는 이러한 주장을 통하여 군주 된 사람이 성심성의를 다하여 인간사의 문제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결국 중장통의 양한 시기 천인감응설에 대한 엄중하고 예리한 비판 과정 속에서 발견할 수 있었던 사실은 바로 양한시기의 사상사적 맥락 가운데 중장통의 사상 역시 선대 사람들의 사상노선을 계승한 점이 있다고 하는 사실과 선대 사람들과 다른 점 역시 있다고 하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중장통의 천인관계론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에서 비춰봤을 때 비교적 진보된 형태의 이론체계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중장통의 천인관계론에 대하여 본문에서는 사상적 연원과 천인관계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다. The reason why Zhong Chang Tong took the opposite stance against the theory of sympathy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that was widespread in the Royal Court and among the people in the period of two Hans and actively denied the theory was blindly trusted should have been his thought that people should naturally find principles and pursue rules from the way of Heaven in its natural meaning and should control and use such principles and rules. In addition, Zhong Chang Tong regarded that the way or rules of Heaven were the same as the circulation of four seasons that occur on time, understood nature as something that must be used by humans, and went one step further to think that humans should use nature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expand industrial productive power. As such, Zhong Chang Tong`s theor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can be said to be an outcome of induction of political, social, and historical elements. Zhong Chang Tong raised an argument, “Human affairs should be the basic and the way of Heaven should be at the last position.” Through this argument, he thought that the person who has become the king should sincerely devote all his energy to the issues of human affairs. Eventually, a fact that could be found from the process of Zhong Chang Tong`s strict and sharp criticism of the theory of sympathy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in the period of two Hans is that among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in the period of two Hans, Zhong Chang Tong`s thought also inherited some of the thought lines of earlier generations while having differences from earlier generations. Zhong Chang Tong`s theor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as such can be said to be a relatively advanced form of theory system in light of the situations at that time. With regard to Zhong Chang Tong`s theor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as such, in this paper, discussion will be progressed centering on the origin of thoughts and the theory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ven and humans.

      • KCI등재

        일반논문 : 순자(荀子)의 경제사상연구(經濟思想硏究)

        조원일 ( Won Il Cho ),박복재 ( Bok Jae Par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0 No.-

        선진유가의 경제사상은 공자와 맹자를 거쳐 순자에 이르러 더욱 정밀해지는 한편 현실주의적 경향을 띠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순자에게 있어서 고대 성왕들의 경제정책은 이상적인 목표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졌는데, 그것은 바로 경제정책의 목표가 실질적인 시행과 이론적인 보충이 조화롭게 발현되는 것이었으며, 또한 그러할 때 비로소 진정한 가치가 드러나는 것이라고 순자는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순자는 이상적인 정치를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인 경제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즉 형평성 있는 조세정책과 유능한 인재의 등용 및 합리적인 직업시스템의 확립 등이며, 또한 이러한 것들이 조화롭게 실현되는 것이 순자의 경제정책 청사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순자의 경제사상에 대하여 본문에서는 형평성 있는 조세정책과 유능한 인재의 등용 및 합리적인 직업시스템의 확립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해 나갔다. Since then Confucius and Mencius, Xun-zi detailed Economic thought of Pre-Qin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it had become a realistic tendency. Xun-zi understood that an economic policy of a sage king`s had been an ideal aim. So he thought that the aim of economic policy must harmonize with practical operation and theoretical complement, and then a true value be able to be revealed. So Xun-zi suggested true economic policy for ideal politics as follows. 1) Balanced tax policy, selection of talented person and establishment of rational job 2) Realization of them. They are blueprints of Xun-zi`s economic policy. Like this, on economic thought of Xun-zi this paper will attempt an analysis of the his balanced tax policy, selection of talented person and establishment of rational job.

      • KCI등재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조원일 ( Won Il Ch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이 강화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Prestley(1998)의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하여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복지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양국 장애인복지법의 선언적 실천적 부분 공히 개별모델 입장이 사회모델 입장을 압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양국 장애인복지법에 부분적으로 나타난 사회모델적 시각은 한국측에서는 선언적 부분에서, 일본측에서는 실천적 부분에서 좀 더 농후하였다. 향후의 후속연구로는 일반법으로서 장애인복지법이 갖춰야 할 지향성을 명확히 제시할 것과 국내외 관련법과의 정합성 도모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made to analyze the disability welfare paradigm relevan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n at the laws for the disabled at both Korea and Japan through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by Priestley(1998). As a result individual materialist position was dominated in recent welfare laws of both of them. So it was necessary to amend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the directing of social accountability, that was social creationist position and social constructionist position. In addition, domestic laws amendments relevant with disabled person was required for consistency with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하승천(何承天)사상(思想)의 육체(肉體)와 영혼(靈魂)의 관계에 대한 논증 고찰

        조원일 ( Won Il Cho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2 退溪學論叢 Vol.19 No.-

        고대 중국의 남북조시기에 이르러 전개된 불교 교세의 급속한 확장은 중국전통사회의 가치관과 상호 충돌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은 결국 정치권이 불교에 대하여 제한하는 정책을 수립하도록 하는 한편 사회적으로는 불교를 배척하는 담론을 이끌어낸다. 당시 불교 배척에 대한 담론들 가운데에는 사회적·정치적 각도에서 불교를 비판하는 자들도 있었는데,이러한 배불론자들의 주요한 주장에는 바로 승려의 생산 활동에 불참여와 사찰 등은 국가재정의 누수 요인으로서 국가사회에 대하여 해악만 끼칠 뿐이라고 하는 것들이 있었다. 또한 전통 문화 측면에서 불교를 배척했던 자들은,승려는 부모와 처자식을 버리고 출가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그들은 윤리강상의 파괴자들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었다. 이러한 배불론들의 논점은 단지 불교의 외적 요소에 대한 비판에 국한되어있었을 뿐 불교의 핵심이론에 대한 비판은 진행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실제적으로는 불교를 반박할만한 이론적 근거가 없었기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불교 배척은 없었던 것이다. 불교는 사상적 측면에서 조명할 때에야 그것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비판의 실마리를 찾을 수가 있는 것이다. 하승천이야말로 중국 남조시대의 배불사상가로서 가장 먼저 이론적 차원에서 불교에 대하여 비판을 전개해나간 사상가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유가철학 및 자연과학적 측면에서 불교의 ``인과응보(因果應報)``와 ``신멸론(神滅論)``사상에 대하여 비판을 진행하였다. 특히 ``인과응보설``의 도덕적 의미에 대하여 반박과 질의의 형식을 통한 비판은 매우 참신한 일면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승천은 배불이론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상의 내용에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남북조시대 전반에 걸쳐 진행되었던 육체와 영혼의 관계에 대한 문제였던 것이다. 본문에서는 이상과 같은 하승천의 ``신멸론``사상에 있어서 육체와 영혼의 관계문제의 논증에 대하여 과학적인 방법론과 현실지향적인 태도 및 비유의 기법 적용이라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In the northern & southern dynasty period of the ancient Chinese, the Buddhism rapidly expanded its congregation. This expansion came into conflict with the traditional values. Consequently the political community formulated a suppression policy of Buddhism, and then they discoursed on the exclusion of Buddhism. The dissenters of Buddhism`s claim is as follows. 1) The nonproductive activity of Buddhist monk and Buddhist temple cause a waste of national finance. 2) The Buddhism destroys the moral principles, because they become a Buddhist monk abandoning their parrents and family. But they didn`t criticise the Buddhism theory itself, because the dissenters had no theoretical grounds to dispute it. So this paper focuses on Buddhism in the view of its thought. In the northern dynasty period, He Cheng tian, as a dissenters of Buddhism, theoretically criticised the Buddhism for the first time. In respect of Confucian philosophy and natural science, He criticised ``retributive justice`` and ``Shen mie lun`` of Buddhism. It was very fresh that he criticised the moral meaning of ``The theory of retributive justice`` through the refutation and question-and-answer. And he was interested in ``relation of body with soul`` which was discussed throughout the northern & southern dynasty period.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 of body with soul`` in He Cheng tian`s ``Shen mie lun``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