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 n) 쓰레시홀드 크립토그래피를 이용한 안전한 멀티캐스트 방안

        조성호(Seongho Cho),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A

        멀티캐스트는 수신자 그룹이 명확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중에 수신자가 그룹에 가입하고 탈퇴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신자가 그룹에 가입하고 탈퇴할 때마다 멀티캐스트 그룹의 키를 바꿔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되는데, 이 때 키를 효율적으로 바꾸기 위한 멀티캐스트 구조로써 (t, n) 쓰레시홀드 크립토그래피를 응용한 구조를 제안한다. 이 경우 서브그룹을 관리하는 서버가 없이도 수신자 그룹에 의해서 안전한 멀티캐스트를 할 수 있다.

      • KCI등재

        극저온 제트 유동에 대한 분사기 형상의 영향

        조성호(Seongho Cho),박구정(Gujeong Park),길태옥(Taeock Khil),윤영빈(Youngbin Yoon)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9 No.4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극저온 단일 제트 유동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고압 챔버 내부에 액체 질소를 분사하여 단일 제트를 생성, 주위기체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아임계 조건부터 초임계 조건의 주위 환경에 따른 제트의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분사기의 길이 대 직경비 및 분사기 내부 형상의 변화에 따른 제트의 특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유동 가시화를 통하여 극저온 제트의 형상 및 액주의 지름을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액주의 확산각을 계산하여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아임계 조건 및 초임계 조건에서의 제트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주위기체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할 경우 제트 유동에서 불안정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위기체합력이 증가함에 따라 액주의 확산각이 점차 증가하다가 일정 압력 이상에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stics of cryogenic single jet flow were investigated. Liquid nitrogen was injected into a high-pressure chamber and formed single jet. Ambient condition around jet was changed from subcritical to superctirical condition of nitrogen. Injector geometries also were changed. A shape of the jet and core diameter were measured by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and core spreading angle was calculated. Flow instability was found at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 As ambient pressure increased, core spreading angle was increased and maintained after certain pressure.

      • 액체 질소를 이용한 극저온 단일 제트 분사 시험

        조성호(Seongho Cho),길태옥(Taeock Khil),박구정(Gujeong Park),윤영빈(Youngbin Yoon)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극저온 액체 질소 제트 유동의 아임계 및 초임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일 제트 분사기를 고압 챔버 내에 장착하여 제트의 주위기체압력, 분사기 형상 및 유동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아임계 조건과 초임계 조건에서의 제트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주위기체압력이 대기압일 경우 유동 내에 섭동이 발생함을 파악하였다. 분사기 형상에 따른 유동 변화 또한 파악하였다. Cold flow injection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ryogenic liquid nitrogen jet at sub to supercritical condition. Single jet injector element was installed in high pressure chamb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mbient pressure around the jet, injector geometry and flow condi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obvious differences between jet characteristics under subcritical and supercritical condition. Effect of injector inlet shape also was investigated.

      • KCI등재

        고압 환경 하에서의 분무 분포 측정

        조성호(Seongho Cho),임지혁(Ji-Hyuk Im),윤영빈(Youngbin Yoon),최성만(Seongman Choi),한영민(Youngmin Han)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8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Vol.6 No.1

        Distribution of spray was measured. Optical Line Patternator (OLP) was used to measure the planar distribution of the spray from a swirl-coaxial type injector. Ambient pressure was varied and injection pressure was fixed in experiment. As ambient pressure increased, spray distribution was changed from hallow cone to solid cone shape, and spray angle was decreased. Limitation in measuring dense spray was found at high ambient pressure condition.

      • KCI등재

        고압 환경에서의 분무 특성 계측을 위한 광학 토모그래피 기법 연구

        조성호(Seongho Cho),임지혁(Ji-Hyuk Im),최호연(Hoyeon Choi),윤영빈(Youngbin Yoon) 한국추진공학회 2009 한국추진공학회지 Vol.13 No.4

        Spray cross-section was measured by the Optical Line Patternator (OLP) and Optical Tomography at high ambient pressure. The laser line beam passed through the spray region, then Mie scattered signal and transmitted light were captured. The measured signal was processed to obtain a distribution of attenuation coefficient in spray cross-section. Beer-Lamberts law and mathematical reconstruction methods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distribution of attenuation coefficient. Spray became dense at high pressure and attenuation of scattered signal occurred seriously. OLP method, which uses Mie scattered signal, showed limit in compensating attenuation problem in dense spray region. Optical tomography reconstructed spray cross-section well, from transmission rate of light penetrating spray region.

      • KCI등재

        정확한 고정대역폭 추정을 통한 새로운 가용대역폭 측정 기법

        조성호(Seongho Cho),최한(Han Choe),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2 No.4

        인터넷에서 단대단 (end-to-end) 가용대역폭 측정은 분산된 응용 서비스, 단대단 QoS 보장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대단 가용대역폭 측정에는 단일-홉 갭 모델에 기반한 패킷트레인 (packet train) 전송을 통한 측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패킷 트레인의 출력 간격은 네트워크 망 구성과 경쟁 트래픽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므로, 이 때 발생한 오차에 의해서 가용대역폭 측정에도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들이 가지고 있는 연이은 (back-to-back) 패킷 트레인을 전송하여 링크의 고정대역폭을 측정에 의한 부정확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패킷 트레인의 초기 갭에 영향을 받지 않는 가용대역폭 측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빠른 측정을 위해서 패킷 트레인 전송 시적절한 초기 간격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양한 망구조에서 실험을 통해서 기존의 기법들과 비교하였다. Measuring the end-to-end available bandwidth in the Internet is a useful tool for distributedapplication services or QoS (Quality-of-Service) guarantee. To measure the end-to-end available bandwidth, Single-hop Gap model-based packet train measurement techniques are well-known. However, the error of packet train output gap can happen by network topologies. This error of the output gap causes the inaccuracy of the available bandwidth measure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end-to-end available bandwidth measurement technique with accurate capacity measurement and fast convergence methods. To solve the erroneous capacity measurement problem of the back-to-back packet train transmission, we propose a new available bandwidth measurement method by decoupling the capacity measurement with the initial gap of the packet train. Also, we propose a new technique to predict the proper initial gap of the packet train for faster convergence. We evaluate our proposed method by the simulation in various topologies comparing with previous methods.

      • 토모그래피 기법을 이용한 고압 조건에서의 분무 분포 측정

        조성호(Seongho Cho),임지혁(Ji-Hyuk Im),최호연(Hoyeon Choi),윤영빈(Youngbin Yoon)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08 한국가시화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2

        Cross-section of spray at high ambient pressure was measured by tomography method. Optical Line Patternator(OLP) and Optical tomography was used to measure the spray distribution. Results from each method were compared. Laser line beam was used for light source to reduce secondary scattering. Mie scattering image of spray from CCD camera was used to reconstruct attenuation coefficient map of the spray. In optical tomography, attenuation rate of the beam through the spray was measured and attenuation coefficient map was reconstructed by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n dense spray measurement, OLP showed limit in spay measurement because of difficulty in image correction, but optical tomography reconstructed planar spray distribution field well.

      • KCI등재

        초고속-장거리 네트워크에서 혼잡 제어 방안

        양은호,함성일,조성호,김종권,Yang Eun Ho,Ham Sung Il,Cho Seongho,Kim Chongk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2 No.4

        초고속-장거리 네트워크(fast long-distance network)에서 TCP의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알고리즘은 대역폭을 효과적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수정한 여러 윈도우 기반 혼잡 제어 프로토콜(window-based protocol)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주로 확장성(scalability), TCP-친밀성(TCP-friendliness), 그리고 RTT-공평성(RTT-fairness) 등의 세 가지의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제안된 프로토콜은 위 세 가지 특성의 균형관계(trade-off)로 인하여 이들 세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EIMD (Exponential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라고 하는 윈도우 기반 TCP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EIMD는 위의 세 가지 특성을 동시에 제공함은 물론이고, 초고속-장거리 네트워크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빠른 공정배분 수렴성(fair share convergence)도 제공한다. EM는 패킷 손실(packet loss)이 없는 한, 지수적으로 윈도우를 증가시켜 큰 대역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도, 혼잡제어 알고리즘의 반응 함수(response function)에 RTT를 반영하여 RTT-공평성와 TCP-친밀성을 제공한다. 또한 패킷 손실이 생기기 직전의 혼잡 윈도우 크기에 반비례하게 윈도우를 증가시킴으로써 공정배분(fair share) 값에 빠르게 수렴할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프로토콜이 초고속-장거리 네트워크에서 위 4가지 특성들을 모두 만족하는지 검증하였다. In fast long-distance networks, TCP's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has the problem of utilizing bandwidth effectively. Several window-based congestion control protocols for high-speed and large delay network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These protocols deliberate mainly three properties : scalability, TCP-friendliness, and RTT-fairness. These protocols, however, cannot satisfy above three properties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trade-off among them This paper presents a new window-based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called EM (Exponential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 that simultaneously supports all four properties including fast convergence, which is another important constraint for fast long-distance networks; it can support scalability by increasing congestion window exponentially proportional to the time elapsed since a packet loss; it can support RTT-fairness and TCP-friendliness by considering RTT in its response function; it can support last fair-share convergence by increasing congestion window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gestion window just before packet loss.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EIMD and other algorithms by extensive computer simulations.

      • 우주개발사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PM기법 적용사례와 현황

        김성백(SeongBaek Kim),조성호(SeongHo Cho),권은화(EunHwa Kwon),김창민(ChangMin Kim),강경인(KyungIn Kang),박희웅(HeeWoong Park) 한국항공우주학회 2020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20 No.11

        우주 기술개발사업은 장기간 동안 막대한 개발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으로 이에 대한 일정과 예산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추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이 가중되고 있음. 국내외 해외의 주요 대형 사업과 시스템개발 측면의 사업에서도 전주기적 시점의 사업 관리 및 점검 프로세스가 마련되어 개발 단계별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하여 다음 단계로 통과 여부를 확정하는 PM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연구재단 소관 사업에서도 사업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사업 일정과 예산을 준수하여 사업 목적 달성도에 기여하고자 PM기법을 일부사업에 시범 적용하고 있음. PM기법이 도입되기 전에는 기존의 연구책임자가 제출한 연차실적 계획서 중심의 매 연도별 연차평가를 통한 사후적 처방 중심의 수동적 관리가 되었음. 이를 개선하기 위해 PM 기법 도입을 통해 시범사업에서는 사업 초기부터 설정된 주요 목표 및 성과 중심으로 관리하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성과물 기반으로 제출한 작업분류(WBS) 및 Activity 정의, 일정 및 예산의 세분화를 통한 주요 사업별 핵심 성과(Benefit/Performance) 중심의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분야 등에서 추진된 프로젝트경영(PM) 기법 적용된 내역들의 분석을 통해 추진 성과의 장점을 확대하고 주요 사업별로 (자체) 프로세스 정립하여 향후 대형사업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RISK 및 현안 이슈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수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현장중심의 연구자 의견 수렴을 통해 PM 적용 확산을 위한 프로젝트 Planning 프로세스 정립을 통해 목표달성도 제고 및 성과창출형 R&D PM기법을 제시한데 본 논문의 의미가 있다.

      • 환경교육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스마트 환경 측정 시스템 개발

        조운석(Woon-Seok Cho),노대일(Dae-Il Noh),조성호(Seongho Cho),윤진아(Jin-A Yoon),오승유(Seung-Yu Oh),천쥔(Jun Chen),남윤경(Younkyeong Na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1

        환경 측정 및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한 환경측정기기는 가격이 비싸고, 조작하기에 어려워 학교현장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을 위한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한 환경측정 기기를 개발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연동하는 환경 측정 및 모니터링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 가능한 환경측정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다. 환경측정 시스템은 환경측정 센서, 아두이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환경측정기기는 아두이노 메가를 기반으로 대기(온도·습도, 미세먼지) 및 수질(온도, pH, 탁도, DO)을 측정하는 센서를 목적에 맞게 장착하여 활용가능하며, 환경측정기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친화적으로 용이하게 UI를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기존의 환경측정기기의 보다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조작하고 측정값을 기록하는 등 기존의 환경측정기기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