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백서의 창상치유에 미치는 연교액기스의 효과

        배진우(Jin Woo Bae),김헌준(Heon Joon Kim),장조욱(Cho Ook Chang),김영욱(Young Wook Kim),조성배(Seong Bae Cho),최재구(Jai Koo Choi) 대한약리학회 1995 대한약리학잡지 Vol.31 No.3

        연교액기스가 창상치료제로서의 사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교의 창상치유 효과와 독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연교액기스가 항생작용이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연교의 창상치유 효과를 Tetrachlorodecaoxygen anion complex(TCDO) 및 단백질을 제거한 혈액투석액(Haemyl)과 생리식염수의 창상치료 효과와 비교하였다. 4일, 11일, 14일째의 창상면적은 연교액기스, TCDO, Haemyl의 치료에 의하여 대조구인 생리식염수의 치료구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8일째의 창상면적은 다만 연교액기스의 치료구만 유의하게 적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연교액기스, TCDO, Haemyl의 치료구가 생리식염수의 치료구에 비해 표피화가 촉진되었다. 간 효소활성도(GOT, GPT), 혈구의 수에 있어서 연교액기스의 투여가 대조구에 비하여 어떤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그외에도 연교액기스는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들은 연교액기스가 장차 창상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하였으며 그의 약리작용은 항생작용과 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We examined the wound healing effect and toxicity of Forsythia suspensa extract to verify the therapeutic usefulness on wound treatment. Additionally, we examined its antibacterial effect. The wound healing effect of Forsythia suspensa extract was compared with the tetrachlorodecaoxygen anion complex (TCDO), protein free haemodialysate (Haemyl), and physiological saline. The wound areas on the 4th, 11th, 14th day of treatment with Forsythia suspensa extract, TCDO, and Haemyl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with the saline treatment. The wounds on the 8th day of treatment with Forsythia suspensa extract were only siginificantly smaller than the saline treatment. On the 8th day of treatment with Forsythia suspensa extract, TCDO, and Haemyl accerlerlated the wound epithelization more than saline treatm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r enzyme activity (GOT, GPT) and blood cell count between the Fosythia suspensa extract and the saline treatment. In addition, the Forsythia suspensa extract did not inhibit bacterial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sythia suspensa extract has great possibility of being developed into new wound healing drugs. Its pharmacological effects seem to have no relation with antibacterial effect.

      • The Effect of Forsythia suspensa Extract on the Wound Healing of Rats

        배진우,김헌준,장조욱,김영욱,조성배,최재구,Bae, Jin-Woo,Kim, Heon-Joon,Chang, Cho-Ook,Kim, Young-Wook,Cho, Seong-Bae,Choi, Jai-Koo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5 대한약리학잡지 Vol.31 No.3

        We examined the wound healing effect and toxicity of Forsythia suspensa extract to verify the therapeutic usefulness on wound treatment. Additionally, we examined its antibacterial effect. The wound healing effect of Forsythia suspensa extract was compared with the tetrachlorodecaoxygen anion complex (TCDO), protein free haemodialysate (Haemyl), and physiological saline. The wound areas on the 4th, 11th, 14th day of treatment with Forsythia suspensa extract, TCDO, and Haemyl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with the saline treatment. The wounds on the 8th day of treatment with Forsythia suspensa extract were only siginificantly smaller than the saline treatment. On the 8th day of treatment with Forsythia suspensa extract, TCDO, and Haemyl accerlerlated the wound epithelization more than saline treatm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r enzyme activity (GOT, GPT) and blood cell count between the Fosythia suspensa extract and the saline treatment. In addition, the Forsythia suspensa extract did not inhibit bacterial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sythia suspensa extract has great possibility of being developed into new wound healing drugs. Its pharmacological effects seem to have no relation with antibacterial effect. 연교액기스가 창상치료제로서의 사용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교의 창상치유 효과와 독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연교액기스가 항생작용이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연교의 창상치유 효과를 Tetrachlorodecaoxygen anion complex(TCDO) 및 단백질을 제거한 혈액투석액(Haemyl)과 생리식염수의 창상치료 효과와 비교하였다. 4일, 11일, 14일째의 창상면적은 연교액기스, TCDO, Haemyl의 치료에 의하여 대조구인 생리식염수의 치료구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그러나 8일째의 창상면적은 다만 연교액기스의 치료구만 유의하게 적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연교액기스, TCDO, Haemyl의 치료구가 생리식염수의 치료구에 비해 표피화가 촉진되었다. 간 효소활성도(GOT, GPT), 혈구의 수에 있어서 연교액기스의 투여가 대조구에 비하여 어떤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그외에도 연교액기스는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들은 연교액기스가 장차 창상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하였으며 그의 약리작용은 항생작용과 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 고성능 지문인식을 위한 그리드 기반 매칭 알고리즘

        양승룡(Seung-Ryong Yang),김성민(Seong-Min Kim),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지문은 사람마다 고유한 특징 정보를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생체 특징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범죄수사, 출입통제, 입출금 서비스 등 많은 분야에서 지문을 이용하여 개인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문인식은 아직까지 인식성능, 처리속도, 대용량 지문 분석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지문인식에서 인식성능은 다양한 지문수집 환경의 변화와 실시간 인증에 적응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인식에서 흔히 사용하는 특징점 추출 방식을 개선하여 전체적인 인식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그리드 기반 매칭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매칭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Nitgen DB 4로 실험한 결과, 일반적인 매칭 알고리즘인 Jain의 특징점 패턴 정렬 매칭 방법 보다 인식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人工輕量骨材 콘크리트의 機械的 性質에 關한 實驗的 硏究

        곽종현,조성배 한밭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1995 논문집 Vol.3 No.-

        recently, it is presented that a problem solution of the quality, quantity of the aggregate is faced as a impending problem with the structures become more larger, higher owing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al technology for unexpected excessive demand of concrete brought about aggregate shortage problem. Therefore, to contribute the utilization of the structural light concrete by reduce dead light, one of the deficiency of concrete, this study was practiced. With the artificial light weight aggregate used a expanded clay made a artificial light weight aggregate concrete tested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tensile strength, the bending strength, and practiced the following various analysis. Finally the method of application as a various structural materials was studied.

      • SCOPUSKCI등재

        정맥유리피판술을 이용한 수부의 피부결손 재건

        김용희,황종익,이동철,조성배,최재구 大韓成形外科學會 199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2 No.4

        Traumatic or thermal injury to the hand often leads to multidigital skin loss, exposing the tendons or joints. Therapeutic options for salvaging these digits include local, regional or distant flap transfer and free flap transplantation. In each case,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rawbacks in clinical application to the sites of the injuries. In 1981 Nakayama suggested the feasibility of raising an arterialized venous flap based on an experimental study in an abdominal flap in rats. In 1984 Honda reported the first clinical application of the venous flap that recieved blood supply only through venous inflow and out-flow. We have experienced a series of 58 venous free flaps in the last 6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lete survival rate was 89% in the arterialized venous flap and 60% in the V-V Type(vein to vein anastomosis)venous flap.

      • SCOPUSKCI등재

        재발된 흉부의 융기성 피부섬유육종 절제술 후 복직근 근피판의 임상적용 치험 1례

        황영준,최재구,김준범,조성배,안덕균 大韓成形外科學會 199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2 No.4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is a low-grade(I out of Ⅲ) soft tissue sarcoma whose histology can be confused with dermatofibroma. There may be complicating ulceration, infection, and scarring. As this local disorder becomes extensive, it may cause severe pain, contactures, and invalidism. A superiorly based rectus abdominis myocutaneous flap reconstruction was used for a patient with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of the chest. When compared to skin grafting, this technique results in an improved aesthetic appearance and a stable cover for the tissue deficit of the ch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