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경서(Kyung Seu Cho),김은주(Eun Joo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3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을 매개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 간접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의 2∼6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을 매개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는것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은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과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중에서도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은 유아 스마트폰 의존성을 매개로 유아 문제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교육적 접근의 필요함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인식과 조절,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MSD) and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how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CSD) mediates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of 300 mothers having children from two to six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MSD was directly related to both CSD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in particular, had greater effects than CSD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SD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SD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and their children should be provided with education on the proper usage of smartphone to prevent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and that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is need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조경서(Kyung Seu Cho),김은주(Eun Joo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공립, 민간, 가정어린이집 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자기결정성과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결정성은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에 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무만족도 요인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삶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exist among self-determinacy,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life-quality. Based on data from 152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finds that both self-determinacy and the job stress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lso intermediates its ow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terms of the magnitude of the coefficient the quality of life is more affected by self-determinacy and job satisfaction than by job stres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ed to promote self-determinacy in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and teacher job training. Job stress is linked to job satisfaction and even to quality of life. Hence, based on the data from this analysis of job stressors, it appear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이재무(Jae-Moo Lee),조경서(Kyung-Seu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01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는 낮은 수준, 회복탄력성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개인적 특성 유형에 따라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 중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긴급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워진 것 때문으로 규명되었었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은 이전과 변함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방역 기반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대응,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일상적 관리, 자기초점주의 근간의 상담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cquire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resilience of childcare educators amidst an emergency pandemic to adjust their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analysis from August 19th to the 30th in 2020 and 201 responses ended up being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educators were low while resilience was high and it was acknowledged that all of them mos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ersonal traits. Although the job stress of childcare educators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burnout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t turns out that job stress does not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impulse control, and active conductivity among resilience display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Amidst an emergency pandemic known as the COVID-19 virus, it has been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educators deteriorated, and the prominent reason for this was identified as the difficulty in carrying out smooth job performances. Accordingly, measures to strengthen resilience such as countermeasures against quarantine-base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 daily management over job burnout and resilience, as well as counseling or programs based on self-focused attention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