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 경험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규현(Ho, Gyuhyun),정휘관(Jung, Hwikwan),전예솔(Jeon, Yesol),송민해(Song, Minhae),SHIMAMORI SAYUKI,유현재(Yu, Hyunja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경험이 사회적 거리감을 매개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와 인식 개선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21년 9월 8일부터 9월 13일까지 300명을 대상으로 접촉경험 유무, 접촉대상, 접촉품질, 사회적 거리감,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질문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 경험에 따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의 차이가 일부 나타났다. 접촉 품질 역시, 사회적 거리감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은 직접 접촉과 정신질환자의 편견 사이를 완전 매개하고 있었으며, 간접 접촉과 정신질환자의 편견 사이에서는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와 인식 개선을 위한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접촉이론을 기반으로 현재 대중이 지니고 있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the reference for finding the ways not only to reduce social prejudice but also to improve the perception toward mental patients based upon the investigation to figure out the possible influence of the contact quality people experience with the pati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above, this study performed the survey in which total 300 people participated between September 8th and 13th in 2021, asking about the experience of the contact with the mental patients. Mor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in the survey to answer their contact experience, the information of the patients they contacted with, a sense of social distance they felt, and possible prejudice they had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patients. I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report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 of prejudice toward the mental patients based upon people’s different contact experience with the patients.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a sense of social distance and people’s prejudice toward mental patients were influenced by their quality of the contact experience with mental patients. Also,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at a sense of social dist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s direct experience with mental patients and the prejudice they had toward the patients. Lastly, this study discussed the suggestions for the issues regarding the ways to reduce the people’s prejudice toward the mental illness and the patients. The researchers believed that the insight from this study could be very meaningful, since it was the first time to analyze the possible prejudice people could have using the theory of contact.

      • KCI등재후보

        방송 뉴스 자살 보도 시 미화법 사용과 배경 설명이 대학생의 자살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창현(Changhyun Han),유현재(Hyunjae Yu),정휘관(Hwikwan Jung),한택수(Taeksoo Han),서영지(Youngji Seo)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미디어가 자살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자살자의 행동을 미화하거나 자살 사건의 배경을 설명함으로써 대중의 자살 관련 인식(자살, 자살자, 자살 보도)의 변화가 일어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살 보도 시 “미화법(사용 vs. 미사용: 동반 자살 vs. 살해 후 자살)”과 “배경 설명(유/무)”에 따라 4가지 조건을 다르게 조작하여 영상물을 제작하고, 서울 시내 대학생 120명을 각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그룹은 영상 시청 전과 후에 설문에 응답하였고, 일부 피험자들은 실험과 관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동반 자살’ 표현을 포함한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배경 설명’을 추가한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수준은 낮았다. 다음으로 ‘살해 후 자살’ 표현을 사용하고 ‘배경 설명’을 추가하지 않은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 인식 수준은 가장 낮으나, 자살자 행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동반 자살’ 표현을 사용하고, ‘배경 설명’을 추가 한 경우 영상 시청 전보다 자살에 대한 부정성 인식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 자살보도 권고기준의 핵심항목이자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자살에 대한 미화법 사용’과 ‘자살 사건에 대한 배경 설명 추가’ 여부가 자살 관련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향후 더욱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자살 관련 미디어 콘텐츠 권고방안 마련을 위한 소중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lamorous portrayal of suicide and explaining background of suicide on perception of suicide. The study was a 2 (glamorous portrayal: using vs. not using) x 2 (explaining background: using vs. not using)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online experiment. In addition, som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interviewed. The findings from an experimental study (N = 120) suggested that distortion and riskiness of suicide were greater in the condition of using glamorous expressions and explaining background of suicide compared to not using those expressions. In addition, participants who watched video included both independent variables had a lower negative perception on suic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framed messages and realistic media contents and guidelin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