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 인식 및 필요성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정혜정(Chung Hea Jung),천희숙(Cheon Hee Sook),권광일(Kwon Kwang Il),김지영(Kim Jee Young),유광수(Yoo Kwang Soo),이준형(Lee Jun Hyung),김종욱(Kim Jong Wook),박혜경(Park Hye Kyung),김소희(Kim So Hee),홍순명(Hong Soon Myu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1

        국민들에게 올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여 외식시 균형잡힌 영양섭취와 올바른 메뉴선택을 위한 영양표시제의 방안과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에 관한 소비자 인식과 필요성 그리고 건강한 식생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기존에 영양표시제가 실시되고 있는 가공식품과 향후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현재 가공식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영양표시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의 도입 필요성은 인지하는 있었으며 이는 메뉴선정에 도움을 주고 건강한 식생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영양성분표시를 실시한 외식업체에 대한 재방문의사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패스트푸드업체의 메뉴에 대한 영양성분의 표시기준은 100 g(또는 100 mL)의 단위기준보다 1인 제공량으로 표시되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패스트푸드업체가 표기해야할 영양성분으로는 성인병과 체중증가와 관련있는 열량과 지방 그리고 콜레스테롤함량이 우선적으로 표기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메뉴에서 우선적으로 표기되어야 하는 항목으로는 열량, 1인분량, 지방함량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영양성분을 표시할 장소는 소비자가 주문을 하기 전 쉽게 확인하고 참고할 수 있는 매장 내 포스단말기와 계산대 위에 설치된 메뉴보드로서, 이는 패스트푸드업체의 셀프서비스 주문방식을 반영된 결과로 분석되었다. 넷째,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의 필요성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주부와 초등학생들이 비교적 낮은 필요성을 보이고 있어 주부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표시제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학력에 있어서는 고학력자일수록 그리고 월소득이 높을수록 영양표시제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양교육을 통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지할 기회가 많았고 생활의 여유 속에서 끼니를 떼우기 위한 식사가 아닌 선택을 통한 식사를 즐기는 고소득자들에게는 영양표시제의 실시가 더욱 더 필요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7번 이상의 다이어트 경험자들도 영양표시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체중감량을 위한 칼로리 제한을 외식을 하면서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사료된다. 다섯번째,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될 영양표시제가 건강한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연령에서는 10대 · 20대 · 30대가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전문대학졸업자와 대학원졸업자가 비교적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되었다. 이는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성과 젊은층 그리고 식생활에 대한 교육기회가 많았던 조사대상자들이 영양표시제가 건강한 식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가족의 식생활을 담당하는 주부들의 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아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provide the accurate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menu. We questionnaired an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to 684 customers in fast-food restaurants. After data cleaning, we used spss package 14.0 and analyzed about the nutrition contents and place that display the nutrition labeling. First, we finded out lower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 in restaurants than processed food. Second, many people hoped that calory and fat in various nutritions were displayed each 100 g or 100 mL. Third, the place displaying the nutrition information was the menu board and the counter to identify easily. Fourth, we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in fast-food restaurants by t-test and ANOVA. So, we knew that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was higher woman than man. And the more they earn much money and learned, the more the nutrition labeling are needed. But house-wife recognized the nutrition labeling lower than others. (Korean J Nutr 2009; 42(1): 68 ~ 77)

      • KCI등재
      • KCI등재

        벅아이 코퍼스의 모음 길이 연구

        정혜정(Chung, Hyejung),윤규철(Yoon, Kyuchul)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vowel property by examining the vowel duration of the American English vowles found in the Buckeye corpus[6]. The vowel dura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linguistic factors including the number of syllables of the word containing the vowel, the location of the vowel in a word, types of stress, function versus content word, the word frequency in the corpus and the speech rate calculated from the three consecutive words. The findings from this work agreed mostly with those from earlier studies, but with some excep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ech rate and the vowel duration proved non-linear.

      • KCI등재

        연구논문 : 유아기, 학동기 및 청소년기 식습관과 식품 기호도에 관한 연구(1) -주식과 부식을 중심으로-

        정혜정 ( Hea Jung Chu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4 No.6

        This study aim to identify preference of main and side dishes of 681 children who lived in Seoul and Gyoung-gi (Incheon) in 2007. To accomplish this, we divided the children into three age groups, an infancy group (below 6 years of age), a middle years group (between 7 and 12 years of age) and a juvenile group (above 12 years of age). Specifically, 145 children were in the infancy group (boys 68, girls 77), 300 children were in middle years group (boys 138, girls 162) and 236 children were in juveniles group (boys 131, girls 105). The average body mass index (BMI) of the parents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be normal, and the majority of the parents had bachelor degrees. Across all age groups, most fathers were office workers and most mothers were housewives. The preference for staple foods showed that the infancy group and the middle years group preferred rice the most, while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stir-fried rice the most out of 5 grain items.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for different types of noodles showed that both boys and girls from the infancy group preferred jajangmyun, while those in the middle years group and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spaghetti. For breads, both boys and girls from the infancy group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cake, while boys and girls in the middle years group and boys in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pizza the most, and girls from juvenile group preferred cake the most. Evaluation of the preference for soups and pot stew revealed that both boys and girls in the infancy group preferred seaweed soup, while boys from middle years group preferred seol-long-tang and girls from middle years group preferred seaweed soup. Boys and girls from the juvenile group preferred seol-long-tang the most. For hard-boiled foods and stir-fried foods, members of all age groups preferred beef boiled in soy sauce the most and hard-boiled peppers the least. Finally, comparison of the preference for roasted foods, seasoned vegetables and kimchi revealed that the infancy group preferred roasted seaweed the most and that both the middle years and juvenile group had the greatest preference for roasted galbi.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원과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정혜정(Hye Jeong Chung) 한국노년학회 1998 한국노년학 Vol.18 No.3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와 적응에 관한 Double ABCX 모델을 기초로하여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원, 개인심리적 및 가족 자원, 상황 평가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및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을 할당표집 방법에 의해 선정한 후 면접조사에 의해 얻은 설문지 자료 202부를 기초로 하였다. 연구결과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원이 심리적 복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그 효과는 직접적인 효과가 아니라 자원 및 평가 변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었다. 자녀와의 주관적 결속도 개인심리적 자원(자기통제력과 자존감)과 상황 평가 변인을 통해 심리적 복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심리적 자원은 직접적 및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인심리적 자원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또한 용돈ㆍ건강ㆍ환경만족도 등 자신의 주변여건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Double ABCX 모델이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상황에 적용됨을 의미하며, 자녀와의 질적 상호작용과 주어진 여건에 대한 긍정적 인식전환이 여성노인과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상담과 교육프로그램의 초점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Double ABCX model of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stressors (chronic strain and recent life event), individual psychological resource(self-efficacy and self-esteem) and family resource (subjective and objective solidarity with adult children), and appraisal (satisfaction with pocket money, health, and environmen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PWB) of female elderly. Structure interview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02 elderly females in Seoul, who were recruited through quota sampling metho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first performed to examine the simple relationships among varibles and the direct effects of varibles on PWB. Then based on these analyses, hypothetical causal model was constructed. This model was tested and modified by using LISREL 7 program. Results showed that stressors and subjective solidarity had effect on PWB indirectly through other variables, and that individual psychological resources and appraisal of situation influenced PWB directly. It was also found that all these variables explained 43.6% of total variance of female elderly's PWB, and that individual resources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in predicting PWB of elderly females.

      • KCI등재

        오스카 슐램머 무용 개념의 재발견

        정혜정 ( Hye Jeung Chung ) 한국무용예술학회 2008 무용예술학연구 Vol.24 No.-

        이 논문은 독일 스투트가르트 출신 미술가이자 바우하우스의 교수진이었으며 안무가로 활동했던 오스카 슐램머의 작품과 그의 작품의 개념을 둘러싼 지난 80여년 간의 엇갈린 비평적 견해에서 출발했다. 슐렘머는 추상 무용이라는 용어를 창조한 장본인으로서 1920년대 이미 미국의 포스트 모던 움직임이 일어나기에 앞서 일상적 움직임을 무용에 도입하는 한편 스토리가 없는 추상적인 작품 스타일을 추구하면서 아울러 무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안무 요소인 움직임 만큼이나 공간, 음악, 조명, 의상, 소품 등 다양한 안무요소의 동일한 중요성을 중시하는 토탈 댄스 띠어터를 주창하여 무용의 새로운 안무적 가능성을 개척하였다. 하지만 미술가나 교육자로서 업적을 인정받았던 것과는 달리 안무자로서 무용사에 기록된 그의 업적은 극히 제한되어 있다. 슐램머의 작품“삼원 발레”가 1932년 파리의 국제 무용대회에서 3등상을 수상한 것을 비롯“삼원 발레”및“바우하우스 발레”가 많은 무용 및 음악 페스티벌에 초대되는 등 당시 예술가들 사이에서 각광 받던 것과는 달리 당대 비평가들은 그의 작업을 무의미한 실험 혹은 그 당시 유럽 예술계에 팽배해 있던 사회주의자나 구성주의자들의 개념과 동일시 취급하여 그의 무용 개념을 단순히 기계적 혹은 비인간적이라 분석하여 왔다. 또한 나찌가 독일 정권을 장악한 후 슐램머의 작품을“타락한 예술”이라 명명한 후 부터 슐램머는 그 어떤 예술 활동도 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그의 작품에 대한 접근이 철저히 봉쇄되거나 많은 작품이 파손되었고 결과적으로 후대에서는 슐램머의 작품을 제대로 접할 기회가 없어 오랜 세월 슐램머의 작품은 그저 과거의 비평가들이 문헌에 남겨 두었던 기존의 비인간적 혹은 기계적이라는 부정적 해석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1960년대 유럽의 안무가들이 30여년간 단절되었던 슐램머 작품들을 재구성하여 무대에 올리면서 슐램머 작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그의 작품 개념 또한 긍적적인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특히1980년대 미국 안무가 데브라 맥콜이 재구성한 바우하우스 댄스가 미국 무용계에 소개된 후에는 슐램머의 작품이 포스트 모던 댄스 맥락하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으며 또한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난 인간의 형태는 기계적 혹은 비인간화된 모습이기 보다는 추상화된 인간의 모습이라 평가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슐램머 작품에 대한 재평가 역시 슐램머가 자신의 작품 속에서 진정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인간이 모든 것의 중심에 놓여있다는 인간의 중요성이나 인간과 공간의 관계 다시 말해 1차대전 이후 절망에 빠져 있던 독일의 정치적 사회적 맥락에 근거한 인간과 인간이 존재하는 사회(공간)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슐램머의 탐구를 심도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추상무용 및 포스트모던 댄스의 선구자로서의 슐램머의 무용사적 업적에 대한 재평가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그의 제반 조건으로 슐램머의 무용작품과 글을 둘러싼 엇갈리는 비평적 논쟁 및 시대의 흐름에 따른 비평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슐램머의 작품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그의 작품의 재평가의 기틀을 마련코자 하였다. 또한 슐램머가“공간 속의 인간”이라는 작품 개념을 통해 인간과 사회가 서로를 자극하고 좋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이상적 사회 형성에 대한 자신의 확고한 의지를 그의 무용 작품 속에 담고 있으며 그의 작품 개념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이루어져야만 그의 무용 개념이 무용사에 끼친 영향 및 인류에게 전달하는 진정한 메세지를 올바르게 정의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