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김성렬(Sung Reul Kim),이은미(Eun Mi Lee),김선희(Sun Hee Kim),김윤옥(Yun Ok Kim),김희정(Hee Jung Kim),박명순(Myoung Soon Park),조정현(Jeong Hyun Cho),정해광(Hae Kwang Jung),한금선(KuemSun Ha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암 환자 간호와 관련교육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2009년 4월 13일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과 부산 소재 3개 간호대학의 간호대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McCaffery et al.(1990)의 통증에 관한 지식 및 태도 평가도구를 Kim MJ(1997)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의 전체 평균 점수는 49.5 (±11.2)점으로 나타났다. 암성 통증 관리의 지식에 관한 점수는 통증사정이 51.0 (±16.3)점, 진통제 약물투여는 46.4 (±22.8)점, 진통제 약물 작용이 51.1 (±15.3)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암성 통증 관리 지식은 암성 통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학생이 받지 않은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22), 암 환자에 대한 실습경험이 있는 학생이 실습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4). 본 연구결과와 같이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한 간호대학생들의 지식과 태도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암성 통증에 대한 지식정도와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암성 통증 관리에 관한 적절한 교육 내용을 포함한 교과과정과 실습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Korea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the pain management for the patients suffering cancer. Total 289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and one college in Seoul and Busan area were participated. The data collection conducted from April 13 to 21, 2009. A SPSS program (Version 11.5) wa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The data were obtained using scale for evaluating nurse knowledge and attitude for pain developed by McCaffery and Ferrell. The average score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n cancer pain management was 49.5 (±11.2). The scores of sub-dimensions of knowledge on cancer pain management were as follows: pain assessment 51.0, drug administration 46.4, and pharmacokinetics of opioids 51.1. Fifty-two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reluctant to administer opioid analgesics for controlling the cancer pain of their future patients. The more the students received education and had clinical experience regarding the cancer pain management, the higher their scores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n the cancer pain management was. The education and clinical experience concerning cancer pain management were critical factor for better knowledge and attitud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is regards, developing the specific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how to manage patient’s cancer pain in the curriculum would be beneficial to improve the appropriate cancer management for patients suffering severe cancer pain. (Korean J Str Res 2010;18:337∼344)

      • KCI등재

        스페인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한국의 현대 : 오르떼가를 중심으로 Ortega centered

        정해광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2

        철학원전에 대한 번역은 저자의 의도 뿐 아니라 그 사상이 생성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좋은 번역서를 내기 위해서는 언어적 감각이외에 저자에 대한 애정과 한 시대를 통찰할 수 있는 안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페인 철학이 어떻게 한국사상과 관련을 맺을 수 있는지 또 그들의 사상이 우리사회 혹은 한국사상계에 어떤 영항을 끼칠 수 있는지 오르떼가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그의 인식론에 대한 정의는 '번역과 근대성'이라는 주제를 벗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에서는 인식론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오르떼가가 당대의 철학사조를 어떻게 극복하려 했는지 몇몇 주제어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면서, 이를 번역한 내용과 번역자의 의도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오르떼가의 사상이 낙관주의에 기인하는 것처럼, 본 연구는 스페인 원전번역의 실상에 대하여 문제점을 부각시키기보다는 역자의 노고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이는 스페인철학의 유입이 불과 30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지녔고 스페인철학 전공자가 한명도 없는 상황에서 10여권의 책이 출판된 것은 큰 성과이며,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비판적인 시각 뿐 아니라 공에 대한 아낌없는 후원역시 하나의 길이 될 수 있음을 믿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스페인철학을 전공하지 않았으면서도 스페인철학을 한국에 소개하기 위하여 고군분투한 정영도의 『인간과 기술』, 김영국의 『대중의반역』, 박상규의 『예술의 비인간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이러한 원전이 철학전공자의 번역서를 중심으로 번역 과정에서 드러난 용어, 개념, 내용 등이 어떻게 변화했고, 어떠한 영항을 미쳤는지 그 사상적 가치와 현실적 유효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개개의 언어에는 비밀이 있고 메시지가 남겨있다. 번역어 역시 새로운 언어를 찾기 위한 번역자의 사상과 메시지가 남겨 있다. 근래에 번역을 기능이 아닌 학문의 한 분야로 인정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지만, 번역자의 의식이 과연 창조의 세계에까지 도달할지는 의심의 여지가 있다. 한국사회는 다양성 네지 개방성을 잘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번역 역시 자유롭지 못하여 창조에의 길은 아진 멀리 있다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능성은 있다. 오르떼가가 철학자이자 문학자차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철학자들이 철학연극' 이외에 새로운 지적 작업, 즉 일전번역에 노고를 들이는데서 한국에서의 번역문화는 새로운 지평을 열수 있다고 생각한다. We have to translate the original text of philosophy in due consideration of not only the intention of the author but also the social-cultural background. To translate well, we need affection about the author and appreciation for an insight into an era.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author 'Ortega', how Spanish philosophy is related to Korean thoughts and what Korean society or the world of thought in Korea is influenced by Spanish thoughts. Since the definition about his epistemology digresses from the subject 'translation and modernism', I concentrate more in the study how Ortega got over the trend of philosophy of those days than any other subject and analyse the meaning of several themes in reference to the formative progress of his epistemology. It is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the translated contents and the intention of the translator. As Ortega's thoughts are caused by optimism, I take the positive stand about the result of translator's labor, although there are a few problems about the translations of spanish original text.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Spanish philosophy was introduced in Korea only about 30 years ago and there is no one who majors in Spanish philosophy, it is great success that more than 10 books are published. I develop discussions in reference to these books - 'Human and Technology' by Jung, Young do, 'Treason of the Public' by Kim, Young Guk and 'Inhumness of Art' by Park, Sang Kyu. Studying the changes of terms, concepts and contents in translation progress, I look into the value and availability of the thoughts. Each languages has secrets and special messages. Translated languages also have the thoughts and messages for the translator to seek for the new language. Recently, although translation is recognized not a skill but a branch of learning, it is doubtful whether the translation is the sphere of creativity. Especially in Korean society, it is difficult to translate freely. We cannot yet define the translation as the creation. Nevertheless there exists possibility. Ortega is a literary man as well as a philosopher and Korean philosophers could be. So I am hoping that the Korean philosophers make efforts in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besides studying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일제 시기 '번역'에 의한 '동양'관의 성립에 관한 연구

        정해광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1

        현대 한국철학의 형성과 전개과정은 일제 강점기의 식민주의 아래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한국철학은 서양철학의 수용과 자생적 대성의 모색에 있어서 일제의 동양주의나 식민지적 유산으초부터 자유롭지 못하였다. 19세기말 봉건 지배층 내부에서는 문명화를 절실하게 느끼는 일부 지식인들에 의해 일본과 서구 열강을 통해 조선의 자주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했으나, 이는 결국 일본의 침략을 초래하였다. 이초 인해 지식인들의 문명화 노력은 식민지 대성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양면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신문, 잡지 등등에 나다난 다양한 동양관을 살피고 있다. 하지만 아진 어떤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식민지경험 속에서 싹튼 다양한 동양관의 의미와 맥락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만 식민진 경험을 극복되지 못한 유산으로 볼 것이 아니라, 고통스러운 경험 속에서 독자적인 창조성, 새로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무엇으로 보려는 시각이 중요함을 시사하고자 했을 뿐이다. It is said that the 20th Korean philosophy has evolved from the dark age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Japanese Imperialism prevented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from the search for the independent Modern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state. Some enlightened literati that had felt keenly the necessity of `the civilized Chosun', striv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dependant nation-state by virtue of Japan or Western powers. But the results of the plan broken down and eventually caused the coercive domin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thesis considers the various viewpoints of `Asia' that expressed in journals, new papers, and magazines pubilished in the period from 1910s to 1930s. After this thesis examined the concrete views, it ends with the suggestion that Korean Asianism or orientalism has expressed the ambivalence, the modernity in submission to imperialism and the spirit of enterprise for new enlighte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