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老年學』의 심리학 분야 연구동향

        정태연(Jung Taeyun),윤가현(Youn Gahyu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여 학술적인 측면에서도 노년기의 심리를 다룬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노화의 심리적 과정을 다루는 심리노년학이나 노년기의 심리학을 다루는 노년심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관심은 남은 생애 동안 높은 삶의 질과 안녕감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난 10년 간 『한국노년학』에 실린 심리학 분야 논문 중 자살(우울)의 문제를 다룬 91편의 논문과 노화 및 성공적 노화에 대한문제를 다룬 31편의 연구를 분석하여 그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또 이를 초기 30년의 연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이 자살이나 일상생활에 미치는 직접적 혹은 매개적인 효과를 다룬 연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노인/노화에 대한 인식이나 그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여준 연구, 그리고 성공적 노화 및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이러한 주제를 다룬 연구가 첫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노년기 여생의 삶의 질의 제고 맥락에서 논의하였다. Academic research of the elderly psychology flourishes in an aging society. The basic concern of both psycho-gerontology dealing with psychological processes of aging and geronto-psychology dealing with psychology of the elderly is with the maintenance of high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Give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examined research trends of 91 depression and suicide studies and 31 aging and successful aging studies, and compared the trends with those identified in studies published within the first 30 years. It was found that a majority of studies are concerned with the direct or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e and everyday life, risk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perceptions of aging and factors influencing those perceptions, and successful aging and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Further, the number of studies of these topics is greater than that of studies published within the first 30 year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heighten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older adults.

      • KCI등재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

        정태연(Jung, Taeyun),조은영(Cho, Eunyoung)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외로움과 생활만족도가 배우자와의 동거여부, 동거가족의 유형, 배우자와의 사랑 그리고 정서적 지지의 정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2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225명(남: 152명, 여 55명, 무응답: 18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배우자와 동거하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배우자에 대한 책임감 및 배우자로부터의 정서적 지지가 높았고 배우자로 인한 외로움은 낮았지만, 그 외의 종류의 외로움이나 생활만족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동거 유형의 경우, 혼자사는 노인이 책임감, 배우자나 자녀로 인한 외로움을 더 크게 경험하는 경향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동거유형 간에 노인들의 사랑, 정서적 지지,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에서 중요한 차이는 없었다. 참가자들을 사랑의 세 하위유형에서 얻은 점수에 근거하여 네 유형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는데, 배우자로부터의 정서적 지지에서는 이 집단들 간에 차이가 있었지만, 외로움이나 생활만족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배우자와의 사랑,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의 차원에서 볼 때, 배우자, 자식 및 친구의 정서적 지지 각각에서 모두 낮은 집단이 배우자와의 사랑 및 생활만족도에서 낮았으며 외로움 수준은 높았다. 반면, 모두 높은 집단은 배우자와의 사랑 및 생활만족도에서는 높았으며 외로움은 낮았고 나머지 두 집단은 중간에 위치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노년기의 외로움과 생활만족도에서 정서적 지지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arriage status, types of family, romantic love, and emotional support from spouse, children and friends on loneliness and life-satisfaction of the aged. For this purpose, 225 aged people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concern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ose who were living with their spouses wer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marital commitment, emotional support and loneliness related to spouse, but not in overall loneliness and life-satisfaction. In relation to family types, aged persons living single were unfavorable in marital commitment and loneliness due to their spouse and children, family types were not critical in their psychological health. Romantic love with spouse were linked to emotional support from spouse, but not to loneliness and life-satisfaction. However, the group emotionally least supported from spouse, children and friends were the most disadvantageous in romantic love, loneliness and life-satisfaction, the group most supported were the most advantageous, and the groups modestly supported were between these two extreme group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emotional support in loneliness and life-satisfaction of the aged.

      • KCI등재

        「한국노년학」에서 다룬 노인의 심리적 특성

        정태연(Taeyun Jung)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년학회가 1980년도부터 발행한 「한국노년학」에 실린 심리학 관련 연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지난 30년 간 총 130편의 심리학 관련 논문이 출판되었다. 1980년에는 총 19편이 출판되었는데, 이 중 14편이 경험적인 연구이고 나머지 5편이 문헌고찰이다. 1990년에는 총 51편이 실렸으며, 이 중 49편이 경험적 연구이고 2편이 문헌고찰이다. 2000년대에는 총 60편이 나왔으며, 경험적인 연구가 56편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문헌고찰 연구나 이론적 연구는 4편에 불과했다. 주로 다룬 주제는 노인의 정신건강, 삶의 만족 및 여가, 부모부양 및 가족관계, 노년기 인지적 변화 그리고 노년기 일반 등이다. 연대별 연구추이를 살펴본 후, 주제별로 관련 연구를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psychological studies which have appear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All told, 130 psychological papers have published for the last 30 years. Nineteen studies appeared in the 1980's, among which were 14 empirical ones and the remainders were review papers. In the 1990's were 51 papers published, and 49 ones were empirical and the rest of 2 literature review ones. In the 2000's did 56 papers appear, among which 56 ones were empirical and the rest of 4 literature review or theoretical on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about the aged were about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leasure, parent care and family relations, developmental change in cognition, and the old age general. After review of research trends for the last three decades, findings on each of research topics were examined. Finally, some limitations on the previous studi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mentioned.

      • KCI등재

        한국사회 중년 남성의 인생 회고와 삶의 재평가

        장민희(Minhee Jang),정태연(Taeyun Jung)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3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중년 남성들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회고하고 재평가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막내 자녀가 고등학생 이상인 중년 남성 20명을 심층 면접하였다. 질문은 크게 결혼 전과 결혼 후로 나뉘었으며, 연대기적인 순으로 아동청소년 시기, 성인 초기, 현재 중년기, 예측하는 미래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참여자들의 이야기를 중심 의미로 환원함으로써 주제문을 도출하는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였고, 총 1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어린 시절에 대해서 원가족의 객관적인 경제적 형편이나 가정화목과는 상관없이 대부분이 긍정적으로 회고하였고, 성인 초기에는 효를 다할 수 있는 배우자를 찾는 것, 성인 중기에는 배우자와의 관계 개선 및 소중함에 대한 인식, 직업으로부터 얻는 자신의 정체성과 스트레스, 건강과 노후 염려, 자녀의 미래 등이 중요했다. 참여자들은 미래에 대해서 대부분 낙관적으로 예측했으며, 매우 소박한 꿈을 꾸면서도 실현 여부에는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배우자 만족과 직업 만족이 현재 삶의 만족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향후 중년남성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Korean middle-aged men reminisce and re-evaluates their lives. To verify, depths interview was conducted on 20 Korean middle-aged men whose youngest child's age is 17 and above. Interview question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efore and after marriage. Participants are asked to respond freely in chronological order from childhood, adolescence, early adulthood, current middle-age, and anticipated future.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 15 different topics were yielded by revivifying the central meaning of the participants' narratives. Regardless of objective economical difficulty or home being peaceful, most participants positively recollected their youth. In early adulthood, finding a marital spouse who has capability of carrying out filial duty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and in middle adulthood, improving the relationship with and acknowledging the value of their marital spouse, acquiring vocational identity and stress managing, health concern and concern of later years, and their children's future was the most important concerns. Most of them positively forecasted their future however they did not give meaning as to fulfillment of their dreams. Finally, vocational satisfaction and spouse satisfaction were determinants of current mid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nd along with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ality of future studies on middle-aged men.

      • KCI등재

        삶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에 대한 세대차이 연구

        최재원(Jaewon Choi),정태연(Taeyun J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한국사회는 다양한 세대 차이로 갈등을 겪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MZ 세대와 기성세대 사이에 개인주의-집단주의, 삶의 목표,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 소비와 일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MZ 세대 148명(남: 52명, 여: 96명, 평균 연령 = 27.6세)과 기성세대 103명(남: 41명, 여: 62명, 평균 연령 = 53.8세)에게 관련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주의-집단주의, 삶의 목표, 출산에 대한 인식, 소비에 대한 태도에서 세대 차이는 몇몇 하위 요인에서만 나타났고 전반적인 수준에서는 없었다. 결혼 관련 MZ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더 낭만적, 배타적, 도구적 그리고 소극적인 태도로 보였다. 또한, MZ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일에 대한 헌신이나 만족도, 공정성에 대한 지각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서 문화 변동과 세대의측면에서 논의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individualism-collectivism, life goals,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nd attitudes toward consumption and work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using related measures, 148 of the MZ generation (male: 52; female: 96; Mean of age: 27.6 years) and 103 of the older generation (male: 41; female: 62; Mean of age = 53.8 years) were surveyed.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generational differences in individualism-collectivism, life goals, perceptions of childbirth, and attitudes toward consumption were not found with exceptions in a few sub-factors. MZ generation appeared to be more romantic, exclusive, instrumental and passive in marriage and had a lower commitment to work, satisfaction, and perceived fairness than the older generation. Thes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existing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ed in terms of cultural change and generation.

      • KCI등재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생활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

        박준성(Junseong Park),정태연(Taeyun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생활스트레스와 행복 간의 관계에 낙관성, 자기조절 그리고 신앙심이 미치는 중재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중ㆍ노년기에 해당하는 개신교인 148명과 비종교인 8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스트레스, 낙관성, 신앙심 그리고 행복에서 개신교인이 비종교인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지만, 자기조절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개신교인과 비종교인 모두에게 생활스트레스와 행복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종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개신교인의 경우, 낙관성, 자기조절 그리고 신앙심이 이 둘간의 관계에 유의미한 중재효과를 보였지만, 비종교인의 경우에는 낙관성에서만 유의미한 중재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ㆍ노년기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교와 관련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self-regulation, and religiosity to life-stress on happiness between Protestants and non-believers in middle-age. Total of 233 participants - 148 Protestants and 85 non-believers -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f life-stress, optimism, self-regulation, religiosity, and happiness.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indicators between two groups, in first result, indicated that Protestants had more life-stress, optimism, religiosity, and happiness than non-believers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Second result indicated the happiness of either Protestants or non-believers explained negatively by life-stress. On the other hand, happiness was explained positively by optimism, self-regulation, and religiosity of Protestants played a moderating role. But in non-believers, show by optimism played a moderating role.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result, and their implications for happiness on middle-ag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Korean J Str Res 2011;19:31∼38)

      • KCI등재

        한국인의 종교성에 대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검증

        박준성(Junesong Park),정태연(Taeyun Jung) 한국종교학회 2011 宗敎硏究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finding th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ligiosity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s, 2 types of research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1 and 2 were performed with total 1,431 people who are Protestants(n = 469), Rome Catholics(n = 325), Buddhist(n = 242), and non religious people(n = 395). In research 1, 6 factors of religiosity scale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bordinate factors were religiosity, goal setting, humility, families, economic accomplishments, social relationship. And research 2 for external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newly developed scales of religiosity scale and existing scales of religious orientations(Allport & Rosss scales, Batson & Ventiss scales). Newly developed scales show high validity with existing scales of religious orientations. Protestants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wly developed scales and existing scales of religious orientations. Also Rome Catholics were positive correlation them. But some of Buddhist, Some they were not positive correlation. Finding results show religion and culture-specific way. Overall, these results show religiosity are not only for religion, but also psychological,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variables in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