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는 공존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듀이 ‘자연과의 상호의존성’ 개념의 명확화를 중심으로

        정철희 ( Jeong¸ Cheolhee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 사회에 폭증하고 있는 혐오 현상을 극복하고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공존적 삶의 태도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탐구한 것이다. 우리가 마주한 코로나19라는 위기 상황은 궁극적으로 ‘자연과의 분리’와 ‘공동체와의 분리’라는 복합적인 분리 현상에 원인이 있다는 측면에서, 듀이의 ‘자연과의 상호의존성(natural piety)’ 개념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사회의 상호작용과 관계의 회복을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교육하는 일의 중요성과 함께 학교의 구체적 역할을 도출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연구자는 먼저 듀이의 ‘자연과의 상호의존성’ 개념을 그의 다른 저작과 연결하여 명확화하였으며, 이 개념의 핵심을 (ⅰ) 의존성, (ⅱ) 총체적 환경으로서의 자연, (ⅲ) 지성적 탐구로서 설명하였다. 여기에 근거하여 학교가 공존을 가르칠 수 있는 구체적 원리로서 (ⅰ) 관계의 회복과 의사소통 교육, (ⅱ) 통합적 생태교육, (ⅲ) 삶의 연속성 교육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자연과의 상호의존성’을 획득한다는 것은 자아와 세계를 분리하는 상황에 저항하는 삶의 태도인 동시에, 차이를 아우르는 ‘곁’을 늘려가는 공존적 태도를 지닌 시민으로 성장한다는 것임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overcome the hate phenomenon that is exploding in our society due to COVID-19 and teach an attitude of coexistence in living together. Dewey's concept of “natural piety” is applicable in the sense that the crisis situation we face is ultimately caused by the complex separation phenomenon of “separation from nature” and “separation from community.” This study provides numerous implications for deriving the specific role of schools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educating students on a life attitude that seeks to restore th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between humans and society. First, Dewey's concept of “natural piety” was clarified by linking it with his other works, and the core of this concept was explained as (i) dependence, (ii) total environment, and (iii) intellectual inquiry. Based on this, as specific principles that schools can teach in regard to coexistence, (i) education for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i) integrated eco-education, and (iii) continuity of life education were proposed. Furthermore, I explain that acquiring “natural piety” is a life attitude in of resisting situations that attempt to separate the self and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growing into a citizen with a coexistence attitude that increases “side”-encompassing differences.

      • KCI등재

        듀이의 ‘철학의 역할’ 개념에 근거한 프래그머티즘적 교육철학의 역할 탐구

        정철희(Jeong, Cheolhee) 한국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 Vol.68 No.-

        In order to derive Pragmatic philosophy of education s role, I researched Dewey s book which suggested “role of philosophy” from the viewpoint of Pragmatic point as chronologically analyzed during early, middle and late works. As a result, I derived ‘criticism’, ‘interpretation’, ‘solution and reform’, ‘pursuit of better life and growth’ as role of philosophy. By applying these concept to education, first, the criticism of education policy and criticism of old habit. This will lead to education in a more advanced direction than it is now. Second, interpretation and clarification of educational research results. Third, it have to provide principles of educational problem solving, social reform and culture creation. Because philosophy of education is deal with the ‘value’ rather than ‘truth’. Fourth, the pursuit of beauty and the artistic development of educational experience. This could serve as a bridge between education and life.

      • KCI등재

        코로나 시대, 교사는 잃어버린 교육 리듬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가?: 듀이 리듬 개념의 명확화를 중심으로

        정철희 ( Jeong Cheolhe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듀이의 리듬 개념에 근거하여, 코로나19로 교사들이 상실한 교육 리듬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듀이가 제시한 리듬 개념의 핵심은 ‘심미적 반복’, ‘균형으로의 변주’, ‘시공간의 통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심미적 반복’은 기계적 반복이 아니라,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와 관계들의 반복을 의미한다. 리듬 개념은 ‘균형’ 개념으로 변주되며, 그가 말한 균형은 정적 배분이 아닌, 동적인 재배치의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심미적 반복과 동적 재배치의 과정이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이 분리되는 것이 아닌, 통합된 ‘상황’으로 존재해야 함을 설명하였다. 듀이가 의도한 시공간이 통합된 상황이 ‘일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에서 경험의 다양한 요소를 통합하고, 그 속에서 의미와 성장을 추구하는 총체적 과정이 듀이가 말한 ‘리듬’ 형성의 과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잃어버린 교육 리듬을 회복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으로 ⅰ) 일상의 연구화, ⅱ) 균형적 세계관의 회복, ⅲ) 성장의 공동체 형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recover teachers’ educational rhythm due to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Dewey’s concept of rhythm. The core of the rhythm concept proposed by Dewey can be summarized as ‘aesthetic repetition,’ ‘variation in balance,’ and ‘integration of time and space.’ Aesthetic repetition means repeating various elements and relationships that make up the environment, not mechanical repetition. This concept of rhythm is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balance.’ The balance, Dewey argues, is not a static distribution but a process of dynamic rearrangement. Finally, he explained that for this process of aesthetic repetition and dynamic relocation to be properly implemented, time and space must exist as an integrated rather than separate ‘situation.’ The situation in which time and space are integrated can be seen as ‘daily life’ in simpler terms. The overall process of integrating the various elements of daily life experience and pursuing meaning and growth in it can be seen as the process of forming ‘rhythm,’ as Dewey said. Based on this, I proposed the following: i) the inquiry of daily life, ii) the restoration of a balanced worldview, and iii) the formation of a community of growth, as a concrete way for teachers to recover the lost educational rhythm.

      • KCI등재

        코로나 시대, 교사는 종교에 대해서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 듀이 종교론을 중심으로

        정철희 ( Jeong Cheolhe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종교에 대한 다양한 비판적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지금, 공교육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교사는 과연 종교에 대해서 무엇을 말할 수 있으며,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에 대해 철학적으로 탐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Dewey의 후기 저작인 『공동 신앙(A Common Faith)』에 제시된 종교론을 분석하였으며, 그 핵심을 ‘종교적 경험’, ‘신’, ‘민주적 공동체’로 제시하였다. 그의 종교론에 따르면 종교는 절대적 존재에 의지하는 명사적 개념으로 정의할 수 없으며, 자신의 삶을 보다 나은 것으로 만드는 상태인 ‘형용사적 상황’으로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영역의 것이다. Dewey는 ‘신’ 개념 역시 특정 초월적 존재가 아닌, ‘다양한 이상적 가치의 총합’으로 설명하며, 그러한 이상이 우리 삶에서 구현되는 과정에서 사회가 ‘민주적 공동체’가 된다고 말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Dewey의 종교론에 근거하여, 코로나19 상황에서 증가하고 있는 타인에 대한 혐오와 배타적 태도, 초월적 존재에 대한 맹목적 신념이 지닌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나아가 교사는 학생들이 추구해야 할 삶의 태도로서 ‘종교적 경험’의 가치에 대해서 말할 수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그 구체적 내용으로 ⅰ) 형용사적 가치 추구의 태도, ⅱ) 배타성의 극복, ⅲ) 민주시민의 참여적 태도에 대하여 논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bout what is the essence of religion, now that various critical voices on religion are flowing in the Corona 19 situation, and what can teachers who practice public education in the field really say about religion? I analyzed the theory of religion presented in Dewey's later work, A Common Faith, and suggested its core as 'religious experience', 'god', and 'democratic community'. According to his theory of religion, religion cannot be defined as a noun concept that relies on absolute existence, but it is a realm that can be experienced as an adjective situation, a condition that makes one's life better. The concept of 'God' is also explained as 'the sum of various ideal values' rather than transcendental beings, and it is said that society becomes a ‘democratic community' in the process that such ideals are embodied in our lives. Based on Dewey's theory of religion, I criticized the problems of the increasing hatred and exclusive attitude toward others and blind belief in transcendental beings in the Corona 19 situation, and suggested that teacher should be able to talk about the value of 'religious experience'. Specifically, it discussed ⅰ) the attitude of pursuing adjective values, ii) overcoming exclusivity, and iii) the participatory attitude of democratic citiz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