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경험과 돌보미와의 관계의 질이 서비스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진경(Jin Kyung Jung),정세희(Sea Hee Ju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5 노인복지연구 Vol.0 No.67

        본 연구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정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이용자 선택권과 재가서비스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중요시되는 서비스 제공자와의 관계의 질이 서비스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자료는 서울 · 경기지역의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노인으로부터 전문면접조사에 의해 수집된 178부이다. 조사결과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노인 중 기관이나 돌보미를 선택한 경험은 각각 28.7%와 37.1%로 매우 적으며, 돌보미와의관계 신뢰(평균 4.34) 및 관계 몰입(4.23), 그리고 서비스 이용만족도(평균 4.37)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분석결과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만족은 이용자의 선택경험 보다는 돌보미와의 관계의 질에 의해 유의미하게 설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노인돌봄 종합서비스 영역에서의 이용자 선택권의 한계 및 돌봄서비스 제공인력에 대한 정책적 관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how service satisfaction would be affected by users’ rights to choose among agencies or carers for service and by their relations with service providers. Users’ right to choose is emphasized in the comprehensive elderly care service policy, and users’ quality relations with service providers are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issue at the home care service sites. Data were collected from 178 elderly interviewees who actually consumed comprehensive elderly care service in two regions,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reveals that while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interviewees reported that they have ever chosen agencies (28.7%) or carers (37.1%) for service, the levels of relational qua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higher among them. Furthermore, reg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relational quality is a better factor for service satisfaction than choice experience. These results are followed by a discussion of limitations of users’ right to choose in elderly care service. Finally policy suggestions are offered in regard with care service manpower.

      • KCI등재후보

        공적사회복지서비스 행정기관 고객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진경(Jin Kyung Jung) 한국공공관리학회 200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3 No.3

        본 연구는 동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행정기관의 공적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자료는 서울시내 13개 동 주민자치센터의 공적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에 의해 수집된 276명의 자료이다. 분석결과, 전체 행정기관 고객만족도는 5.62점(7점 척도)이었으며, 기관환경 5.49, 서비스 5.51, 직원 5.80으로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공적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들의 행정기관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용자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는 월평균 수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 이용특성 요인 가운데, 이용기간은 고객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 서비스에 대한 제공 충분성이 높게 인식 될수록, 이용자가 주로 만나는 전담공무원이 있는 경우가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적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들의 낮은 인적자본 요인보다는 행정 기관의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요인들이 그들의 고객만족도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impact factor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who use public welfare services at dong-local community centers. 276 cases which were collected by interview survey in the Seoul area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otal average of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public welfare agency is relatively high(5.62). And the only monthly income in the individual demographic factors influenced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ly. The other hand, the duration of using the public welfare agency influenced on negatively, and the service sufficiency influenced on positively. This study emphasized on the efforts to increase and verify of social welfare services not on the lower human capital of the service’s users.

      • KCI등재

        온라인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봉사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 온라인과 오프라인 자원봉사자의 비교

        정진경 ( Jung Jin Kyung ),천희 ( Cheon Hee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8 시민사회와 NGO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자원봉사의 정의와 주요 특성들을 개념적으로 정리하며, 오프라인 자원봉사자와의 비교를 통해 온라인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봉사활동 특성을 실증적으로 발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 자원봉사는 인터넷을 부분적 혹은 전적으로 기반하여 수행하는 자원봉사활동의 방식으로 정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2015년도 행정자치부의 온라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에 의해 수집된 3,668명의 자원봉사자 자료를 대상으로 한 2차자료 분석이다. 분석자료 중 온라인 자원봉사자는 15.3%이며, 온라인 자원봉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여성과 가정주부 및 60대에 비해 남성과 10대, 중고교 재학생 및 일반사무직에서 온라인 자원봉사에 좀 더 많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았고, 대도시 및 중소도시와 농어촌이라는 거주지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문화예술/스포츠/종교 영역에서 온라인 자원봉사자가 오프라인 자원봉사자 보다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가장 많이 수행한 온라인봉사활동 일감은 캠페인 참여 등 일상의 나눔실천과 모금활동 지원이었다. 그리고 온라인 자원봉사자의 평균 봉사활동 시간은 오프라인 봉사자와 차이가 없는 반면, 평균 봉사활동 횟수와 전반적인 봉사활동 만족도에 있어서 온라인 자원봉사자가 오프라인 봉사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접근성과 온라인 활동 친화적인 계층을 대상으로 대면봉사보다는 기관의 전문적 수요에 착안한 비교적 적은 횟수와 짧은 시간 동안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상의 온라인 자원봉사자 커뮤니티 구성과 지지 및 유대감 지속을 위한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온라인 봉사자와 오프라인 봉사자의 성향매치분석 및 온라인 봉사자의 봉사활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등 후속연구들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ly summarize the definitions and main characteristics of online volunteering and to empirically fi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volunteers' socio-demographic and volunteering activities through comparison with offline volunteers. In this study, online volunteering is defined as a method of volunteering that is performed partially or entirely based on the Internet. The analysis data are 3,668 volunteer data of secondary data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in 2015, of which 15.3% are online volunteer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le and teenagers,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office worker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online volunteering than women and housewives and those over the 60 old age peop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Online volunteer activities are more in the arts / sports / religious areas than face-to-face service areas. The average volunteer hours of online volunteers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offline volunteers. But on the average number of activities and overall satisfaction, online volunteers were lower than offline volunte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a program developing that can participat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nd focusing on the professional needs of the institution rather than face-to-face service for targeting the internet accessibility and online activity-friendly classes. And the necessity of management for sustaining support and ties. In addition, we suggested follow up analysis using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of online volunteers and offline volunteers, and their effect on volunteer service satisfaction of online volunteers.

      • KCI등재

        OECD 국가의 국가복지수준과 민간나눔수준 결합유형에 따른 사회통합의 특성 연구

        정진경(Jin kyung J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cohesion is differentiated by the typology of state welfare and voluntary action, based on the State- Society Synergy and Co-production theory. To explore this question, OECD 34 countries were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and MANOVA. Cluster analysis yielded four types of state welfare and voluntary action: high state welfare-moderate voluntary action (8 countries), moderate state welfare- low voluntary action (9 countries), moderate state welfare-high voluntary action (12 countries), and low state welfare-low voluntary action (5 countries). According to this categorization, MANOVA resulted in important findings. Social cohe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four types of state welfare-voluntary action. Especially, ‘high state welfare-moderate voluntary action’type shows the lowest inequality and the highest voter turnover, by contrast, ‘low state welfare-low voluntary action’type shows the highest inequality. And ‘moderate state welfare-high voluntary action’type shows the highest life satisfaction and trust. Upon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 to Korea, as categorized into‘low state welfare-voluntary action’. 본 연구는 국가-사회 시너지 접근과 공동생산의 이론적 시각을 기반으로 국가복지수준과 민간나눔수준의 결합유형 및 사회통합의 특성을 탐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OECD 34개국의 공적사회지출비율과 나눔지수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4개의 유형 - ‘고복지-중나눔’(8개국), ‘중복지-저나눔’(9개국), ‘중복지-고나눔’(12개국), ‘저복지-저나눔’(5개국) -을 분류하였다. 이후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통해 공적사회지출수준과 민간나눔수준 결합유형에 따라 사회통합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복지-중나눔’유형에서 가장 낮은 소득불평등도와 가장 높은 투표참여율 특성을, ‘중복지-고 나눔’ 유형에서 높은 생활만족도와 높은 신뢰수준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저복지-저나눔’ 유형에 자리 잡고 있는 한국사회에 시사하는 바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Social Health Insurance for Informal Sector on the path to Universal Health Coverage: A Case of Kenya National Hospital Insurance Fund (NHIF)

        정진경(Jin-Kyung Jung)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2

        연구목적: 본고는 케냐 경제에서 80%에 육박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비공식 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의 보험가입과 유지를 저해하는 요소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가병원보험기금(NHIF)의 재원조달 및 운영체계가 보편 적 의료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건강보험을 실시하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 중 하나로 케냐 정부는 2022년까지 전국민에 대한 보편적 의료보장 달성을 천명하였으며 국가병원보험기금을 중심으로 전 국민의 보험가입을 전략적으로 추진해 왔으나 2018년 기준 NHIF 가입 비율은 전체 인구의 2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는 80% 이상의 국민이 의료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에 대한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방법론: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케냐의 비공식 부문 인구 및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동료검토를 거친 문헌과 관련 정부 문서에서 취합하였으며 효율성(efficiency), 자원 배분에 있어서의 형평성(equity), 투명성(transparency) 과 책임성(accountability)을 분석의 틀로 삼아 보험재정체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불평등한 보험기여금과 요양급여, 임의가입, 사전보험료 납입 방식의 의료보험은 비공식경제 부문 인구에 가입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등록에 필요한 서류 및 복잡한 과정으로 비롯된 행정적 비효율성 또한 가입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다중지급방식은 의료서비스 공급자들이 높은 요양급여가 책정되어 있는 공무원 가입자들을 우선시하도록 한다. 보험혜택에 대한 일관성이 결여된 정보와 취약한 감시구조는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저해하고 부정한 보험청구와 부패를 조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결과 비공식부문 인구의 보험가입과 혜택수급 비율은 낮을 수밖에 없고 환자부담 의료비용에 대한 보호를 제공받지 못한다. 결론 및 시사점: 결론적으로 케냐정부가 목표로 하는 전 국민에 대한 보편적 의료보장 달성을 위해서는 경제의 3/4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비공식경제부문에 종사하는 인구의 보험가입과 유지가 이루어져야 달성가능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 국가병원보험기금의 재원 창출 및 운영 구조를 개선하여 효율성, 형평성, 투명성과 책임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아울러, 비공식 경제부문 인구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뒷받침되어 이 부문 인구가 직면하고 있는 건강 관련 위험과 건강실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고 보험제도 개선에 반영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paper aims to appraise if the health financing system of the National Hospital Insurance Fund (NHIF) in Kenya is feasible to attain universal health coverage (UHC) with a specific research interest in expanding enrolment and retention of the population in the informal economy. Originality: The Kenyan government has committed to achieving UHC by 2022, and the NHIF has been used as one of the key strategies to expand population coverage with a contributory, prepaid mechanism through several reforms undertaken. Nevertheless, NHIF coverage is less than one-fifth of the population as of 2018. This means that more than 80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needs financial protection from healthcare costs. Methodology: Comparable information and secondary data on the Kenya informal sector and health domain were compiled from published and grey literature. Health financing configurations of the NHIF were assessed based on the framework that considers efficiency, equity in resource distributi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Result: It was found that inequitable premium contributions rate and benefit package do not appeal to informal sector individuals to be a member of the prepaid insurance scheme. Administrative inefficiency serves as a deterrence to enrolment. Differential payer mechanisms incentivize the providers to prioritize civil servants members for a higher reimbursement rate. Inconsistent information on the entitlements and weak accountability mechanism undermined monitoring of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and encouraged fraudulent claims and corruption case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health financing arrangement of the NHIF is required to improve its equity, efficiency, and transparency/accountability to expand population coverage to the informal sector and to attain UHC in Kenya. Vigorous additional research on the marginalized population group is urged to fill the knowledge gap in risk exposure and health outcomes per subgroup in the informal sector.

      • KCI등재

        언어권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풍요도 측정 연구 -중국어권, 일본어권, 영어권 학습자 말뭉치의 작문 자료를 대상으로-

        정진경 ( Jung Jin-kyung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1

        본 연구는 중국어권, 일본어권, 영어권 학습자 말뭉치의 작문 자료에 나타나는 어휘 풍요도 즉, 어휘 다양도, 밀도, 세련도를 측정하여 언어권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능력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측정 결과 언어권별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나타난 어휘 풍요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6급 정도의 고급 학습자가 되었을 때, 어휘적 복잡성의 측면에서 살펴본 어휘 능력의 차이가 언어권별로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어휘 세련도의 경우 언어권별로도, 학습자 개인별로도 차이가 좀 더 두드러졌으며, 작문 주제의 난도가 높아질수록 세련도 역시 상승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의 측정 결과를 면밀히 검토하여 향후 언어 권별 학습자의 어휘 풍요도 연구를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는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풍요도 연구가 주로 숙달도에 따른 어휘 능력 측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에 언어권별 학습자의 어휘 풍요도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xical competence of learners by native language by measuring the lexical richness, that is, lexical diversity, density, and sophistication in the writing materials of Chinese, Japanese, and English-speaking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lexical richness in the learners’ writing materials by native langua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interpreted that the difference in lexical competence examined in terms of lexical complexity was not large for each language region when they became an advanced learner of level 6. However, in the case of lexical sophistication, the difference was more pronounced by language region and individual learner, and the sophistication also increased as the difficulty of the writing topic increased. In addition, each measurement result was carefully reviewed to summarize the matter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on lexical richness of learners. Considering that the research on lexical rich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main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lexical competence according to profici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d and analyzed learners’ lexical richness by native language.

      • KCI등재후보

        비영리조직-정부 관계 측면에서 자원봉사센터 운영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정진경(Jung Jin Kyung) 한국비영리학회 2008 한국비영리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248개 지역종합자원봉사센터가 지방자치단체와의 관계 속으로 센터 운영의 자율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BR>  연구를 위해 비영리조직과 정부와의 관계유형 및 자율성 측정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자원봉사센터 운영의 자율성 측정도구 등을 개발하여 조직 운영의 자율성에 대한 내용적 및 계량적 분석을 시도하였다.<BR>  분석결과 첫째, 자원봉사센터는 60% 이상이 지방자치단체의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센터의 운영재원 중 80% 이상이 정부재정에 의존하고 있었다. 둘째, 자치단체와의 업무협의에 있어 정기적 형태보다는 수시적인 형태가 지배적이어서 센터의 자율적 의사결정 및 사업추진이 어려운 단면을 보여주었다. 셋째, 자원봉사센터 운영의 자율성 정도를 조직목표 및 사업, 인사 및 업무, 예산 및 의사소통 측면에서 측정한 결과, 자원봉사센터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는 영향력은 5점 만점 중 평균 3.46점으로 대략 70% 정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원봉사센터의 운영 특성에 따라 민간운영 센터, 자체 운영지침이나 인사지침을 가지고 있는 센터가 그렇지 않은 센터들에 비해 자율성 정도가 더 높았음을 발견하였다.<BR>  본 연구는 정부에 대한 비영리조직 운영의 자율성을 과학적인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적용하였다는 점과, 본 연구결과가 향후 자원봉사센터의 운영형태와 관련된 논의에 실증적인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that how volunteer centers was operated with it’s autonomy. For this study I examined previous studies which concerned the types of NPO - Governmental relationship at first, and then I surveyed on 67 volunteer centers by autonomy measurement.<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 60% of the volunteer centers are opera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over 80% of the volunteer centers are depend on their financial resources to local government. Second, in aspect of business cooperations between volunteer centers and local governments, the local government was very involved in the evaluations and monitors with not consistantly. Third, as a result of measuring degree of volunteer center’s autonomy is about 3.46 scoring among the 5 points scale. That means the local government influenced very highly on the volunteer centers, but the volunteer centers do not have lots of autonomy by contrast. Fourth, there can be found that it has higher autonomy if volunteer centers were operated by private organizations or if volunteer centers owned managerial or personnel regulations by themselves.<BR>  This article has a value because this is the first trial to measure how much volunteer centers have autonomy in relation to the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ese findings could be beneficial to make recommend regarding the future of volunteer centers.

      • KCI등재

        노년기 부모-성인자녀간 지원유형에 관한 연구

        정진경(Jung Jin Kyung),김고은(Kim Go Eun)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3

        본 연구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이 인지하는 노년기 부모-성인자녀간 지원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별로 나타나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삶의 질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이며, 성인자녀가 있는 노인 14,84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노년기 부모-성인자녀간 지원유형은 <높은 상호지원형>, <부모수혜형>, <부모제공형>, <낮은 상호지원형>의 4개로 분류되었으며, <부모제공형>이 가장 많았다. 4개의 유형중 <높은 상호지원형>의 노인들이 높은 삶의 질 수준을 보인 반면, <부모수혜형> 노인들은 자아통합감이 가장 낮았고, 우울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2000년대 초반까지의 국내 선행연구들과 달리 우리나라의 노인들도 성인자녀와 쌍방향적 상호지원의 관계로 변화되어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authors aim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mutual support between aged parents and their adult offsprings and to analyze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and the quality of living for the aged parents. The data of the study were drawn from the 2008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for the Elderly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the Health and Welfare. The sample of our analysis was 14,843 aged persons with their adult offsprings. A cluster analysis produced four types of mutual support patterns: High mutual supporters, parents as beneficiaries, parents as benefactors, ans low mutual supporters, with parents as benefactors as the most frequent pattern of mutual support.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of high mutual supporters was highest in the quality of life while the group of parents as beneficiaries lowest. This findings imply that the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old people and their adult offsprings may undergo transformation towards a two-way relation of mutual support.

      • KCI등재

        노인 이미지 연구 경향 분석

        정진경(Jung, Jin Ky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4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2015년까지 발표된 25편의 국내 노인 이미지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에 의해 연구경향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사회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 이미지 연구의 주된 연구대상은 미디어(8편)와 비노년층(10편)이 많았으며 노인층 대상(7편)의 연구는 2009년부터 이루어졌다. 주된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16편)가 많았으나 측정도구는 표준화되지 않았다. 주된 연구의 주제는 노인 이미지 자체, 노인이미지와 관계된 요인, 노인 이미지 개선 제안으로 분류되며, 주제영역 별로 해당논문의 연구결과를 총합하여 기술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논문이 이론적 근거를 취하지 않았으며(20편),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직접적인 이론적 근거로 한 논문 역시 없다. 다만 분석 대상 노인 이미지 연구들은 노인의 이미지를 객관적이며 동질적이기 보다 특정 시기, 사회적 및 계층적 맥락, 사회매체에 따라 달리 표상 되어 왔다는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이 암묵적으로 반영되고 있었다. 사회구성주의 시각에서 접근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 이미지 연구에 있어 노인 개인수준에서의 질적 연구 및 정책적, 제도적, 사회적 담론을 포함한 거시적 수준에서의 노인 이미지 연구가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25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5 by systematic review. Theoretical approach in this study is based on social constructionism. The results showed that main research subjects were media(8) and the young and middle aged people(10), and a part of researchers had been studying older people(7) since 2009. Major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16), but their measurements were not consistent.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y were concerned about image itself of older people, factors related to image of older people,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image of older people. Upon these three topic categories, sub-topics were analyzed in a descriptive synthesis.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absent among a majority of research(20), and none of them were directly based on social constructionism. They, however, had considered image as social artifacts: image of older people was neither objective nor homogeneous, but repres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ime, social and class context, and media.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need more qualitative studies addressing image of older people at individual level, and policy, institution, and social discourse analyses are to be done at social level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기업 및 비영리조직의 시각에서 경험한 기업 자원봉사활동의 혜택에 관한 연구

        정진경(Jung, Jin Kyung ),조상미(Cho, Sang Mi ),황정은(Hwang, Jung Eun) 한국비영리학회 2008 한국비영리연구 Vol.7 No.2

        통해 기업과 그 임직원 및 비영리조직이 어떠한 혜택을 경험하며, 양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봉사활동이 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S그룹 관계사 6개 기업의 자원봉사활동 관계자 13명과 해당 기업에서 봉사활동을 실시하는 비영리조직 16개 기관의 1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개별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질적분석방법을 취하였다. 연구결과, 기업과 직원의 측면에서는 기업 이미지 향상, 조직활성화와 의사소통 촉진, 새로운 경험의 기회, 보람과 기쁨, 리더십과 직장 내에서의 신뢰감 획득이라는 혜택을 경험하였다. 비영리조직에서는 정기적이며 전문적인 인력과 경제적 자원의 확보, 서비스의 질 향상 및 봉사대상자 개인의 문제 완화에 긍정적인 혜택을 경험하였다. 또한 기업 자원봉사활동은 비영리조직의 개방과 관성을 탈피할 수 있는 요인으로 도 작용하고 있었다. 기업과 비영리조직 모두 공통적으로 만족할 만한 기업 자원봉사활동의 중요한 필요 요소로서, 기업과 비영리조직의 파트너십과 담당자 간의 상호신뢰, 자발적인 봉사활동 참여와 약속 준수, 기업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정감의 표현 등 다양한 요인들을 발견하였다. 비영리조직의 시각을 반영함으로써, 본 연구는 기업의 시각이 강조되었던 기존의 연구경향에서 탈피하여 보다 균형적이고 포괄적인 시각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기업과 비영리조직 모두에게 서로 다른 시각을 이해하고 자원봉사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그리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perspectives of corpora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NPOs) to examine benefits and factors for success of corporate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focus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study sample utilized 13 employers from 6 affiliates of S company and 17 employers from 16 NPOs, where S company’s employers are volunteering.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orporations and NPOs experienced several benefits through corporate volunteer activity. The benefits of corporations were enhancement of corporations’ image, facilitation of communication, opportunities for new experiences, individual fruitfulness and accomplishment, and attainment of leadership and trust in the work place. For NPOs’ perspectives, the benefits were acquisition of regular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nd economic resources, improvement in quality of services, and relief of the volunteer’s personal difficulties. Corporate volunteerism also helped NPOs to respond to environments more proactively and improve their status quo. Corporations and NPOs found various factors for success in common such as partnership and mutual trust,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mmitment, and recognition for volunteers. Organizational support, leader’s positive reaction and encouragement, and continuous education were also found as critical factors for success. Reflecting NPOs’ views, the study changed over of former corporationcentered research to balanced and incorporative one in the field of corporate volunteerism. The study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for both corporations and NPOs to understand different perspectives and to develop systematic methods for volunteers to become involved more actively and enjoya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