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성년자 연구에서 연구주제의 민감성과 부모 동의 및 관심 수준과의 관계

        정진경(Jinkyung Jeong),윤가현(Gahyun You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2

        미성년자 대상 연구에서 연구자는 부모로부터 자녀의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과 청소년 대상의 연구에서 연구주제의 민감성에 따라 어머니의 동의 수준 및 자녀의 응답에 대한 관심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대 자녀를 둔 어머니 480명을 대상으로 병원 장면 임상연구와 비(非)병원, 즉 생활장면 연구(성, 비행, 학교생활, 대인관계) 영역의 14개 주제로 구성하여 동의 및 관심 수준을 평가하도록 했다. 연구결과, 병원 장면 연구보다 비(非)병원 장면 연구에서 동의 및 관심 수준이 더 높았고, 생활 장면 연구 영역 내에서는 학교생활, 대인관계, 비행, 성 영역 순으로 동의 및 관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의와 관심 수준 간의 차이는 병원 장면 연구에서만 나타났는데, 어머니들은 설령 가치가 있는 연구일지라도 참여 시 위험가능성 때문에 동의를 꺼리는 것으로 보인다. 논의에서는 민감한 연구 주제에 어머니의 동의 및 관심 수준이 낮은 이유들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주제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연구 초기단계부터 연구대상자 보호에 더 유념해야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연구대상자의 편향을 막기 위해 연구자들이 부모 동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과 연구 주제에 따른 부모 동의율 향상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했으며, 정책과 언론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the research involving minors, the investigator should obtain parental consent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levels of maternal consent for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interest in the research findings would differ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research topics. For this, 480 mothers with teenage children were asked to rate their levels of consent and interest in the findings concerning 14 different research topics. It was found that both levels of consent and interest in the non-clinical research topic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linical topic. Maternal consent and interest levels were in the order of school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isconduct, and sexual behavior. Also, the difference between consent and interest levels appeared only in clinical topic . Mothers seemed to be reluctant to agree to even a valuable research if it would be a sensitive topic. In the discussion, it was emphasized that researchers studying sensitive topics should actively use the method of improving parental consent rate to prevent bias of study subjects, and the measures to improve parental consent rate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were needed.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policy and media support are needed.

      • KCI등재

        여성 해방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 몸

        정진경(Jeong Jinky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여성시에 나타나는 반장소로서의 몸은 여성의 경험적 실존에 의한 공간적 의식이다. 남성의 해석과 판단에 따른 공간적 질서가 여성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주는 이것은 헤테로토피아 관점에서 중요하다. 여성 해방공간으로서 헤테로토피아 몸은 시에서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째, 남성이 식민화한 여성의 몸을 거부하고 일탈하려는 장소로서의 몸이다. 이것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지형화된 여성 몸이 남성 취향의 헤테로토피아로 작동되어 온 것에 대한 이의제기이다. 이것은 시에서 남성 취향에 맞는 몸의 감각을 거부하는 후각적 마녀화와 모성적 몸을 거부하는 자궁의 생체기술화로 나타난다. 신성의 장소에서 금기의 장소로 공간적 일탈을 꾀하는 이런 몸들은 남성의 공간적 질서로부터 해방되려는 일탈의 헤테로토피아 원리이다. 둘째, 양립 불가능한 공간에 남성과 여성을 배치하여 이분법적인 성을 무화하는 장소로서의 몸이다. 이것은 남성의 해석과 판단에 따른 공간의 이분법적인 질서가 차별화된 성의 실존성을 만든 것에 대한 이의제기이다. 이것은 시에서 생물학적으로 한 몸 안에 양립할 수 없는 남성과 여성이 공존하거나 몸의 기능이 전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성적 경계를 뛰어넘는 공간적 질서로 재의미화하려는 이런 몸들은 성적 평등을 갈망하는 환상의 헤테로토피아의 원리이다. 셋째, 시·공간을 이질화하면서 세계를 전환시켜 젠더 해방을 하는 장소로서의 몸이다. 이것은 공간의 젠더 특수성이 남성이 주도 만든 ‘관계적 공간’인 것에 대한 이의제기이다. 시에서 몸과 기계와의 접속이나 귀신과의 접신을 통한 공간의 전환으로 나타난다. 시·공간의 이질화를 통해 다른 세계로의 전환하면서 젠더 해방을 꿈꾸는 몸은 열림과 닫힘의 체계를 갖는 헤테로토피아의 원리이다. 이러한 양상은 헤테로토피아 관점에서도 남성 주도적인 공간적 질서가 여성의 몸과 실존성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수단이 되어 왔음을 확인해준다. 때문에 이것은 불안한 여성의 경험적 현실의 이정표며 심리적 치유의 메커니즘이다. 동시에 여성들만의 의지로 새로운 세계와 존재의 자리를 정립하고자 하는 공간적 위상학이다. Body as an anti-space in women s poetry is the spatial awareness based on women s empirical existence. This, manifesting that the spatial order based on men s interpretation and judgment works as a factor that suppresses and restricts women, is critical in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Heterotopia body as a woman s liberation space is portrayed as follows in poetry: First, it is the body as a space of denial and deviation from a woman s body colonized by men. This is an objection to the fact that women s bodies defined in the paternal society has been recognized as men-centered Heterotopia and represents the Heterotopia of deviation to be liberated from men s spatial order. Second, it is the body as a space that nullifies the dualistic sex by arranging a man and a woman in a space where there cannot coexist. This is an objection to the fact that the dualistic order of space based on men s interpretation and judgment has formed the distinguished existentiality of sex and the Heterotopia of fantasy desiring sexual equality. Third, it is the body as a space of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that shifts the world for gender liberation. This is an objection to the relational space where the gender-specific characters of space has been created by men and the Heterotopia with a system of opening and closing dreaming for gender liberation. These trends confirm the fact that men-directed spatial order has been used to suppress and restrict women s bodies and existenti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topia. For that reason, this is the milestone of the empirical reality of women in anxiety and the mechanism of psychological remedy. At the same time, it is the spatial topology to establish a new world and existence with nothing but women s own willpower.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연구 동향 분석

        정다은(DaEun Jeong),권소희(SoHee Kwon),이승미(SeungMi Lee),양보은(BoEun Yang),장현진(HyunJin Jang),정진경(JinKy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59편이다.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발표연도, 연구 방법, 연구 분야, 연구 주제, 주제어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2010년부터 2011년 사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별 동향은 문헌 연구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질적 연구, 혼합 연구, 양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은 문학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일반, 미술, 무용, 음악, 연극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동향은 대영역 중 방향과 관련된 주제에서 교육방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제어로 알아본 동향은 워드 클라우드의 주제어 크기로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한국문화교육, 한국어 교육, 다문화사회, 문학교육, 문화적응 순으로 나타났고, 정체성 복원, 융합적 문화 정체성, 자아정체성, 서사적 정체성 등 결혼이주여성의 정체성과 관련된 주제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에 도래한 한국 사회에 결혼이주여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시사점 및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rough this study, it intends to provide insights and directions for futu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59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The research trends in cultural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s, and keywor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marriage migrant women was most prevalent between 2010 and 2011.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wa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methods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Third, the re-search fields were predominantly related to literature, followed by general arts, visual arts, dance, music, and theater. Fourt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majority focused on educational approaches in the context of broader themes. Lastly, the analysis of keywords through word cloud visualization revealed that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lticultural society, literary edu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were prominent. Additionally, themes associated with the ident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such as identity restoration, hybrid cultural identity, self-identity, and narrative identity, were also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where marriage migrant women hold a significant presence in the multicultural era. The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research in the context of marriage migrant women's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