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TM망에서 프레임 릴레이망을 근간으로한 기업통신망의 수용기술

        정중수,남택용,정태수,Jeong, Jung-Su,Nam, Taek-Yong,Jeong, Tae-Su 대한전자공학회 1998 전자공학회지 Vol.25 No.6

        프레임 릴레이망을 백본으로 한 LAN과 LAN접속으로 형성되는 기업통신망이 현재 활발히 전개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광고, 전자거래가 중요한 서비스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 KT, 데이콤, 일부기업등에서 프레임 릴레이 교환기를 수입하여 주고객인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사용자 요구에 의해 주로 LAN과 LAN에 접속된 라우터 등의 종단 시스템간 PVC(영구가상회선: Permanant Virtual Circuit)접속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독자적인 기업통신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이 사용자 요구로 PVC등록시 프레임 릴레이망과 LAN을 연결하는 링크의 QoS(서비스 질: Quality of Service), 트래픽 파라메터는 수동적으로 설정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프레임 릴레이 교환기 개발은 전무하고 단지 그들을 수입하여 운용하는 수준이며 향후 ATM(비동기 전달모드: Asynchronous Transfer Mode)망의 중요 서비스 연동이 될 프레임 릴레이 기술은 심도있게 연구되고 있다. 향후 고속통신을 제공하는 백본망은 기존의 프레임 릴레이망과 ATM망이 공존할 추세이며 점진적으로 프레임 릴레이망은 사라질 것이다. 이때 ATM 망이 기존의 프레임 릴레이망을 백본으로 한 기업통신망 수용시 원할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프레임 릴레이망을 백본으로 채택한 기존의 기업통신망을 ATM망에서 수용시 야기되는 문제점의 제시와 이의 해결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FR/ATM(Frame Relay/ATM)연동시 기업통신망 입장에서는 PVC뿐만 아니라 SVC(교환가상회선: Switched Virtual Circuit)호처리가 수용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PVC와 SVC 수용으로 기업통신망은 통신망의 구성 및 관리가 복잡, 다양해지며, 또 그 기업은 관련된 다양하고 수많은 고객과 접속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ATM망을 백본으로 한 공중망이 관련 기업의 사설 정보를 관리하도록 한다는 것은 그 서비스의 이용자에게 보안문제를 제기함은 물론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망에서 동작하는 여러 서비스를 고객 스스로가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NN(고객망관리 : Customer Network Management)은 이러한 고객에 의한 통신망, 공중망에 대한 부분적 관리 및 서비스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수행하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ATM망이나 프레임 릴레이망과 ATM 망이 공존시 기업통신망관점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의 제시와 이의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FR/ATM 연동에서 PVC설정뿐만 아니라 SVC 설정 방법의 연구, 이때 고려된 QoS,트래픽 처리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망관리 입장에서 기업통신망 관리자와 ATM망 관리자와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변화된 통신망 차원서의 확장된 Managed Object(MO)를 근간으로한 체계적인 CNN-NMS(CNM-Network management System)연동을 살펴본후 결론에서는 추후 계속연구 및 조사 되어야 할 항목을 기업통신망 입장에서 서술하여 보았다.

      • KCI등재SCISCIESCOPUS

        SLAP(Subscriber Line Audio Processing)을 위한 디지틀 필터의 구성에 관한 고찰

        정중수,김재근,Jeong, Jung-Su,Kim, Jae-Ge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4 전자통신 Vol.6 No.4

        디지틀 가입자 교환기 및 가입자 장치의 Subscriber, Line Circuit(SLC)에서는 서비스의 질 및 가격의 저렴화 추구에 따라 디지털 신호처리(DSP) 기술의 응용을 위한 연구가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SLC에서의 CODEC과 필터 기능, 2선 임피던스 정합 및 transhybrid balance기능을 DSP의 programmability 및 flexibility를 최대로 활용, 디지틀 필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Bluetooth를 이용한 지자기센서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선진,정중수,Park, Sun-Jin,Jeong, Jung-Su 한국융합보안학회 2006 융합보안 논문지 Vol.6 No.3

        In this research, We connect the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of the Philips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measured 360 degree of the azimuth change the angle with an incline of 5 degrees to an order direction. The value of the azimuth to be measured sent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analyzed the measuring value in the 100m as moved. Using the bluetooth, we could send the measuring value of the azimuth without the bearing error in the plain without an electric wave obstacle within a distance in straight line 100M. We got the value of the azimuth have 98% reliability to maintain at a level with the terrestrial magnetism sensor. Based on this research. We send the measuring value of the azimuth which the accuracy is improved to a mobile intelligent robot moving a land inclined equipped with this system and can track the azimuth of it. 본 논문에서는 필립스사의 지자기센서를 블루투스 통신시스템에 연결하여 방위각을 $5^{\circ}$ 단위로 전후 방향으로 기울기 각도를 변화시켜 $360^{\circ}$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방위값은 100M 이내에서 이동하면서 측정값을 블루투스 통신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측정값을 분석하였다.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전파 장애가 없는 평지에서 직선거리 100M 이내에서 방위 측정값은 에러 없이 전송할 수 있었다. 지자기센서를 수평을 유지하면 98%의 신뢰를 가지는 방위측정값을 얻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지형을 이동하는 이동형 지능로봇에 장착 정확도가 향상된 방위 측정값을 전송하여 이동형 로봇의 방위추적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워크플로우 마이닝을 위한 제어 경로 분석 메커니즘

        민준기 ( Jun Ki Min ),김광훈 ( Kwang Hoon Kim ),정중수 ( Jung Su Chu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제어경로 분석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이는 워크플로우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기술의 활성화와 더불어 이의 적용사례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워크플로우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추적성과 재발견성을 최대화시키기고자 최근에 이슈화되고 있는 워크플로우 마이닝 또는 프로세스 재발견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메커니즘은 두 가지 주요요소로 구성되는데, 하나는 워크플루우의 제어경로 분석을 통해 제어경로 결정 트리를 생성하는 부분이며, 다른 하나는 워크플로우의 모니터링과 실행 로그 정보로부터 워크플로우의 제어 경로를 기반으로 하는 워크프로우 실행 이력을 마이닝하는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이 메커니즘을 통해 습득된 워크플로우 제어경로 기반 재발견 지식과 실행 이력 정보는 워크플로우의 제어경로 관련 고급정보를 구축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해당 워크플로우의 품질을 고급화시키기 위한 리엔지니어링의 주요 기반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a control path analysis mechanism to be used in the workflow mining framework maximizing the workflow traceability and re discoverability by analyzing the total sequences of the control path perspective of a workflow model and by rediscovering their runtime enactment history from the workflow log information. The mechanism has two components One is to generate the total sequences of the control paths from a workflow mode by transforming it to a control path decision tree, and the other is to rediscover the runtime enactment history of each control path out of the total sequences from the corresponding workflow`s execution logs. Eventually, these rediscovered knowledge and execution history of a workflow model make up a control path oriented intelligence of the workflow model, which ought to be an essential ingredient for maintaining and reengineering the quality of the workflow model. Based upon the workflow intelligence, it is possible for the workflow model to be gradually refined and finally maximize its quality by repeatedly redesigning and reengineering during its whole life long time period.

      • RFID 교육용 장비의 소프트웨어 설계

        진효석(Hyo-Seok Jin),조동관(Dong-Gwan Cho),시진일(Jin-Iil SI),정광욱(kwang-Wook Jung),정중수(Jung-Su Jung),송도선(Do-Sun S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06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06 No.-

        본 논문에서는 RFID 기술 중 리더와 태그간 13.56㎒ 대역을 사용하여 교육용 환경에서 태그와 접속 가능한 리더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임베디드 환경에서 제시하였으며 리더에 접속되어 이를 제어하는 PC 소프트웨어 개발은 윈도우 환경에서 실현하였다. 개발 환경으로서는 리더의 프로세서는 MC8051을 제어하기 위하여 케일 C 컴파일러, PC는 비쥬얼 C 언어를 사용하였다. 시스템의 기능 점검을 위하여 PC에서는 리더를 통해 태그 주소를 인지하고 메모리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능을 첨가하여 RFID 교육용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RFID educational system based on using 13.56㎒ air interfa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tag. The software of reader is developed on embedded environment and the software of PC controlling the reader is on window as. The MC8051 VLSI chip is used for the processor of the reader of which the language is C. The visual C language is used for the PC. To verify this system, PC gets the tag’s identification number through the reader and send the data to write tag memory certain content. Finally the PC receive the data already written from the tag’s memory and compare with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