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고차 유통서비스 차량광고 등록 인터페이스 연구

        정인혜(Inhye Jung),한재준(Jaejun Han),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연구는 중고차 유통 서비스 국내, 해외 서비스의 특징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온라인 자동차 유통 플랫폼에서 개인이 팔고자 하는 차량광고를 쉽게 등록하고 만들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개선 및 서비스와의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사용자의 차량광고 등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and problems of used car distribution service o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s, in search of improving and differentiating service and process that individuals can conveniently register and make vehicle advertisement on the online vehicle distribution platform.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it influences user’s vehicle advertisement registration process.

      • 오픈 소스 기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비교 분석

        정인혜(Jung Inhye),이세호(Seho Lee),엄영익(Young Ik Eom) 한국정보과학회 201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1A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과 함께 많은 기업들이 관련 기술 연구를 통해 여러 플랫폼들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발전에 도움이 되지만, 통합되지 않은 다수의 플랫폼으로 인한 문제점도 존재한다. 왜냐하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용자의 경우, 플랫폼 선택시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장 많은 업체들이 제공하고 있는 오픈소스 기반의 플랫폼인 OpenStack, Eucalyptus, CloudStack, OpenNebula를 비교 및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각 플랫폼은 지원 가상화 기술, 스케줄링 기법, 배치 기법, 호환성 등 여러 가지 특성들 차이로 인한 장단점이 존재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은 플랫폼들의 특성을 파악해 상황에 맞는 플랫폼을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 KCI등재

        고령친화환경의 조절효과를 통한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 : 운동보조 웨어러블 로봇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정인혜(Inhye Jung),김윤명(Yoon Myung Kim),강미선(Miseon Kang),송시영(Si Young Song),김성희(Seong Hee Kim)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를 고령친화환경이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74세 미만 전기노인 277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물리적 고령친화환경, 서비스 고령친화환경, 사회문화적 고령친화환경이 개별적인 조절변수로 각 분석모형에 포함되었다. 조절효과분석은 SPSS PROCESS Macro Model 1을 사용하였으며, 조절효과의 심층적 탐색을 위해 단순 기울기(Simple Slope)와 존슨-네이만(Johnson-Neyman Technique) 분석을 병행하였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인지기능이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 고령친화환경의 하위 항목은 서비스 환경(B=-.180, p<.05)과 사회문화적 환경(B=-.199, p<.05)이었고, 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B=-.070, n.s.). 즉 인지기능이 낮을수록, 웨어러블 로봇기기를 사용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정도가 낮아지지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고령친화 정도가 서비스 환경과 사회문화적 환경 측면에서 높다고 인식할수록 인지기능이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되는 것이다.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은 실제 기술사용으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는점에서, 상대적으로 자신의 인지기능이 저하되었다고 인식하는 노인들의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기술사용을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기존의 고령친화환경을 이루는 도식과 요소에 기술의 자리를 마련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자들의 노력과 정책적인 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ge-friendly environ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especially on the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of older adults. According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77 older adults aged 65-74 years living in Korea. SPSS PROCESS Macro Model 1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nd simple slope and Johnson-Neiman method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in depth.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service-side environment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significantly.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in the service-side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less impact of cognitive ability on the ease of use of technology. Since the perceived ease of us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leading to actual technology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researchers efforts and policy attempts to provide a place for technology in the elements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are needed.

      •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생활 지원을 위한 통합 서비스 디자인 연구

        정인혜(Inhye Jung),이설아(Seolah Lee),이세영(Se Young Lee),윤도경(Do Kyung Yoon),유지웅(Jiwoong Yoo),김현경(Hyoun Kyoung Kim),백준상(Joon Sang Bae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생의 기숙형 대학(Residential College, 이하 RC) 생활을 지원하는 통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서비스 이용자인 신입생이 RC 생활을 통해 건강증진 생활습관까지 함양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자아정체감 확립 및 심리·사회적 성장이 촉진되는 초기 성인기에 정착된 건강행동은 개인의 향후 건강행위 및 사회보건 문제와도 연관된다. 그러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하는 RC 제도에서 지속적인 건강행동에 대한 중재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사례연구를 통하여 RC 구성원의 요구를 파악하고 기존 서비스를 분석하여 통합 플랫폼 모형을 제시한 다음 MV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한 서비스개발은 RC 를 구성하는 주체(신입생, Residential Assistant, RC 교육원)의 편의성을 고려하는 한편, 초기 성인기에 진입한 신입생의 균형 잡힌 건강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 문화와 매너를 반영한 메신저 기반 워크 플랫폼 이모지 리액션 활용에 대한 연구

        정인혜(Inhye Ju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는 국내, 해외서비스 메신저 기반 워크플랫폼 이모지 리액션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한국인의 업무 방식과 문화, 매너를 반영한 이모지 리액션을 개선하여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불필요한 대화를 줄이고 업무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강미선(Miseon Kang),전혜정(Hey Jung Jun),정인혜(Inhye Jung),송시영(Si Young Song)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가구 남편의 성역할 태도를 유형화하고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2014), 8차(2015)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두 차 년도에 부부 모두 응답하였고 학령 초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부부 417쌍을 선정하였다.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매개모형 Model 4를 이용하여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총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 태도에 대한 2개의 잠재유형이 도출되었고 이를 정체된 양육자형과 변화한 양육자형으로 명명하였다. 남편의 양육참여 빈도와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한 연구 모형들에서는 두 변인 모두 남편의 성역할 태도 유형과 부인의 결혼만족도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역할 태도 척도가 포함하는 다측면성을 고려하여 유형화할 필요가 있음을 재확인하였으며, 남편의 성역할 태도가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 가구의 결혼생활과 관련된 가족 정책 및 남편의 양육참여 도모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tterns of the gender role attitude among husbands in dual-income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tterns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7th (2014) and 8th (2015)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he samples included 417 dual-income married couples who responded to both 7th and 8th surveys. Using Mplus 7.3, a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terns of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s. And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o examine indirect effects, 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As a result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s were classified with two groups. These groups were named “Stalled fathers” and “Evolving fathers”, respectively. And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uggest the gender role attitude should be discussed in view of various aspects, 2) propose a new approach and interpretation about fathers’ gender role attitude and 3) explain the mechanism between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pattern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which is mediated by husbands’ frequency of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warm parenting. These results can provide key data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family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the marriage of dual-income households. These also imply the importance of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expanding the husband s caring identity.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provide joint decision-making education to help couples roles be well shared and coordinated. Along with, policy intervention to encourage companies to support male workers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is necessary to be pursued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