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 푸드 프린트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조형 콘셉트 제안 - 초콜릿 3D 프린터 개발 방향성 설정을 중심으로-

        조성주 ( Cho Sung Joo ),정의영 ( Jeong Ui Yeong ),박준홍 ( Park Ju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3D 푸드 프린터의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그에 알맞은 조형 콘셉트를 종합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푸드테크 분야의 3D 프린터의 특성을 잘 표현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된 초콜릿 3D 프린터를 중심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총 3가지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는 관련 문헌조사와 이론적 고찰로서 최근 5년 사이 푸드테크 중심의 3D 프린터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푸드테크 중심의 3D 프린터 그리고 초콜릿 3D 프린터의 정의와 종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두 번째는 초콜릿을 주재료로 하는 3D 프린터의 내·외부 환경 요인들을 SWOT기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제품개발의 방향성 설정 지표를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종합하여 초콜릿 3D프린터의 개발 방향성을 설정하고 소비자 평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조형 콘셉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초콜릿 3D 프린터의 디자인 방향성은 여섯 가지로 첫째 기계적 이미지의 탈피, 둘째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셋째 시선을 끌 수 있는 조형요소 고려, 넷째 고급스러운 이미지 구성, 다섯째 쉬운 사용방법의 전달, 여섯째 기능의 우수성 강조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조형요소의 방향성은 다섯 가지로, 첫째 상/하 비대칭형, 둘째 라운드와 경사면 형태 활용에 의한 긴장감 조성, 셋째 고급소재의 적용, 넷째 기능의 시각적 표현, 다섯째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구성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시장형성 단계에 있어 제품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초콜릿 3D 프린터의 개발방향과 조형 콘셉트 설정을 위해 진행되었으므로 많은 수의 소비자 조사를 하지 못한 연구의 한계가 있다. 하지만 현재 초콜릿 3D 프린터는 본격적인 시장 출시를 앞둔 시기이므로 연구의 결과가 3D 푸드 프린터에 관련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 초콜릿 3D 프린터의 개발 방향성 설정에 새로운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design of 3D food printers and to present the appropriate formative concept.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set around chocolate 3D printers, which were frequently researched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3D printers in the food technology field, an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is a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review. In the past 5 years, we have reviewed foodtech-centered 3D printer prior studies, and analyze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oodtech-centered 3D printers and chocolate 3D printers. Secon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3D printer using chocolate as the main material were analyzed(SWOT) and the direction setting indicators of product development were studied and established. Lastly, the third, by combining the research, se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and proposed a new modeling concept based on consumer evaluati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derived through this study is six factors. The first, mechanical image, second provide new experiences to consumers, third consider the formative elements that can draw attention., fourth luxurious image composition, fifth easy delivery of usage, sixth emphasis on excellence of function. The first up/down asymmetry, second round and the inclination by using the inclined shape, third application of advanced materials, fourth function visual expression, and fifth intuitive interface compos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hocolate 3D printers where product identity was not established and the formative concept in the stage of market formation.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of studies that failed to conduct a large number of consumer surveys. However, as the current chocolate 3D printer is about to enter the market in earnest,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the 3D food printer and can be a new basic material for set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chocolate 3D printer.

      • KCI등재

        플라스틱 골재 종류와 양생 방법에 따른 시멘트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천현욱 ( Cheon¸ Hyeon-uk ),권준희 ( Kwon¸ Jun-hee ),이우진 ( Lee¸ Woo-jin ),정의영 ( Jeong¸ Ui-yeong ),김우석 ( Kim¸ Woo-suk )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21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2 No.5

        최근 대규모 토목 및 건축 구조물 증가 추세로 건설 부재의 고강도 및 경량화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 시멘트 경량 복합체의 경우 단위 체적 중량이 낮아 강도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통 경량화를 위해서 시멘트 복합체를 배합할 때 일반 경량골재와 고무재질의 경량골재, 플라스틱 펠릿 등 다양한 인공 경량골재를 적용한 시멘트 복합체로 경량화를 확보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시멘트 복합체의 인공 경량골재로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골재 자체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꾀할 수 있지만 재료의 매끄러운 표면 특성으로 인해 시멘트 페이스트와 부착하는 데 불리한 부분이 있고 이는 콘크리트 골재 또는 시멘트 복합체 골재로서의 사용에 있어 단점이 된다. 띠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플라스틱 골재로 가장 적합한 유형으로 확인된 PP, PE 두가지 유형의 플라스틱 골재와 강섬유, 양생방법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 플라스틱의 비중이나 표면 재질뿐만 아니라 강섬유의 혼입유무, 양생방법에 의해서 시멘트 복합체의 물리적 특성이 변화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ntly, large-scale civil and architectural construction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high-strength and lightweight structures. In the case of the lightweight cement composite, the unit volume weight may be reduced; however, a decrease in strength occurs. In general, when mixing cement composites for weight reduction, it is possible to cut down weight by combining cement composites using artificial aggregates, such as general lightweight aggregates, rubber lightweight aggregates, and plastic pellets. Furthermore, the aggregate strength can be secured if plastic is used as a lightweight artificial aggregate for cement composites. Still, due to the material’s surface properties, mixing with cement paste and using it as an aggregate is disadvantageou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s to select the most suitable plastic as an aggregate using steel fiber, curing method, and two types (PP and PE) of plastic cement composites as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ement composit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teel fiber is mixed, the curing method, and the specific gravity of plastic or surface material.

      • KCI등재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 구조 및 조형에 관한 연구

        조성주 ( Cho Sung Joo ),조재영 ( Jo Jae Young ),임창환 ( Lim Chang Hwan ),정의영 ( Jeong Ui Ye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1

        산업발전과 제조혁신으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한 현재 거의 모든 전자기기가 소형화 추세에 있으며 휴대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통신기술과 충전기술의 발달로 여러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문서, 사진, 음악,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다. 현재 보급률이 급상승하고 있는 블루투스 스피커도 소형화 추세에 발맞추어 발전하고 있지만 이를 통한 음질 및 음량의 저하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스피커 유닛과 추가적인 전력 공급 없이 스피커 내부 구조의 조형적인 변화를 통하여 음파를 증폭시킬 수 있는 무지향성 스피커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공진주파수 원리를 이용한 음파 증폭 도파로를 고안하고 이를 활용한 음파 증폭 코어 구조를 설계하였다. 일반적인 전방향 스피커와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의 음량을 비교 평가한 결과 가청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50Hz~10,000Hz 음역 대에서 평균 17dB 정도 높은 음량이 출력되었다. 또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에서는 음의 선명함과 조화로움의 항목에서는 두 스피커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음의 확산 그리고 풍부함 항목에서 코어 구조를 탑재한 음파 증폭 무지향성 스피커가 전방향 스피커보다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제품의 구조와 조형적 요소 변화를 통해 제품의 성능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Currently,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were brought industrial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novation, most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got miniaturization and emphasized in portability. In addition,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harging technology, we approach various contents using device that are wirelessly connected each other in various locations. Bluetooth speakers with rapidly increasing usage rate were also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miniaturization. But those can't avoid decreasing quality and volume of sound because miniaturiza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nondirectional speakers that can amplify sound waves through changing the speaker's internal structure without additional speaker unit and electric power. For this, waveguide was devised with resonant frequency mechanism and sonic amplification core structure was designed with these waveguide.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volume of a typical normal type speaker and a nondirectional speaker with sonic amplifier resulted in more average output of approximately 17dB above the 50Hz to 10,000Hz range corresponding to the hearing range. In addition, the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eakers in clarity and harmony of Sound. But, nondirectional speaker having sonic amplification structure was evaluated higher than common nondirectional speaker in diffusion and abundance of soun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product's performance level through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formativ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