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토론 동아리원들의 실시간 대면·비대면 토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예일 ( Yeil Je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대학생 토론 동아리원들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토론 상황과 대면 토론 상황을 거치며 각 토론 상황에서 경험한 내용과 그 경험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어포던스 이론은 사물에 담긴 의미있는 정보가 인간의 사고나 행동을 유발한다고 설명하는 이론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들에게 토론 경험을 묻고 그 경험의 영향을 해석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관찰과 면담, 문서자료의 자료수집과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① 정보처리 과정의 변화, ② 이질적인 환경, ③ 피드백, ④ 친밀감과 비공식성, ⑤ 공간의 성격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대면 토론 환경과 비대면 토론 환경의 차이가 드러났다. 이러한 차이에는 각 환경에서 작용하는 매체·객체의 어포던스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의 특징이 비대면 토론 경험과 대면 토론 경험에 다른 영향을 주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토론 교육 맥락에서 어포던스 이론을 활용해 비대면 토론 상황과 대면 토론 상황의 교수설계에서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맥락에서의 매체 어포던스가 토론 경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xperiences a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ir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 debate club members in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debate situations due to the COVID-19. Affordance theory explains that meaningful information in the object induces human thinking or behavior. In this research, it was used as a tool to ask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ir debate experiences and interpret the effects of those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document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differences between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debate environment were revealed in five areas: ① changes i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② heterogeneous environment, ③ feedback, ④ intimacy and informality, and ⑤ the nature of space. It was found that the affordance of media and objects acting in each environ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se differences,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both debate experience. This research uses the affordance theory in the context of university debate education to clarify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the face-to-face and the non-face-to-face debate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research will confirm how media affordance in various contexts affects debate experiences.

      • KCI등재

        영어과 예비 교원의 인공지능 융합교육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고보경 ( Go Bokyung ),황윤정 ( Hwang Yoonjung ),정예일 ( Jeong Yeil ),최서용 ( Choi Seoyong ),김기택 ( Kim Kitaek ),임철일 ( Lim Cheolil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인공지능 융합교육이 강조되는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영어과 예비 교원의 인공지능 융합교육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분석과 관련 전문가, 교사 및 학생 대상 면담을 통해 초기 교육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이후 영어교육 전문가 4인, 교육공학 전문가 2인, AI·디지털 교육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여 최종 교육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검토를 위해 S대학 사범대학 언어교육계열 학부 및 대학원생 18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10일간 실행하였으며, 사전-사후 효과성 평가와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개 모듈로 구성된 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5점 만점 중 평균 4.67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습자의 AI에 대한 태도, AI 교수 효능감, AI·디지털 역량 3가지 척도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교원양성대학의 예비 교원 대상 인공지능 융합교육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 개발 절차를 제시하고, 교육 내용 및 실행 측면에서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한 실제적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response to the societal demand for AI convergence in education, and to explore its effectiveness. Initial educational programs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relevant experts, teachers, and students. Subsequently, the educational program was finalized through expert validation involving four English education experts, two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and four AI/digital education exper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our program, it was implemented over ten days with 18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t S University, followed by a pre-post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satisfaction survey. The results showed a high satisfaction score, averaging 4.67 out of 5, for our program composed of five modules, and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ree measures: attitudes towards AI, AI teaching efficacy, and AI·digital competency. This research provides a systematic development procedure and practical case for educational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the AI-integrated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presents a practical example of English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 KCI등재

        교수설계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 챗봇의 활용 방안 탐색: ChatGPT와 RPISD모형을 중심으로

        임철일 ( Cheolil Lim ),고보경 ( Bokyung Go ),정예일 ( Yeil Jeong ),이은서 ( Eunseo Lee ),전민선 ( Minseon Jeon ),김승하 ( Seungh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0

        This study explored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ChatGPT, a generative AI-based chatbot, into instructional design, offering implications for its application. Initially,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o gauge the potential of incorporating ChatGPT in instructional design. Subsequently, we developed a plan for using ChatGPT aligned with the steps of Rapid Prototyping for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utilizing prompts. A feasibility assessment involving four experts was undertaken to refine and enhance the application description. Each expert holds a PhD in instructional desig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over five years of experience. The outcomes informed the proposal of guidelines for using ChatGPT acros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usability tes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hases. To validate the practicality of the guidelines,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ienced in using ChatGP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driven instructional design, given the growing prominence of generative AI-based chatbots in this field. This study also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echnology-driven instructional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