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거주 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힘의 비교

        정예리(Jeong Ye-Ri),이숙희(Lee Sook-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3

        본 연구는 거주 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적 힘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5세 다문화가정 유아 80명과 일반가정 유아 80명, 총 160명을 대상으로 언어발달 검사와 사회적 힘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보다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도시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와 농촌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동일하게 조사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적 힘이 일반가정 유아의 사회적 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 또한 도시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와 농촌지역 거주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아동은 언어발달과 사회적 관계 능력에 있어서 일반 가정 아동들에 비하여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유아들을 위한 언어지도 교육 및 또래 내에서 의사소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power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ose of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in regard to their residential areas. To that end, the language development scale and social power scale were conducted to total 160 5-year-old young children of 80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80 from ordinary families. Among the 80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ordinary families, 40 were living in urban areas and the other 40 were living in rural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development level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This tendency equally applied to both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urban areas and those living in rural areas. Second, the social power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also found to be weaker than that of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This tendency again equally applied to both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urban areas and those living in rural areas. Therefor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em to have more problems with language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 ability than young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demanded to make more efforts to conduc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eer relationship training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유아의 차별 경험을 통한 인간이해 가치교육적 함의

        정예리 ( Ye Ri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 유아에 대한 차별의 실태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문화 가정 유아 363명을 대상으로 차별의 경험이 있는지 직접적인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성별과 피부색상, 사용언어수준에 따라 차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별에 대한 9가지 영역 중 7개 영역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의 50% 이상이 차별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다문화 가정 유아의 차별은 피부색상과 사용언어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피부색이 밝은 계열의 다문화 가정 유아보다는 중간 계열이나 어두운 계열의 유아가 차별을 더욱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사용언어수준이 낮을수록 차별이 더욱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를 위한 다문화 경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문화 가정 유아를 위한 사회적응 훈련 및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우리 주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과 다문화 가정 유아들에 대한 차별은 그들이 우리와는 다른 인간이라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 가정을 우리와 같은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인간이해를 위한 가치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 of discrimination again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363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irectly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it was also examined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on the grounds of gender, skin color and Korean language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7 sub-categories of discrimination out of 9, more than 50% of th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discrimination. 2) It was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again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basis of their skin color and Korean language ability. The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 middle or dark skin color experienced more discrimination than the ones with light skin color, and the ones with lower Korean language ability also experienced more discrim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nd to conduct social adaptation training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scrimination again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 general is based on the notion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us. Therefore, in the long term, value education for human understanding is crucially needed so that our society embraces multicultural families wholeheartedly in the belief that we are all the same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