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위병변의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후 출혈 예방을 위한 경구 혹은 정맥투여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효과 비교

        정연수 ( Yeoun Su Jung ),김경옥 ( Kyeong Ok Kim ),이시형 ( Si Hyung Lee ),장병익 ( Byung Ik Jang ),김태년 ( Tae Nyeun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7 No.2

        목적: ESD로 위병변 일괄 절제의 기회가 증가하였지만 출혈 및 천공 등 합병증의 위험도 함께 증가하였다. ESD 후 합병증의 발생 예방을 위해 지금까지 대부분의 기관에서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시술 직후 정맥으로 주입하고 있으나, 실제 주입방법이나 기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 ESD 후 출혈 예방에 있어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경구 복용과 정맥 주입의 출혈 예방효과를 비교하고자 하며이 결과를 바탕으로 좀더 비용 효과적 측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번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서 ESD를 시행할 환자를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경구 및 정맥 주입 두 군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배정하여 시행한 전향적인 무작위 대조군 연구이다. ESD시행 24시간 이후 내시경을 시행하여 출혈 위험 병변을 확인하였고, 시술 8주 후까지 쇼크나 흑색변, 토혈, 혈색소 감소등의 출혈이 있었는지 확인하였으며, 양군에서 출혈의 위험인자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경구 복용군과 정맥 주입군 간의 출혈률은 차이가 없었으며, 입원 기간 및 추적 내시경 검사에서 출혈 위험 병변 발생의 차이도 없었다. 결론: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경구 투여는 정맥 주입과 비교하여 지연 출혈률, 합병증 및 입원 기간 등에 있어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병변의 ESD 후 출혈예방을 위한 양성자 펌프 억제제의 정맥 주입은 비용 효과적 측면에서 경구투여로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Although intravenous proton pump inhibitor (PPI) has been used for the prevention of pos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bleedin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has not been confirm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intravenous and oral PPI administration for the prevention of delayed post ESD bleeding. Methods: Total 166 consecutiv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0 mg lansoprazol twice a day (PO group) and 120 mg pantoprazole intravenous injection (IV group) for 48 hours. Finally, 65 patients in PO group and 87 patients in IV group were analyzed. After ESD, all patients underwent follow up endoscopy after 24 hours and were observed the symptoms of bleeding up to 60 days after ESD. Results: Age, sex and use of anticoagula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At follow up endoscopy after 24 hours, oozing and exposed vessel was noted in 4.6% of PO group and 8.0% of IV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layed bleeding occurred in 4 of 65 patients (6.2%) in the PO group and 8 of 87 patients (9.2%) in the IV group (p>0.999). By multivariate analysis, oozing or exposed vessels at follow up endoscopy were risk factors for delayed bleeding (OR=17.5, p=0.022).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layed bleeding, length of hospital stay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route. Bleeding stigmata at follow up endoscopy was risk factor of delayed bleeding. Oral PPI administration can cost-effectively replace IV PPI for prevention of post ESD bleeding.

      • KCI등재

        약물방출 스텐트 시술을 받은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항인지질 항체의 존재가 주요 심혈관 사건에 미치는 영향

        정연수 ( Yeoun Su Jung ),이봉렬 ( Bong Ryeol Lee ),류한준 ( Han Jun Ryu ),박민규 ( Min Kyu Park ),김민희 ( Min Hee Kim ),정호진 ( Ho Jin Jung ),이준영 ( Jun Young Lee ),강현재 ( Hyun Jae Kang ),정병천 ( Byung Chun Jung ),장순희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5

        목적: 항인지질항체는 급성 심근경색증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약물방출 스텐트를 삽입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게서 항인지질항체와 주요 심혈관 사건의 발생과의 연관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약물방출 스텐트를 시술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항인지질항체와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성공적으로 약물방출 스텐트를 삽입한 급성 심근경색증 생존자를 대상으로 항인지질항체 양성군과 음성군으로 나누어 주요 심혈관 사건과의 연관성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Background/Aims: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an association between antiphospholipid antibodies (APA) and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MACE)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PA and the prognosis after drug-eluting stent (DES) implantation in patients with AMI is not known. Methods: Thu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MACE and APA levels in patients with AMI who underwent successful DES implantation. Results: Of 182 patients, 78 (42.9%) tested positive for APA. Lupus anticoagulant was positive in 37.6% (68 of 181) patients, anticardiolipin antibody IgM was positive in 8.3% (15 of 180), and anticardiolipin antibody IgG was positive in 1.7% (3 of 180) patients. At follow up, a MACE had occurred in 11 (14.1%) patients in the APA-positive group and in seven (6.7%) patients in the APA-negative group (p = 0.099). Conclusion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cidence of MACE and the presence of APA in patients with AMI who underwent successful DES implantation. (Korean J Med 2013;84:681-689)

      • SCOPUSKCI등재

        대구, 경북 지역의 Helicobacter pylori 제균 치료의 연도별 제균율 변화: 13년간의 다기관 연구

        정연수 ( Yeoun Su Jung ),이시형 ( Si Hyung Lee ),박찬서 ( Chan Seo Park ),오명진 ( Myung Jin Oh ),김경옥 ( Kyeong Ok Kim ),장병익 ( Byung Ik Jang ),전성우 ( Seong Woo Jeon ),정민규 ( Min Kyu Jung ),박경식 ( Kyung Sik Park ),김은수 대한소화기학회 201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3 No.2

        Background/Aims: The eradication rate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have been reported to have decreased over the years due to antibiotics resista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radication rates of first-line triple therapy for H. pylori over the past 13 year period, and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H. pylori eradication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Korea. Methods: A total of 2,982 patients with H. pylori infection who were treated with either 1 week or 2 weeks first-line therapy (proton pump inhibitor [PPI],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from January 1999 through December 201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l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Results: The overall H. pylori eradication rate was 87.2%. The eradication rates from 1999 to 2011 fluctuated between 78.0% and 95.7%, but no definite evidence of a decreasing tendency was seen over the 13 year period (p=0.113).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adication rat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rapy (p=0.592).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adication rate among various PPIs (p<0.01). Conclusions: There was no decreasing trend in the H. pylori eradication rate over the past 13 year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Korea. There also was no difference in the eradication rates depending on duration of therapy.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mong various PPIs. (Korean J Gastroenterol 2014;63:82-8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