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전통누룩을 이용한 ale맥주 제조 및 품질특성

        정수지(Suji Jung),정장호(Chang-Ho Chung)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2

        시판 누룩을 맥주의 당화과정에 첨가하여 얻은 맥주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발효 직후에 급격히 줄어들어 숙성기간과 저장기간 동안 비슷한 수치로 이어졌다. pH는 발효 직후 5.7에서 4.1-4.2까지 낮아졌고, 숙성과 저장 기간을 거치면서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미생물은 대부분 효모균으로 숙성기간인 6일에 약 5.16×105 CFU/mL에서 13일 2.92×106 CFU/mL로 균수는 증가하였다. 맥주의 색은 SRM 색도와 색차계로 분석한 결과 SRM은 누룩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발효, 숙성, 저장 기간 내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색차계에서는 누룩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명도의 L값은 약간 낮아지고 a값은 마이너스 값으로 초록색에 가깝고 황색도의 b값은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맥주의 점도는 누룩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점도가 낮았다. 쓴맛 또한 누룩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은 값이 나왔다. 아미노산도는 누룩 첨가구에서 더 높은 값이 나타났으나 첨가구내에서의 차이는 없었다. 거품 안정성은 대조구 135.62±10.28으로 N15는 368.24±23.25으로 대조군보다 2배 이상 유의적으로 차이 나는 결과를 보였다. 유리당의 포도당, 설탕, 엿당은 발효, 숙성과 숙성기간 동안 줄어들었고 유기산은 말산, 시트르산이 효모의 대사산물로 발효, 숙성, 저장 기간에 그 수치가 높아졌다. 누룩을 맥주당화과정의 효소제 역할로 이용한 실험결과를 통해 맥주 공정 중당화과정에 누룩을 첨가함으로 새로운 특성의 맥주가 생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uruk, a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 starter, was evaluated as an additional saccharifying agent comprising up to 1.5% (w/w) of malt weight in ale-type beer processing. Sample characteristics were monitored during fermentation, ripening, and storage. Beer containing nuruk showed higher numbers of total viable bacteria and yeast cell counts. Additionally, ethanol (6.19-6.35%), color (Standard Reference Method), foam stability (228.49-368.24 Σ), saccharogenic power (307-417), and reducing sugar (3.83-5.25%) increased as the amount of nuruk was increased, while viscosity (3.13-2.07 cP) and bitterness unit (19.68-13.13) were lower than in samples without nuruk. Overall acceptance and aftertaste of the be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 preference tes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uruk can be used to produce a new type of ale.

      • KCI등재

        부모-유아 어휘 상호작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정수지 ( Suji Jung ),최나야 ( Naya Choi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a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 (PLIS-P)’. First, we developed the preliminary scale with 7 factors after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related to vocabulary and literacy instruction for young children and reflected on feedback from child studies experts an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Subsequently, to validate the scal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others with 5-to 6-year-old children who live in Seoul, Gyeonggi, Incheon, Gyeongsang, Chungcheong, Jeolla, Gangwon, and Jeju. Responses from 309 mothers were used to conduc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ploratory analysis showed that the model with 7 factors was satisfactory: (1) vocabulary exposure, (2) word elaboration, (3) scaffolding, (4) play activity, (5) conventional instruction, (6) word type awareness instruction, (7) word morphology instruction.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 fit of the model. Third, the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correlation analysis using EC-HOME. Las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each factor of PLIS-P was also confirmed. This study developed both a theoretical framework of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a Parent-child Lexical Interaction Scale for Preschoolers. This scale can be used by parents,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acquire knowledge about interaction related to words between Korean parents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가족기능성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을 매개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정수지 ( Suji Jung ),최나야 ( Naya Choi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1

        This study examined if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an be mediated by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in the year before children ente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nalyzed the 7<sup>th</sup> year data of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1,513 pairs of 6-year-old children and m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 and Amos 20. The primar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composed of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pproach to learning, cognitive development and general knowledge, and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functioning,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Secon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indirect paths from family functioning to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rough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were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path was insignificant. Third,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reschoolers’ self-regulation. The findings provide the grounds for families and parents with preschool aged children to implement effective support practices to maintain a functional family system that can promot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 KCI등재

        학교영어수업 만족도와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고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일반고와 특목고의 비교

        최나야(Choi, Naya),정수지(Jung, Suji),박유미(Park, You-Me),정혜민(Chung, Hye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고와 어문계열 특목고 학생의 영어학습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 유형에 따라 학교영어수업 만족도와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영어학습 동기와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경기, 충청, 경상, 강원지역의 일반고 5곳과 특목고 4곳에서 1, 2학년 학급을 무선 표집하여, 일반고 학생 283명과 특목고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와 특목고 학생의 영어학습 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었다. 영어학습 및 영어사교육 시작 시점, 영어권 해외경험, 유형별 영어학습 시간과 같은 영어학습 경험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영어수업 만족도, 통합적 영어학습 동기, 영어학습 행동은 특목고 학생이 일반고 학생보다 높았지만,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은 일반고 집단에서 더 높았다. 둘째, 학교영어수업 만족도, 부모의 학업성과압력, 영어학습 동기가 영어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두 집단 간에 달랐다. 통합적 동기는 일반고 모형에서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이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였지만, 특목고 모형에서는 학교영어수업 만족도가 영어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교육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the effects of school English instruction and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behavior between genera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tudents. 28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235 special-purpose high schools students from five general high schools and four special-purpose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Gangwon district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high school entrance between general and special-purpose high school. Second, the paths that satisfaction with school English instruction and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had effects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behavior were different between two types of school. Third, integrativ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English learning behavior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ile integrativ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school English instruction on English learn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establish educational policy to guarantee learning rights of students with different needs.

      • KCI등재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문해력에 미치는 효과

        최나야(Naya Choi),정수지(Suji Jung),최지수(Jisu Choi),박상아(Sanga Park),김효은(Hyoeun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의 기초문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만 4세 유아 62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33명과 비교집단 유아 29명이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실시한 후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균형적․통합적 유아 문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초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기초문해력 6개의 영역 중 소근육운동을 제외한 음운론적 인식, 이야기 이해력, 수용어휘력, 기초쓰기, 기초읽기의 5개 영역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많이 향상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현적 문해, 균형적 접근, 통합적 방식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alanced and integrated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BILEPEC)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early literacy of young children. Methods: Sixty-two four-year-old children, 3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BILEPEC program was applied to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 weeks. Results: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revealed that the scores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further improved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in five areas of basic literacy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story comprehension, receptive vocabulary, early writing, and early reading.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a balanced approach and emergent literacy was discussed.

      • 웹접근성 지침에 따른 사이트와 도구 제작

        김웅재 ( Woong-jae Kim ),오지환 ( Ji-hwan Oh ),이명훈 ( Myung-hoon Lee ),이민성 ( Min-seung Lee ),정수지 ( Suji Jung ),지민규 ( Min-kyu J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웹 접근성은 장애인의 시각에서 정보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격차를 줄이는 것을 뜻한다. 현재 웹 접근성에 관한 정책은 관공서, 공기업을 시작으로 시행되어 왔던 웹 접근성 준수 의무가 2014년 올해부터 제재가 강해졌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3 자료에 따르면 국내 SNS 이용률은 일 반 국민 100% 대비 28.8%로 일반 국민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모바일과 SNS의 등장이 웹 환경에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문제는 너무 빠르게 소비되고 빠르게 콘텐츠들이 생산되어 지는 프로슈 머의 환경이 정보적 소외계층의 이용률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이런 문 제들을 웹 접근성 표준에 문제가 되지 않는 사이트를 만들고 편리한 웹 접근성 도구들을 제공하자라 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Means reducing the gap to prevent discomfort to use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eb accessibility is disabled. The current was strong sanctions that have been implemented from the year 2014 to the beginning Government, the public policy of the Web Accessibility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obligations. According to 2013 data fo the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is only half that of the general public by 28.8% to 100% of the domestic SNS public utilization. Began to cause a change in the web environment and the emergence of mobile SNS. And i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utilization of the informational content to be neglected Prosumer the environment of their production is consumed too quickly, rapidly problem. Let`s start from the idea that we provide a convenient tool for Web accessibility is not an issue on the web site accessibility standards of the project is to create thes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