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적 청년실업자’들의 방황과 계급적 실천

        정수남(Sunam Joung),김정환(Jung Hwan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3 No.-

        본 논문은 중간계급 가정에서 자란 (잠재적)청년실업자를 중심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방황의 성격과 그에 대응하기 위한 계급적 실천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최근까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청년세대의 문제를 세대론적 차원을 넘어 계급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분석해야 함을 주장했다. 둘째, 연구대상자 청년들은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후기자본주의체제에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함으로써 대학진학 이후 현재까지 소모적인 방황기간을 오랫동안 거쳐 왔고 뚜렷한 삶의 목적과 직업관을 갖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가족의 계급적 자원을 기반으로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처해오면서 생계문제를 피해갈 수 있었다. 셋째로 이러한 생애과정을 거치면서 이들은 평범하게 살아가는 삶을 삶의 목표로 설정하고 있는데, 그 이면에는 미래전망이 불투명한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한 깊은 냉소주의가 깊게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필자들은 청년세대는 자신의 계급적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불안에 대처하고 살아간다는 점에서 세대문제는 계급적 차원과의 연관 속에서 다루어져야 문제의 심연에 다가갈 수 있음을 강조했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some characters of wandering that potential youth unemployed have experienced and their class practice to cope with it. For this, first, we suggest that expanding to level of class beyond level of generation, problems of youth generation should be treated. Second, interviewee youth people didn’t cope with unstable post-capitalism appropriately and then couldn’t help undergoing the period of wandering long time after since 20’s. After all, now they have no clear objective of life and work ethic. Nevertheless they could avoid living matters by handling their anxiety and uncertainty on the base of class resource of family. Third, they try to set up goal of life as just living ordinarily. Above all, they have deeply cynicism about their own unstable lives and uncertain society without vision today. Lastly, we empathize that today problems around youth generation should be discussed in the relation to level of class in that they live differently for their class situation.

      • KCI우수등재

        빗장걸기와 탈사회적 공간의 감정동학 : 하층계급의 모욕과 분노에 대하여

        정수남(Sunam Joung)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4

        본 논문은 영화 『버닝』과 『기생충』을 경유하여 오늘날 탈사회적 공간에서 발생하는 하층민의 계급감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필자는 계급불평등의 구조적 요인을 축출메커니즘에서 찾고 이에 상응하는 계급적 실천을 ‘빗장걸기’라는 개념으로 포착했다. 빗장걸기 개념은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개념이 오늘날의 계급적 실천감각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탈사회적 상황에서의 계급불평등이 어떤 감정적 역학관계를 만들어내는지를 분석하고 그로 인해 초래되는 비극적 상황을 드러내고자 했다. 비록 영화를 경유한 분석이지만 실제 삶에서 일어나고 있는 경험적 상황을 보조적으로 활용하면서 분석의 실증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how the underclass express class emotions in post-social space through the films Burning and Parasite. To this end, I grasped the structural factors of class inequality by the expulsion mechanism, then captured the corresponding class practice by using the concept of ‘latching’. Using the idea of latching will help explain that Bourdieu’s concept of distinction has a series of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class practices in post-social space. Furthermor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lass inequality in post-social space situations creates the emotional dynamics, and reveals the tragic situation caused by those dynamics. Although this analysis is on the text of movies, it utilizes other empirical evidence of criminality in real life to assist more with substantive information.

      • 노숙인 구호활동의 평가와 전망

        정수남(Joung Sunam)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09 노동연구 Vol.18 No.-

        이 글은 외환위기 이후 기독교단체들을 중심으로 노숙인구호활동의 내용과 성과 및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운동의 방향을 모색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난 10여 년 동안 기독교단체는 노숙인의 보호를 위해 국가와 시민단체의 지원 및 협력을 기반으로 꾸준한 활동을 펼쳐왔다. 그러나 대부분 정부의 노숙인 정책과 지원체계에 의존한 나머지 기독교단체의 주체적인 활동을 펼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결국 이 같은 상황은 노숙인들이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받는 데는 기여했지만 노숙인들의 자활과 자립을 유도하는 데에는 많은 한계를 지니게 되었다. 본 글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와 기독교단체의 수평적인 협력관계를 전제로 한 체계적인 노숙인구호사업과 노동연계프로그램을 연결시키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관련 단체들과의 노숙인 관련 정보공유와 상호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노숙인의 자활을 체계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관주도적인 구호활동을 벗어나 적극적인 빈곤운동의 주체로서 노숙인 스스로 탈노숙·탈빈곤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와 교육을 제공하는 기독교단체의 새로운 역할을 강조하였다. This article aims not only to analyze the details, results and problems of the Christian organization-led caring services for the homeless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but also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next movement. Christian organizations have been involved in caring services for the homeless on a constant basis with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government and civic groups for the last 10 years. However, because Christian organizations depend on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public support system, they have not been able to move forward to work on their own independent activities. Consequently, although the caring services led by the Christian organizations have improved the conditions of the homeless temporarily in receiving short-term welfare service, they have also exposed major shortcomings in inducing the homeless to support themselves and become independent.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article suggests the strategy that connects a positive policy on the labor market with more systematic services for the homeless which is based on the horizontal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hristian organizations. Furthermore, I emphasizethe importance of the combined policy which systematically induces the self-support from the homeless by developing a connection program as well as an information sharing program about the homeless people among the related organizations. Finally, I stress that the need for the Christian organizations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educational programs which lead the homeless to escape from homelessness and poverty by themselves. They thereby can be independent of the positive anti-poverty movement by escaping from being a merely passive beneficiary of the care services from the government.

      • KCI등재

        `잉여인간`, 사회적 삶의 후기자본주의적 논리

        정수남(Sunam Joung)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5

        본 논문은 노숙인의 사회적 삶을 후기자본주의적 맥락에서 재구성해보고, 그들에 대한 장치(dispositif)의 꾸준한 개입에도 불구하고 노숙인은 사라지기는커녕 정체되거나 더 늘어나는 역설을 감정사회학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노숙인을 응시하는 사회적 시선을 감정적 분위기이라는 개념으로 전환하여 설명하고, 1990년대 중반 이전과 이후의 차이를 밝히면서 후자의 시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둘째, 노숙인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 공포감을 토대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후기자본주의체제에서 공포가 개인화되는 메커니즘을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통해 이론화했다. 셋째, 공포를 개인에게 전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후기자본주의 복지정책은 노숙인에게 자활과 자조를 목표로 설정하게 하고 이를 위한 핵심 자원으로 ?감정?을 끌어들인다. 그리고 감정자본을 중심으로 복지프로그램은 새롭게 재편되고 있음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복지 장에서 노숙인은 새로운 게임에 들어서게 되는 데, 이때 감정자본은 이들이 자활에 성공하는 시민으로 거듭나느냐 아니면 계속 노숙인의 위치에 머무르게 되느냐를 결정하는 중요한 자원임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필자는 노숙인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감정의 위계에 따라 끊임없이 새로운 주체로 만들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This article aims to reframe social life of the homeless in the context of late capitalism, and then explore the reason that the number of them maintains or increases rather than decreas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emotional sociology, though intervene of welfare dispositif on them steadily. For this, I first set social gaze which common people see the homeless as the kind of emotional chains and then, analysis how such a social emotions affected us after 1990’s. Second, I try to theorize the mechanism of individualization of fear by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ality in that social gaze on the homeless is built on fear. Third, welfare regime of late capitalism makes the homeless attain their aims of self-help or self-support and brings emotions into it in the way to imputing fear to individuals. However, I argue welfare regime makes postemotional in that these emotions are ‘false’ emotions produced mechanically by current welfare system. Then, I try to suggest that welfare field re-establishes in centre of emotional capital. Finally, this study finds that the homeless necessarily follow new rules of game in welfare field as using emotional capital to conduct self-help successfully. Furthermore, I present that social welfare do not reduce the homeless but produces them new other subject(a sort of civil) in the basis of hierarchy of emotional capital.

      • KCI등재후보

        ‘청춘’ 밖의 청춘, 그들의 성인기 이행과 자아정체성

        정수남(Joung, Sunam),권영인(Kwon, Young In),박건(Park, Gun),은기수(Eun, Ki-Soo)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2 No.-

        본 연구는 빈곤청년들의 성인기 이행과 자아정체성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이 지체되고, 사회경제적 독립이 점차 어려워지면서 자아정체성 형성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오늘날 커다란 사회적 이슈이자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모든 계층의 청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빈곤 청년들은 ‘정상적인’ 가정생활, 학교생활, 노동생활을 경험하지 못했다. 이들은 빈곤한 경제상황 때문에 일찍부터 생계를 부담하고 가족관계를 재구성해야 했으며, 학업보다는 아르바이트에 시간을 더 쏟고, 노동현장에서는 저임금과 착취를 당하면서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다. 그 결과 이들은 가정에서 ‘자녀’, 학교에서 ‘학생’, 일터에서 ‘노동자’라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이들은 각기 나름의 전략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성인기 이행에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빈곤계층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은 상당히 압축적이지만 그에 따르는 사회적 인정이 뒷받침되지 못함으로써 자아정체성 형성에서 다양한 훼절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5명의 20대 청년들이 인터뷰에 응해주었으며, 이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질적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self-identity of the disadvantaged youths or youths in poverty. It is well known that transition to adulthood for all youths is postponed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in other societies. Growing hardship in achieving socioeconomic independence also makes Korean youths develop self-identity. This has become a big social issue and futhermore one of social problems. However, we cannot say that these changes are found common to youths across all social classes. Disadvantaged youths in Korean society have not experienced so-called “normal” life in family, school and the labor market. Earlier hardship in their life forced them to work to support family life, to reconstruct family relationship, and to spend more time in par-time work rather than in studying at school. They were spending their youthful years suffering from low wage and sometimes exploitation in the labor market unlike ordinary youths who manage “normal” family and school life in their 10s and 20s. As a result, they have faile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child in family, a student in school and a worker in the labor market. However, they have utilized their own strategy for their identity construction, which eventually leads to a transition to adulthood later. For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25 youths in their 20s. We also collected their life history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m. We find that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is very compressive, but frequently disrupted in various ways because of the lack of social recognition. This is one of the big differences in transition to adulthood between ordinary and disadvantaged youth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거시적 감정사회학을 위하여

        박형신(Park, Hyong-Shin),정수남(Joung, Sunam)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5 No.-

        이 논문은 감정이 인간의 삶과 사회현상에서 지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학이 사회적 삶을 합리성으로 축소시켜 이해함으로ㅆ, 많은 부분을 그 설명에서 놓치고 말았다는 인식하에, 감정사회학, 그것도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이 글은 먼저 제2절에서 사회학의 연구 대상은 합리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라는 전제하에 감정의 사회성을 탐색하여, 감정사회학의 토대를 마련한다. 제3절에서는, 이러한 토대 위에서 성립한 미시적 감정사회학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행위와 구조를 연걸 짓는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제4절에서는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방법론을 모색하고, 제5절에서는 그간 개발된 거시적 감정사회학의 개념적 틀 및 분석 사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이러한 ‘감정적 전환’이 갖는 사회학적 의미를 논의하고 ‘감정정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the study of the sociology of emotions, particularly, the macro-sociology of emotions In doing so, it explains the shortcomings of the current study of sociology in that it has failed to provid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cial life by relying on rationality Hence, this articl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motion, which plays a crucial role in human’s lives and social phenomena In reaching this goal, this article firstly aims to prepare the foundation of the sociology of emotions by exploring the social nature of emotions under the premise that the object of sociological research is not the rational but the social Secondly, it stresses the necessity of the macro-sociology of emotions in creating a link between social action and social structure by evaluating the achievements and shortcomings of the micro-sociology of emotions Thirdly, this article explores new methodology for the macro-sociology of emotions and examines conceptual frames and cases analysises for the macro-sociology of emotions Finally, it proposes the need for the ‘emotional politics’ in discussing the sociological meanings of ‘emotional turn’

      • KCI등재

        삶의 폐허와 건강악화의 사회문화적 조건: 경기도 A공단 미등록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이창호(Lee, Changho),정수남(Joung, Sunam),김지희(Kim, Gee-Hee),박준규(Park, Christian Joo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A공단에서 ‘불법’ 혹은 ‘미등록’ 노동자로 살아가고 있는 이주자들의 생활환경을 살펴보고, 구조적 억압과 취약한 삶의 조건이 이들의 생존과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학제적 연구를 통해 파악해보고자 했다. 이주노동자들은 공해, 화재 위험성,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여있으면서도 ‘불법’ 혹은 ‘미등록’ 신분이라는 이유로 단속에 대한 두려움, 임금의 불안정성과 직장 이전의 어려움 등을 항상 내재하고 있으며 상시적인 추방가능성에 대한 불안감과 고향에 대한 향수 및 가족에 대한 깊은 그리움 등으로 인해 체류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더 건강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의학적 조사결과, 조사 대상자 중 고혈압 및 당뇨병 진단을 받은 환자는 낮은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정신건강과 관련된 맥파전달속도를 분석한 결과 경직된 혈관을 가지고 있는 이주민이 78.9%로 나타났고, 15.8%가 심한 불안감과 차별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등록 노동자 남성의 70.8%가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기혼이주노동자의 경우 차별감도 더 많이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 조사 결과 이주노동자들은 자신의 혈압이 높은 이유를 고향과 가족에 대한 향수, 단속에 대한 걱정 및 가족에 대한 부양의무로 내세웠다. 이로 인한 신체적 증상은 두통과 불면증으로 나타났으며, 주변의 낙인을 피하기 위해 감기약이나 진통제를 상용한다. 특히 남성 미등록노동자는 가족에 대한 부양의무를 무겁게 지고 있으며 건강악화는 현재의 공단생활로, 건강한 몸은 귀향으로 상징화할 정도로 귀국을 열망하지만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없는 교착상태를 겪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들은 장기간 미등록 이주로 인해 본질적인 가족 관계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을 안고 살아가고 있으며 미등록이라는 신분으로 인해 더욱 유순해지고 무기력화되며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삶의 폐허와 건강악화의 사회문화적 조건 속에서 몸과 건강을 지켜낼 수 있는 최소한의 건강행동이 이들에게 일부 존재하지만 지속이 어려우며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context in which migrant workers in a small-medium industrial complex called A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become and live as ‘illegal’ or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From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paper illustrates how structural oppression and poor living conditions influence their survival and health. Migrant workers live in poor housing environment exposed to pollutions and high risk of fire accidents. At the same time, they live in fear of immigration raids and unstable pay and suffer from the ban on changing employment. In addition, the constant threat of deportation combined with homesickness tends to have negative effects on migrant health as the sojournment increases. A medical examination conducted by the research team showed that the examination participants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had a very low distribution compare to the prevalence rate of Koreans. However, the examination of pulse wave velocity showed a high distribution of migrant workers with stiff artery with 78.9% of the participants. 15.8% of the participants were diagnosed with high anxiety and stated that they are strongly aware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m. Especially, 70.8% of the undocumented male suffered from depression and married migrant workers also had stronger awareness of discrimination. In-depth interviews revealed that they themselves saw the reasons for their higher blood pressure to be homesickness, threat of immigration raid, and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 family. As a result, somatic symptoms of headaches and insomnia appeared. Many took cold medicines or painkillers in order to avoid stigma. Undocumented male migrant workers, especially, felt heavier burden of family support. Moreover, they were at a crossroad between health deterioration due to their work at the industrial complex and good health symbolized as return to home which cannot be realized. In conclusion, they are living with the fear of changes to their family relationships and in a vulnerable position as they become submissive and powerless. In these socio-cultural conditions of life in ruins and health deterioration, these migrant workers find minimum ways to protect their body and health. Unfortunately, even these actions cannot be maintained nor become fundamental solutions.

      • KCI등재

        고도 경쟁 사회 노동자의 감정과 행위 양식

        박형신(Park, Hyong-Shin),정수남(Joung, Sunam)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3 No.-

        오늘날 자본주의의 무한 경쟁 체제는 노동자들의 좌절과 공포를 양산하고 노동자의 존재 기반까지 박탈하고 있다. 이 논문은 노동자들의 이 같은 상황을 초래한 구조를 ‘고도 경쟁 레짐’으로 개념화하고, 그 속에서 노동자들이 느끼는 감정구조를 포착한다. 특히 노동자들의 공포가 응축?심화 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이러한 논의는 의당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노동자들의 상태가 더욱 나빠지고 그들의 공포가 심화됨에도 불구하고, 맑스주의적 인식틀이 이러한 상황에서 당연한 것으로 간주했던 것과는 달리, 왜 노동자의 저항이 증가하기보다는 줄어들거나 약화되는가? 이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이 논문은 먼저 자본주의사회에서 경쟁이 노동자들의 공포를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제3절에서는 초기 경쟁 레짐에서 고도 경쟁 레짐으로 변화함에 따라 노동자들의 공포 감정이 강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4절에서는 노동자들의 공포가 그 배후 감정―분노, 수치심, 무력감, 체념―에 따라 어떻게 각기 다른 행위 양식―저항, 자기 계발, 예속, 비행위―으로 발현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앞서 제기한 문제에 답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감정사회학적인 설명 방식이 어떠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가질 수 있는지를 탐색하며, ‘고도 연대 레짐’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This present article defines today’s unlimited competition system as the ‘high competitive regime’ and explores worker’s emotional structure under this regime.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cess which worker’s fear comes to condense and deepen. But, though the condition of worker gets worse and worse, it is the fact that their resistances decrease or weaken rather than increase. This situation is different from the foresight of traditional Marxism. To examine this matter, this article first grasps the mechanism occurring worker’s fear under capitalism society in the level of theory. Second, it explains the process that worker’s fear intensifies more and more in transforming from ‘early competitive regime’ to ‘high competitive regime’. Third, it analyses how worker’s fear arouses the different patterns of action―resistance, self-enrichment, subordination, inaction―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fear―resentment, shame, helplessness, resignation. In conclusion, we seek to deriv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motional-sociological interpretation, and then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high solidarity reg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