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건축 규제완화에 대한 토지공법적 검토

        정선균 한국토지공법학회 2023 土地公法硏究 Vol.101 No.-

        In the metropolitan area, where housing sites are absolutely scarce, reconstruction is practically the only means of supplying housing. However, those who understand reconstruction simply as a means of increasing property and think negatively or who think that they must catch up with soaring real estate prices strengthen safety inspections to prevent the reconstruction project from proceeding in the first place, try to reduce the supply of housing through reconstruction by the sale price ceiling system and reconstruction charge.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reconstruction, it is reasonable to remove the so-called three major nails (safety diagnosis, sale price ceiling system, and reconstruction charge) that hinder reconstruction. First, there are ways to lower structural safety standards and exempt safety diagnosis for buildings built before 1988, but now it is time to consider abolishing safety diagnosis boldly to revitalize the reconstruction project. Next, the sale price ceiling system for private housing sites should be abolished as soon as possible, as there is no longer any reason to exist, such as instability in real estate prices and reverse discrimination. Lastly, although some of the problems with the reconstruction charge have been removed through 2022. 9. 29. countermeasure, unconstitutional elements still remain. Therefore, it is worth considering removing the unconstitutionality through law revision or abolishing it at this chance.

      • KCI등재

        국가배상법상 공무원

        정선균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3 法과 政策 Vol.29 No.1

        Since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rom the State is not a simple right to claim damages under civil law, but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the State is fulfilling its constitutional obligations when it compensates victims for damages caused by illegal acts by public officials. Therefore, state compensation liability is the self-responsibility of the State based on the organ theory, and since the parties to the state compensation relationship are the State and the people,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which demands intentional or negligent public officials who are not parties to the state compensation relationship should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As such,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official’s personal liability for compensation is not a prerequi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State Compensation Liability, the Supreme Court’s position should be changed as follow that if the public official falls under light negligence the public official’s personal liability for damages does not exist : If a public official commits an illegal act against another person in the status of a natural person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duties, the liability for compensation is recognized regardless of gross negligence or light negligence according to Article 750 of the Civil Act. However, if a public official commits an illegal act against another person while under the guise of performing duties, the public official at this time corresponds to an organ or tool of the State, and therefore the public official does not bear personal liability for compensation, only the State. Meanwhile, in relation to state compensation, a public official functions only as an enforcer, so it is not at all important whether the public official has legal subjectivity or is in charge of purely technical enforcement. Therefore, public officials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may include not only those who have the status of public officials but also public trustees and administrative assistants. However, public corporations established to handle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affairs, such as public organizations, cannot be included in the public officials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In this regard, the Korean Bar Association is a public official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as an public trustee, therefore only the State that entrusted the lawyer management work to the Korean Bar Association is recognized as liable for damages, and there is no reason to discuss the liability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or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국가배상청구권은 단순한 사법상의 손해배상청구권이 아니라 헌법상 기본권의 하나이므로 국가가 자신의 기관인 공무원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피해자에게 배상을 하는 것은 자신에게 부여된 헌법상의 책무를 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배상책임은 기관이론에 근거한 국가의 자기책임이며 국가배상관계의 당사자는 국가와 국민이므로 국가배상관계의 당사자가 아닌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을 국가배상책임의 성립요건으로 요구하고 있는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은 조속히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공무원의 개인적인 배상책임의 성립여부는 국가배상책임 성립의 전제요건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공무원에게 경과실이 인정되는 경우 공무원의 개인적인 손해배상책임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의 입장도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즉 공무원이 직무집행과 관련없이 자연인의 신분으로 타인에게 불법행위를 저지른 경우에는 민법 제750조에 따라 중과실과 경과실을 가리지 않고 배상책임이 인정되며, 다만 공무원이 직무집행의 외형을 가진 상태에서 타인에게 불법행위를 저지른 경우에 공무원은 국가의 기관 혹은 도구에 불과하므로 공무원은 개인적인 배상책임을 지지 않고 오로지 국가만이 배상책임을 지게 된다고 보아야 한다. 한편 국가배상관계에서 공무원은 집행자로서만 기능할 뿐이므로 그 공무원이 법주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순수한 기술적인 집행만을 맡은 자인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국가배상법상 공무원은 공무원의 신분을 가진 자뿐만 아니라 공무수탁사인, 행정보조인 등도 포함될 수 있는데, 다만 공공단체와 같이 애초부터 특수한 공행정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된 공법인은 국가배상법상 공무원에 포함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변호사협회는 공무수탁사인으로서 국가배상법상 공무원에 해당하므로 이런 대한변호사협회에게 변호사 관리사무를 위탁한 국가에게만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될 뿐 대한변호사협회나 협회장 개인의 손해배상책임은 애초에 논할 이유가 없다.

      • KCI등재후보

        국민권익위원회의 신분보장등 조치결정에 대한 연구

        정선균 한국부패방지법학회 2023 부패방지법연구 Vol.6 No.2

        Through the Corruption Reporting System,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 can be prevented, and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can be protected and the adequacy of administration can be secured. However, issues regarding conflicts between organizations and members or between members through corruption reporting, and explicit or implied disadvantages to corruption reporters(whistleblower) are constantly being rais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rticle 62-2 of the Anti-Corruption Rights and Civil Rights Commission Act allows corruption reporters to apply for measures such as guaranteeing their status to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if they have received or are expected to receive disadvantageous measures for reporting. By the way, it is clear that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s decision on measures such as guaranteeing the status of the head of the agency to which the reporter belongs is a measure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reporter, but on the other hand, it would violate the constitutional or statutory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affiliated agency. Therefore, an in-depth study on this is required. First,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s decision to guarantee status is an internal act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and not an act regulating the rights or duties of citizens, so it cannot be regarded as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as a subject of an appeal lawsuit. Accordingly, a lawsuit in which the head of an affiliated agency contests a decision on to guarantee status against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should be regarded as an institutional lawsuit, which is a lawsuit about the exercise of authority between administrative agencies, not an appeal lawsuit. In this way, i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regarding the decision to guarantee status is regarded as an institutional litigation, there is no problem in theory that Article 62-4 of the Anti-Corruption Rights Commission Act limits the eligibility of plaintiffs and the subject of suit, and sets the filing period very short. However, the current regulation limiting the filing period to 30 days due to excessive focus on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er is not appropriate in light of the nature of institutional litigation aimed at resolving disputes over authority between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amend the Act so that a lawsuit can be filed within 60 days from the date of notification of the decision to guarantee status. In addition, the current regulations do not have a separate objection provision in case the whistleblower's application for guarantee of status is rejected or rejected.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regulation on the whistleblower's right to file a lawsuit so that he can file a lawsuit with the court. 부패행위 신고제도를 통하여 공직사회의 부패를 예방하게 되어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행정의 적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지만, 부패신고를 통한 조직과 구성원 사이 또는 구성원 사이의 갈등의 문제라든가 부패신고자에 대한 명시적․묵시적 불이익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패방지권익위법 제62조의2는 부패신고자가 신고를 이유로 불이익조치를 받았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국민권익위원회에 신분보장등 조치를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국민권익위원회가 신고자가 속한 소속기관장에게 신분보장등 조치결정을 하는 것은 신고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조치임이 분명하지만, 한편으로는 소속기관장의 헌법상 또는 법률상 주어지는 권한을 침해하는 것이 될 것이기에 이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먼저 국민권익위원회의 신분보장등 조치결정은 행정기관 사이의 내부행위일 뿐 국민의 권리나 의무를 규율하는 행위가 아니므로 항고소송의 대상으로서 행정처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그에 따라 소속기관장이 국민권익위원회를 상대로 신분보장등 조치결정을 다투는 소송도 항고소송이 아니라 행정기관 상호간의 권한의 행사에 대한 소송인 기관소송으로 보아야 한다. 이와 같이 신분보장등 조치결정에 대한 행정소송을 기관소송으로 본다면 부패방지권익위법 제62조의4가 원고적격과 소의 대상을 제한하고 아울러 제소기간을 매우 짧게 잡고 있는 것은 기관소송 법정주의를 취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이론적으로는 별 문제가 없다. 다만 지나치게 신고인 보호에 치우쳐 제소기간을 30일로 제한하는 현재의 규정은 기관 사이의 권한의 분쟁을 해결하려는 기관소송의 본질에 비춰볼 때 타당하지 않으므로 신분보장등 조치결정을 통보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제소할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현재의 규정은 신고자의 신분보장 등의 조치 신청이 각하되거나 기각된 경우에 별도의 불복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데, 이러한 경우에도 법원에 제소할 수 있도록 신고자의 쟁송제기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당사자소송의 심리에 관한 연구

        정선균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3

        Konzentrierte sich die Studie zur Parteistreitigkeit bisher auf die Positionierung zwischen Zivilprozess und Anfechtungsklagen, Dieses Papier konzentriert sich darauf, wie Parteistreitigkeit tatsächlich durchgeführt werden sollte. Insbesondere geht es um die Auslegung von Artikel 26 des koreanischen Verwaltungsprozessgesetzes, um die Interesse an der Feststellung, um der Vorläufiger Rechtsschutz und um die Bindungswirkung. Erstens, was die Anwendung des Artikels 26 des koreanischen Verwaltungsprozessgesetzes betrifft, so sollte der Zwischenpunkt zwischen Zivilprozess und Anfechtungsklagen der Sitz der Parteistreitigkeit sein. Die Verhandlungsmaxime ist daher das Grundprinzip der Verfahren der Parteistreitigkeit, Es sollte beachtet werden, dass ein Urteil über von den Parteien nicht behauptete Tatsachen nur dann gefällt werden kann, wenn dies im öffentlichen Interesse als notwendig anerkannt wird. Als nächstes stellt sich die Frage, ob der Interesse an der Feststellung in der Parteistreitigkeit mit den Diskussionen im Zivilprozess übereinstimmen, auch wenn die Gegenstand der Feststellung oder die Interesse der baldigen Feststellung in demselben Zusammenhang zu verstehen ist wie die Erörterung von Zivilprozess, neben der Subsidiaritätsdiskussion sollte auch die Besonderheit der Parteistreitigkeit berücksichtigt werden. Daher ist bei der Einreichung als Parteistreitigkeit im Gegensatz zu einer Zivilprozess die Ergänzung einer Subsidiarität der Feststellungsklage nicht erforderlich. In Bezug auf das Vorläufiger Rechtsschutz ist angesichts der Parteistreitigkeit, die meistens als Leistungs- oder Feststellungsklagen eingereicht werden, die vorläufige Verfügung nach dem Zivilvollstreckungsgesetz ein geeignetes Mittel des Vorläufiger Rechtsschutz für die Parteistreitigkeit. Im Einzelnen ist, wenn der Kläger eine Feststellungsklage erhebt, eine Einstweilige Verfügung bezüglich Streitgegenstand angemessen, und wenn eine Klage auf Leistung eingereicht wird, eine Einstweilige Verfügung zur Regelung eines einstweiligen Zustandes angebracht ist. Unabhängig vom Inhalt des Antrags des Klägers kann das Gericht jedoch eine der Situation angemessene einstweilige Verfügung treffen oder gleichzeitig eine eine Einstweilige Verfügung bezüglich Streitgegenstand und einstweilige Verfügung zur Regelung eines einstweiligen Zustandes anordnen. Obwohl die Bestimmungen über die Bindungswirkung von Anfechtungsklagen von den Parteistreitigkeit mutatis mutandis auf den Rechtsstreit angewendet werden, scheinen die Gerichte diese Bestimmung nicht aktiv anzuwenden. Wenn das Gericht in Zukunft aktiv darauf hinweist, dass auch in einer Parteistreitigkeit die Bindungswirkung manifestiert werden kann, ist eine von Zivilprozess klar abgegrenzte Rolle einer Parteistreitigkeit zu erwarten. 그동안의 당사자소송에 대한 연구가 민사소송과 항고소송에 치여 제자리를 찾지 못했던 당사자소송의 자리매김에 초점을 맞췄다면, 본고는 그렇게 제자리를 찾은 당사자소송이 실제로 어떻게 운용되어야 하는지에 관하여 초점을 맞춘 글이다. 특히 행정소송법 제26조의 해석문제, 확인의 이익에 관한 문제, 가구제에 관한 문제, 기속력에 관한 문제와 같이 당사자소송의 심리와 관련된 여러 쟁점을 다루고 있다. 먼저, 행정소송법 제26조의 직권심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민사소송과 항고소송의 중간 지점, 즉 민사소송에 비해서는 직권탐지의 정도가 강하지만 항고소송과 비교할 때는 그 정도가 약한 그 지점이 당사자소송의 위치가 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당사자소송의 경우에는 변론주의를 심리의 기본원칙으로 하되, ‘공익상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 한해서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사실에 대하여도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다음으로, 확인소송으로 제기되는 당사자소송에서의 확인의 이익이 민사소송에서의 논의와 일치하는지가 문제 되는데, 확인의 대상이나 즉시확정의 이익에 관한 논의는 민사소송의 논의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더라도 보충성에 관한 논의만큼은 민사소송과 달리 기속력이 인정되는 당사자소송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처분을 원인으로 하는 법률관계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소송을 당사자소송으로 제기한 경우, 민사소송과는 달리 확인소송의 보충성은 요구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가구제에 대해서는 대부분 이행소송이나 확인소송으로 제기되는 당사자소송의 특성을 고려할 때, 민사집행법상 가처분이 당사자소송에 적합한 가구제 수단이 될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원고가 당사자소송을 확인소송으로 제기하는 경우에는 보전명령적 가처분이 적정하고, 원고가 이행소송의 형식으로 당사자소송을 제기하는 경우에는 규율명령적 가처분이 적정하다. 다만 법원은 원고의 신청 내용에 구애받지 않고 상황에 맞는 가처분을 결정하거나 보전명령적 가처분과 규율명령적 가처분을 동시에 명령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당사자소송은 취소소송의 기속력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고 있으나, 현재 법원은 이 조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당사자소송에서도 기속력이 발현될 수 있는 것을 법원이 적극적으로 밝히게 된다면 민사소송과는 확실히 구별되는 당사자소송만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행정상 명단공개에 대한 구제수단으로서 당사자소송의 활용

        정선균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강법률논총 Vol.12 No.3

        Administrative list disclosure is an act in which an administrative agency discloses the name and violations of an obligation violator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o infringe upon the violator's honor or credibility, and is a means of indirectly forcing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under administrative law by doing so. This administrative list disclosure is not an expression of intention, but is merely a real act as a notification of a certain fact. Therefore, seeking relief for rights through cancellation lawsuits and suspension of execution is not consistent with system suitability. Furthermore, considering the reality of litigation in Korea, cancellation lawsuits require very strict litigation requirements compared to party lawsuits and the principle of non-suspension of execution is adopted and even the requirements for the merits of the case are very strict so it is not easy for a request for suspension of execution to be accepted, resolving the administrative list disclosure through cancellation lawsuits and suspension of execution would be seen as going against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 which recognizes the people's right to seek tri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le a party lawsuit that is not subject to severe restrictions on litigation requirements and has a much wider range of types of disputes that can be contested. Let us use this as a means of relief for those whose rights have been (or will be) violated due to the illegal disclosure of the list. Specifically, when disclosure of the list is imminent, rights relief through a preventive injunction lawsuit is necessary. and If the list has been made public, rights relief is possible through a general performance lawsuit or a general confirmation lawsuit. and in all of these cases, provisional injunctions can be used.

      • KCI등재후보

        국가기관 간의 분쟁 해결 수단으로서 항고소송의 한계

        정선균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강법률논총 Vol.8 No.2

        As the power structure is leveled, it is expected that a lot of new legal disputes will arise between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seek a suitable solution because it may cause a bigger dispute to give up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n the grounds that it can not be solved by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or the agency litigation. Of course, there may be a way to resolve a case by the revocation litigation like the case of the Gyeonggi-do Election Commission, but considering that the revocation litigation is basically a lawsuit filed by a citizen, who has been infringed by the exercise of the state’s public power, to receive relief, it seems inappropriate to use the revocation litigation as a means of resolving such legal disputes between state agencies. Therefore, I suggest the following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Article 111 (1) 4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uses the term, “State agencies,” but does not express them as constitutional institutions. In the sense that infringement of the authority granted by legislation can be sufficiently a reason for the claim of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it should also allow the judgment on competence dispute of a general state organization, which is not a constitutional institution. Next, it is necessary to abandon the legalism in agency litigation at the time of amendment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nd to efficiently deal with disputes between various types of institutions through the agency litigation. Finally, if the legalism in agency litigation is maintained as it is now, it is in accordance with the attitude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o deal with disputes between institutions that are not resolved through agency litigations by utilizing a party litigation rather than trying to resolve them with the revocation litigation like the case of the Gyeonggi-do Election Commission. This is because the party litigation is a lawsuit that resolves “the legal dispute over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in the public law”, so it can be a proper remedy for disputes between institutions that are contending for superiority. 앞으로 권력구조의 평준화가 진행되면서 기관 사이의 신종 법적 분쟁이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권한쟁의심판이나 기관소송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행정소송의제기를 포기하게 하는 것은 더 큰 분쟁의 소지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물론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사건처럼 취소소송으로해결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겠으나, 취소소송이 기본적으로 국가의 공권력의 행사에의하여 권익을 침해당한 국민이 이를 구제받기 위하여 제기하는 소송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국가기관 상호상의 법적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취소소송을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같은 대안을 제기해본다. 먼저 권한쟁의심판과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우리 헌법 제111조 제1항 제4 호는 ‘국가기관’이라는 용어만을 사용할 뿐 헌법기관이라고 표현하지 않고 있으므로 법률상 부여된 권한의 침해도 충분히 권한쟁의심판의 청구사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헌법기관이 아닌 일반 국가기관의 권한쟁의심판의 제기도 허용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차후 행정소송법 개정시에 기관소송 법정주의를 포기하여 다양한 유형의 기관간의 분쟁을 기관소송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지금과같이 기관소송 법정주의가 유지된다면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 사건처럼 취소소송으로해결하는 것 보다는 당사자소송을 활용하여 기관소송을 통해 해결되지 않는 기관간의분쟁을 처리하는 것이 우리 행정소송법의 태도에 부합하다. 왜냐하면 당사자소송은‘당사자 간의 공법상의 법률관계에 대한 법적분쟁’을 해결하는 소송이므로 우열관계를따지기 어려운 기관 상호간의 분쟁에 대해서도 적절한 구제수단이기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에 대한 취소소송의 가구제

        정선균 한국행정법학회 2024 행정법학 Vol.26 No.-

        고용계약이 전제가 되는 개별적 근로관계든 단체협약이 전제가 되는 집단적 노사관계든 이러한 노동법적인 분쟁은 민사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당연히 민사소송의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나, 신속하고 간이한 권리구제를 위해 노동위원회를 두게 되었고, 이러한 노동위원회의 결정이 행정처분의 성격을 가지다 보니 결국 노동위원회를 거쳐 제기되는 소송은 행정소송에 해당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에 대한 취소소송은 형식적으로는 노동위원회의 결정이라는 행정처분의 위법성을 다투는 행정소송으로서 소송절차적 측면에서는 행정소송법이 적용되지만, 실질적으로는 근로자(또는 노동조합)와 사용자 사이의 법적 분쟁을 다룬다는 점에서 실체법으로는 노동법이 적용되는 매우 독특한 쟁송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노동위원회 단계뿐만 아니라 행정소송 단계에서도 특별히 원고의 법적 지위를 보장하는 제도가 전무하여 오히려 민사소송으로 가면 가구제 활용이 가능한 사건이 행정소송으로 가면 전혀 보호받지 못하는 결론에 이르게 되어 근로자들의 불안정한 법적 지위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또한 행정소송법상 가구제인 집행정지는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 몹시 까다롭고 혹시 요건이 충족된다 하더라도 거부처분에 대해서는 집행정지를 신청할 이익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가처분에 대해서는 대법원은 행정소송법에 가처분에 관한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취소소송과 같은 항고소송에서는 가처분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가 민사소송으로 해고의 효력을 다투거나 근로자지위확인소송을 제기한 경우에는 가처분을 신청할 수 있는 반면에 노동위원회를 거쳐 행정소송으로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가구제도 신청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 헌법은 국민의 재판청구권을 기본권의 하나로 인정하고 있는바, 이는 권리침해를 당한 국민에게 재판을 통한 적절한 권리구제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하고, 적절한 권리구제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원고가 원하는 결론이 원하는 ‘시점’에 이루어져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당해고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구제수단을 행정소송으로 선택한 경우에도 이를 민사소송으로 선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구제가 허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근로자나 사용자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판정에 대한 취소소송에서 집행정지를 신청할 수 있으며, 가처분과 관련해서는 부당해고등 구제 취소소송에서는 임금지급 가처분이나 근로자지위보전 가처분, 근로방해금지가처분, 불이익처분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등의 활용이 가능하고, 부당노동행위 구제 취소소송에서는 단체교섭응낙 가처분이나 단결권침해 방해배제 가처분, 직장폐쇄에 대한 가처분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Whether it is an individual labor relationship or a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these disputes have a civil legal nature, so they naturally fall under the realm of civil procedures. However,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was established to provide quick and simple rights relief, and since the decisions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were in the nature of disposition, ultimately, lawsuits filed through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fell under the Administrative Suit. Accordingly, Revocation Litigation fo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s decision on review is formally an administrative suit that contests the illegality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s decision, and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is applied. However, in reality, it has a very unique structure in which labor law is applied in that it deals with legal disputes between workers (or trade unions) and employers. Meanwhile, under the current law, there is no system that guarantees the legal status of the plaintiff not only at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stage but also at the Administrative Suit stage. Accordingly, cases where Provisiona relief is possible when filed through a civil procedure become impossible when filed through an Administrative Suit, making the legal status of workers unstable. Additionally, it is very difficult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Suspension of Execution, which is Provisiona relief under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and even if the requirements are met, there is usually no benefit in applying for Suspension of Execution for disposition of refusal. And with regard to provisional disposition, the Supreme Court does not allow provisional disposition in Revocation Litigation on the grounds that there is no provision for provisional disposition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Therefore, if a worker who has been unfairly dismissed by an employer disputes the validity of the dismissal with an Administrative Suit or files a lawsuit to confirm employee status, he or she can apply for provisional disposition.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f you go through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and file a Revocation Litigation fo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s decision on review with the Administrative Suit, you cannot apply for any Provisiona relief. Our Constitution recognizes the people's right to seek trial as one of their fundamental rights. This means that appropriate rights relief must be provided through trial to citizens whose rights have been violated, and that appropriate rights relief is provided means that the conclusion desired by the plaintiff must be reached at the desired ‘time.’ Therefore, even if an Administrative Suit is filed against an employer's unfair dismissal or unfair labor practice, Provisiona relief should be granted just as in the case of filing a Civil Procedure. Specifically, a worker or employer can apply for Suspension of Execution in Revocation Litigation fo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s decision on review. Regarding Provisional Disposition, unfair dismissal relief Revocation Litigation can use Provisional Disposition for payment of wages, Provisional Disposition for preservation of worker status, Provisional Disposition for prohibition of work interference, Provisional Disposition for suspension of effect for disadvantageous disposition, etc. In unfair labor practice relief Revocation Litigation, it is possible to use provisional disposition for collective bargaining compliance, provisional disposition for exclusion of interference with violation of right to organize, and provisional disposition for workplace lock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