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 쪽구들 연구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은 연해주의 옥짜브리스끼 지구 꼰스딴찌노브까 마을 부근의 라즈돌나야강 우안 평탄지에 위치한다. 이 유적에 대해서는 V.I.볼딘이 1987년부터 1992년까지 4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건축면과 하건축면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2개의 중세문화층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장 아래에서는 초기철기시대 끄로우노브까 문화층이, 가장 위 부분에서는 여진과 한인 이주민의 유물들이 수습되었다. 또한 5기의 쪽구들 주거지와 측구가 딸린 도로유구 등 적지 않은 유구가 조사되었고, 토기, 기와, 여러 종류의 골각기와 금속제품이 출토되었다. V.I.볼딘은 이 유적의 상건축면을 여진시기로 하건축면을 발해시기로 각각 편년하였지만, 필자는 이 글에서 유적의 층위, 출토유물, 쪽구들의 구조, 절대연대자료 등에 대한 세밀한 검토를 통해 상건축면은 발해의 늦은 시기라는 하건축면은 발해의 이른 시기라는 새로운 편년안을 제시하였고, 상건축면의 3기 쪽구들 주거지(1호, 2호, 3호)와 하건축면의 2기 쪽구들 주거지(1991-1호, 4호)가 모두 발해의 것임을 새롭게 밝히게 되었다. 상건축면의 쪽구들들은 모두 2줄 고래이며, 아궁이와 고래가 ‘ㄱ’자 모양으로 꺾이는 구조를 보이고, 모두 지상식 건물이다. 반면에 하건축면의 쪽구들은 2기 모두 1줄 고래이고, 아궁이와 고래는 ‘ㄱ’자 모양으로 꺾이는 구조를 보이나, 4호 주거지의 경우에는 수혈식인 것이 차이가 난다. 하지만 이 쪽구들들은 모두 여진의 쪽구들들과는 평면구조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하건축면에서 조사된 4호 주거지가 비록 지금은 발해의 이른 시기로 편년이 되지만, 방사성탄소연대와 적색의 모골와 그리고 길이에 비해 너비가 넓은 대상파수 등을 통해 본다면, 이 보다 더 이른 고구려시기에 축조되었을 가능성도 높다는 사실이다. Konstantinovka 1 settlement is situated near Konstantinovka village in Octyabr’sk area of Primorski Territory on a terrace of right bank of Razdol’naya river. Excavations in the site were carried by V.I.Boldin during four years, since 1987 to 1992. As a result of excavations two building horizons attributed to Middle Ag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Besides, a layer of Krounovka culture of the early Iron Age was found and objects of Churjen period and Korean immigrants were collected. Many objects are investigated, including 5 dwellings with ondol and road with ditches on its both sides. Ceramics, tiles, various bone and horn objects and metal things were found. V.I. Boldin attributed the upper building horizon to Churjen period, and the lower building horizon to Palhae time. However the author of the given work, after careful studying of stratigraphy of the settlement, artifacts, construction of ondols and absolute dates assumed that the upper building horizon concerns to late period of Palhae, and the lower building horizon to the early period of Palhae, and found out that all dwellings with ondol, that is 3 dwellings with ondol in upper horizon (dwelling № 1, № 2, №3) and 2 dwellings with ondol in lower horizon (dwelling № 1991-1, № 4), concern to Palhe. All ondols in the upper building horizon have two channels, there fire chamber and flue channels in the plan form L-type, all these dwellings are overground. And ondols of the lower building horizon have single channel, the fire chamber and flue channels in the plan form L-type, and one dwelling (№ 4) is earth-house. But, in general, lay-out of these 5 dwellings strongly differs from Churjen time ondols. The most interesting fact is that the dwelling № 4 that is dated now to early period of Palhe, apparently was constructed during Koguryo time, judging by radio carbon dates, red tiles with edges and tape vessel handles, which width is larger than length.

      • KCI등재

        3D프린팅 기술의 건축분야 활용 동향과 경제성에 관한 연구

        정석재(Jung, Suk-Jae),이태희(Lee, Tae-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에 대하여 고찰하고, 건축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활용 방안과 경제적인 관점에서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근접한 미래에 3D 프린팅 기술에 의해 생산, 유통 등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예상되고, 건축분야 역시 그 변화의 흐름을 맞을 것이다. 이에 3D 프린팅 기술의 건축에서 활용 방안을 모색함은 앞으로 3D 프린팅 기술로 인하여 바뀌는 건축환경에 대하여 대비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3D 프린팅 기술의 현황과 건축에서 사용되는 3D 프린팅 기술에 대하여 조사하고, 3D 프린팅 기술의 건축적 활용 방식과 현재 시공 방식을 경제적인 부분에서 비교 분석 하였다. 현재 건축분야에서의 3D 프린팅 활용기술은 아직 실용화 단계이나, 현재의 시공 방식과 경제성으로 비교해 보면, 전체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향후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러한 비용은 더욱 감소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서 앞으로 3D 프린팅 기술의 건축적 활용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 및 관심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new 3D printing techniques and how to use them in architecture, compare the 3D printing and current techniques, and analyze them economically. 3D printing technology is expected to result in considerable changes to the entire system, such a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sing this new technology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architecture is expected to follow this trend. This study examined how to take advantage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construction to prepare for a new architectural trend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d the 3D printing technology that is used in buildings and the current state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addition, the 3D printing technology and current technology was also compared, and analyzed economically. 3D printing technology is the step before the stage of practical use. On the other hand, the commercializ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cost compared to the current method. Furthermore, as the technology is developed in the future, the cost is expected to be reduced further. Therefore, the use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architecture is expected increase continually.

      • KCI등재

        발해 마을유적 소고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7 No.-

        방어시설이 없는 일반 마을유적은 평민들의 삶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발해의 일반 마을유적은 중국의 길림성과 흑룡강성 그리고 러시아 연해주 일대에 현재 약 319개소가 알려져 있다.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 혹은 수습조사를 통해 유구의 내용이 알려져 있는 19개 발해 마을유적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유적은 절대 다수가 크고 작은 강가의 평지에 입지하는데 이는 발해 평민들의 생업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을유적에서는 잡곡류, 콩류, 공예 농작물 등의 탄화곡물, 말, 소, 개, 돼지 등의 가축 뼈와 들짐승의 뼈, 물고기의 뼈, 담수와 해수의 조개껍질 등이 출토되었다. 이 사실은 발해 평민들이 농사와 가축사육에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사냥과 어로, 담수 연체동물의 채집에도 종사하였음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는 농기구, 어구, 사냥도구 등의 유물들도 뒷받침한다. 해수 조개껍질은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까지 해산물이 공급되었음을 말한다. ‘산삼파개’는 산삼을 판 심마니도 존재하였음을, 술 저장 토기는 평민들이 술도 빚어 마셨음을 말해 준다. 마을유적에서는 발해 평면들의 의복과 장식과 관련된 유물들도 출토된다. 마을유적은 면적에 따라 소형(5천~2만5천㎡), 중형(5만~15만㎡), 대형(28만~30만㎡)으로 구분된다. 대형유적은 진흥유적과 꼰스딴찌노브까 1유적 두 곳이다. 진흥유적은 목단강을 따라 나있던 ‘흑수말갈도’에, 꼰스딴찌노브까 1유적은 ‘솔빈도’에 각각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두 유적은 발해의 지방교통로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던 마을유적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다. 발해 솔빈부가 있던 수분하-라즈돌나야 강 주변에는 연해주 지역에만 135개의 발해유적이 알려져 있어 이 유적들을 서로 이어주던 그리고 발해의 중심지와 연해주 남부지역을 서로 이어주던 교통로의 존재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이 교통로는 ‘솔빈도’라 부르는 것이 가장 타당할 것이다. 대부분의 마을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는 구들의 존재는 발해시기에 구들이 이미 일반 평민들에게까지 대중화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마을유적에서 출토된 유물과 유구들은 발해의 평면들이 마을 내에서 가죽 가공, 제철 작업, 금속가공 작업, 토기 생산, 토제품 생산, 기와 생산 등과 같은 수공업 생산에도 종사하였을 보여 준다. 도로유구와 차관을 통해 볼 때에 마을에는 길이 나있었고 그 길을 따라 짐을 실은 수레가 다녔음도 알 수 있다. 신앙생활과 관련하여 마을유적에서 발견되는 토제 기마인물상은 발해 평민들 사이에 샤머니즘이 존재하였음을 보여 주며, 또한 마을유적 가까이에 사찰유적이 존재하는 것은 평민들 사이에도 불교가 어느 정도 보급되었음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문화층의 상태가 알려져 있는 유적들 중 56%가 발해 때에 새로이 개척된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발해시기에의 급증한 인구증가 및 식량 확보를 위한 새로운 땅의 개간활동이 매우 활발하였음을 반증한다. 또한 발해 때에 새로이 개척된 연해주 지역의 마을유적들에 모두 구들을 사용하였다는 것은 그 주민들의 구성에 고구려계가 적지 않았음을 증명할 것이다. Settlements without protective structures may best show the leif of ordinary people. There are totally about 319 settlements of Balhae in the territory of Heilongjiang and Jilin provinces of China and Primorye region of Russia. In this work 19 settlements in which the objects are known through excavation or rescue operations are studied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Balhae settlements in the vast majority of cases are located nearby large rivers and their tributaries, that is associated with life activities of their inhabitants. In settlements the charred grain crops, such as cereals, legumes and industrial crops, bones of domestic animals such as horses, cattle, dogs, pigs, wild animal bones, fish bones, shells of freshwater and marine mollusks are discovered. This fact suggests that the common people in Balhae engaged not only in farming and cattle breeding, but also in hunting, fishing and gathering shellfish. This is confirmed by agricultural implements, tools for fishing and hunting. Sea shells of marine mollusks indicate marine products were supplied in areas far from the sea. “Sansam poking-stick” says that “simmani” that is a collector of sansam(mountain ginseng) existed in Balhae period, and ceramic vessels with the remnants of alcohol show that ordinary people cooked ardent drinks and drank them. In settlements artifacts related to garment pieces and onraments are also found. The settlements are divided into small (5.000-25.000㎡), medium (50.000-150.000㎡) and large (280.000-300.000㎡). Large settlements are represented by two ones: Zhenxing and Konstantinovka 1. The first one is located in the area of “road Heuksu Malgal”, the second one near the “road Solbin” so we can say that these were two settlements which played the biggest role at the provincial roads in Balhae. The territory of the Suifen-Razdolnaya rivers-basin only in Primorye region contains 135 Balhae sites, so we can assume that there was a road that connected these sites to each other and the center of Balhae with the southern part of Primorye. It will be correct to call this road “Solbindo”, that is, “Solbin road”. The presence of kangs (gudyl) in most of the settlements shows that in Balhae time gudyl has already been distributed among ordinary people. In addition, the findings and the objects studied in the settlements say that their inhabitants were engaged in handicrafts such as leather processing, production of iron, treatment of metal parts, production of pottery and tiles. As judged by the roads and wheel hubs, we can assume that in the settlements there were roads, where wentcarts. As to the beliefs of ordinary people, clay horsemen from the settlements indicate the existence of shamanism; in addition, the presence of Buddhist temples in the vicinity of settlements suggests that Buddhism was to a certain degree diffused among ordinary people of Balhae. Finally, among the settlements in which cultural layers could be defined, 56% are exploited for the first time in Balhae period. This fact indicates that in Palhae period the population increased and new land for food production was actively exploited. In addition, the fact that in all the settlements in Primorye, first exploited in Balhae period gudyl were built, would indicate that among the inhabitnats were many people of Koguryo origin.

      • KCI등재
      • KCI등재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에 대해

        정석배(Jung Suk Bae)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4

        Among the Balhae(Bohai) fortresses in Northeast China and in Primorye-Priamurye, there are fortresses built during the Goguryeo period and built during the Balhae period and then repaired or re-built in the Liao-Jin period. In this regard, there were not a few cases when the fortresses, which have clear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Liao-Jin period, were represented as Balhae ones. Because of this, mistakes in systematization of the Balhae fortresses and in locating the centers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districts and counties of Balhae are inevitabl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n this paper we were studying the methods of building fortress walls of Balhae, on the basis of excavated Balhae fortress walls, because the author of the article considers that the basis for studying the Balhae fortresses is the identification of features of fortresses which were exactly built in Balhae period. For the present, there are known 18 Balhae fortresses which fortress walls excavations’ results have been published. In addition, 5 more Balhae fortresses were taken into account, where the profile of fortress walls was met during the field studies. The Balhae fortresses, whose profile of walls have been studied,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construction: built before Balhae then re-built in Balhae and after Balhae no used more(Sinelnikovo 1),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only during Balhae(Upper capital, Xigucheng, Baliancheng, Xingnonggucheng, Nikolaevka 1, Nikolaevka 2, Starorechenskoe, Kraskino),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mainly before the Jin period(Koksharovka 1, Okrainka, Smolnoye),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up to the Jin period(Sumicheng, Marianovka, Novogordeevka, Izvestkovaya Sopka), and built by Malgal tribes during Balhae (fortresses of the northeast coast of Primorye Jeegitovka, Krasnoe Ozero). The fortress walls built or re-built during Balhae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and structure are divided under: entirely earth, earth with stone facing, earth with stones, entirely stone, stone with earth filling inside, stone with earth under, wooden paling.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was studied, and we distinguished in it the prepared base, the fundamental part, the central-internal part and the side-protection walls. Fortress walls of the Liao-Jin period built mostly of earth. The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is typical for the Liao-Jin period, most of all built of the earth of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composition as the layered siruttok walls. But the Balhae walls in most cases are built of the earth of almost the similar or small different color and com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layers is not even, and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but are replaced by other layers in the middle. However, during Dongxia state of Jin period we can see walls of earth with stone facing, stone walls and walls of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where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very rarely, but their general character differs from the Balhae ones. In addition, although in this paper we do not touch on this, planimetric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also differ from the Liao-Jin ones. Consequently, up to now the fortresses of Liao-Jing have been studied as Balhae ones, so in the future a cautious study is needed. 중국 동북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아무르지역에 분포하는 발해의 성들 중에는 고구려시기에 축조된 것도 있고, 발해 때에 축조된 다음 이후 요·금대에 수축이나 증축을 거쳐 계속해서 사용된 것들도 있다. 그 결과 외견상 요·금대의 특징을 가진 성들도 여러 가지 이유로 발해의 성으로 소개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발해 성곽의 일반적인 특성 도출과 나아가 발해 부(府), 주(州), 현(縣)의 치소성 비정 등에서 오류가 없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가 된 발해성벽들을 중심으로 발해성벽의 축조방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을 논의의 중심에 둔 것은 발해 때에 쌓은 것이 분명한 성벽들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 발해성곽 연구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되고 그 내용이 보고된 발해성은 모두 18개소로 집계된다. 이 자료들 이외에도 답사를 통해 성벽 단면이 확인된 5개소의 발해성도 함께 참고하였다.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된 발해의 성들은 축조 시기 혹은 주체로 볼 때에 발해 이전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 증축되고 발해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시넬니꼬보 1산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만 사용된 것(상경성, 서고성, 팔련성, 흥농고성, 니꼴라예브까 1성, 니꼴라예브까 2성, 스따로레첸스꼬예 성, 끄라스끼노 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주로 금대 이전까지 사용된 것(꼭샤로브까 1성, 오끄라인까 성, 스몰노예 성), 발해 때에 초축되고 금대에도 사용된 것(소밀성, 마리야노브까 성, 노보고르제예브까 성, 이즈베스뜨꼬바야 소쁘까 성), 그리고 발해시기 말갈계통 부족들이 축조한 것(연해주 동북해안지역의 지기또브까 성과 끄라스노예 오제로성)으로 구분된다. 발해 때에 축조한 혹은 증축한, 다시 말해서 발해 때에 쌓은 성벽은 축조재료와 세부구성 양상에 따라 전체 토축성벽, 토축즙석성벽, 토축혼석성벽, 전체 석축성벽, 토심석축성벽, 하토석축성벽, 그리고 목책성벽으로 구분하였다. 그 외에도 발해의 성벽을 지반정지부, 기초부, 중심부, 측면보호벽으로 구분하여서도 검토해 보았다. 요·금대의 성벽은 대부분이 전체 토축성벽이다. 판축다짐은 요·금대 성벽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색깔과 성분의 토층을 거의 매번 되풀이하여 시루떡모양으로 정연하게 쌓았다. 이에 반해 발해의 판축다짐성벽은 대부분 비슷한 혹은 약간 차이가 나는 색깔과 성분의 토층들을 일정 높이 반복적으로 쌓아 올렸다는 점, 토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다는 점, 토층이 양단까지 계속 이어진 것이 아니라 중간에서 다른 토층들로 대체된다는 점 등이 차이를 보인다. 다만 금대 동하국 시기의 성벽 중에는 토축즙석성벽, 석축성벽, 토층이 중간에 다른 토층과 대체되는 판축다짐성벽도 예외적으로 확인되고는 있지만 전반적 특징이 발해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그 외에도 본고에서는 논의하지 않았지만 성의 평면적 특징과 성벽부속시설도 발해와 요·금대 성들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발해 성곽연구에 요·금대의 성들이 포함되곤 하였는데 앞으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Polymorphisms of P LA2G4A Gene Associated with C-reactive Protein in Korean Elder Male

        Suk-Yul Jung(정석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7 No.3

        PLA2G4A 유전자는 세포막 인지질을 가수분해하고 촉매제 역할을 하여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지질성 세포호르몬인 아라키돈산을 분해한다. 혈액에 존재하는 C-반응성 단백질은 염증, 감염, 외상 및 조직 괴사 등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rean Association Resource(KARE)에서 나온 839명 성인 남성에서 PLA2G4A 유전자에 있는 19 SNPs와 혈액에 있는 C-반응성 단백질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개의 SNPs(rs4651330, rs12720526 and rs16826049)가 C-반응성 단백질과 연관성이 상당히 높았다(p-values: 0.0015 ~ 0.025). 본 연구는 PLA2G4A 유전자가 미생물 감염과 관련될 수 있다는 중요한 추가적인 증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감염 반응과 관련된 C-반응성 단백질의 유전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LA2G4A catalyzes the hydrolysis of membrane phospholipids to release arachidonic acid, which is lipid-based cellular hormones that regulate inflammatory response. The C-reactive protein in blood can be influenced by inflammation, infection, trauma and tissue necrosis etc. We performed the association analysis between the C-reactive protein level in blood and the 19 SNPs in the PLA2G4A gene in the Korean Association Resource (KARE) cohort (839eldermales). The 3 SNPs (rs4651330, rs12720526 and rs16826049) in the PLA2G4A gene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reactive protein (p-values:0.0015~0.025).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in support of the finding that the PLA2G4A gene maybe related to infection of microbes. This study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genetic basis of C-reactive protein related to reaction of infection.

      • KCI등재

        서울시 심야버스 정책은 어떻게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는가?: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석호(Jung, Suk Ho),이정욱(Lee, Jung Wo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3

        서울시의 심야버스는 시민들의 심야이동 편의성을 제고하는 점에서 공공성은 인정되었으나, 심야시간대 대중교통을 자처해온 택시로 인해 도입에 어려움을 겪은 사업이다. 특히 심야버스가 도입된 2013년은 이명박 대통령이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대중교통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정부와 택시업계 간 갈등이 여느 때보다 첨예한 시기였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시는 어떻게 심야버스 정책을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었는가? 본 연구는 해당 사례를 분석함에 있어 M. Moore(1995)가 제시한 정치적 관리(Political Management)의 관점을 활용하였다. 정치적 관리는 정책관리자가 추구하는 정책 혁신 또는 정책 변동에 대해 외부환경으로부터 지지와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을 의미하는데, Moore에 의하면 이러한 활동은 크게 기업가적 옹호, 정책개발관리, 협상, 공적 숙의와 사회적 학습, 공공부문 마케팅 및 전략적 의사소통의 다섯 가지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심야버스 도입과 관련하여 정책관리자로서 서울시와 서울시장이 이러한 일련의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무엇보다도 타당성이 높은 심야버스 노선 발굴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과 시범사업 운영을 통한 정책개발관리 활동, 그리고 심야버스 도입에 택시요금 인상 및 택시서비스 개선 등 다른 이슈를 전략적으로 연계 활용한 협상 활동이 심야버스 도입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혁신으로서의 서울시 심야버스 도입 사례를 정치적 관리의 관점에서 분석한 본 연구는 전에 없던 변화와 혁신을 모색해야 하는 정책관리자들에게 성공적인 정책 개발 및 추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in late 2012 a plan to launch late-night bus services in an effort to address a severe shortage of night-time taxis. Although viewed by many as creating value for citizens, the City of Seoul had significant difficulty launching the services due to strong opposition from taxi operators, who considered themselves as the sole legitimate service provider of transportation during late night time. When the President Lee Myung-bak vetoed in early 2013 the revis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Law, which was to grant the status of public transportation to taxis, the taxi industry’s resistance to the city’s night-time bus plan became even stiffer. In such a situation, how could the City of Seoul start to provide the late-night bus services to its citizens? This study uses M. Moore’s (1995) political management perspective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is perspective prescribes that public managers, in order to gain legitimacy and support for their policy initiatives from the authorizing environment, should be able to successfully put into practice a set of managerial strategies: entrepreneurial advocacy; managing policy development; negotiation; public deliberation, social learning and leadership; and public-sector marketing and strategic communication. The case analysis reveals that the city government was effective overall in doing these political management activities. The city turned out to be particularly skillful in managing policy development and negotiation: it was able to develop optimal night-time bus routes by creatively using evidence from big data, as well as by running a series of pilot programs; and it was able to strike a deal with the taxi industry by strategically associating the introduction of late-night bus services with issues such as taxi fare increases and taxi service improvement. Facing strong opposition from influential interest groups, many cities and localities are currently having a hard time moving their policy initiative forward that they believe would create important value for their people. This case study provides policy management implications for such cities and loc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