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기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정문경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relarionship between cyberbullied experience and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For this, it carried out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cyberbullied experience scale, a measure of social competenc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social anxiety scale targeting to a total of 40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result, cyberbullied exper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adolescents' social anxiety. And it show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link between cyberbullied experience and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This suggests that adolescents who experience cyberbullied may decrease social competence and perceive low social support, and further exacerbate social anxiety.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총 408명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척도, 사회적 유능성 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척도, 사회불안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은 청소년의 사회불안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으며, 사회적 유능성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청소년의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의 유의미한 관계는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청소년들이 더 많은 사회불안을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사회적 유능성과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청소년들이 사회적 유능성이 저하되고 사회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각할 때 사회불안이 더 악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냉담-무정서(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문경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1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냉담-무정서(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냉담-무정서(CU)특질을 지닌 청 소년들이 문제행동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여 이들이 학교 및 가정에서 올바르 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고 문제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에 대한 구체적 인 지도방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된 조사는 서울시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3월2일~30일 까지 481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 조사한 결과 Cronbach‘s α 값이 .88로 높은 신 뢰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이 지각한 냉담-무정서(CU)특질은 문제행동과 정적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냉담-무정서(CU)특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 접 효과는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냉담-무정서(CU)특질 내 하위요소들 중 특히, 냉담성은 문제행동의 하위요소인 비행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allous-unemotional(CU)traits, and problem behavior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ediat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dolescents with high Callous-unemotional(CU)traits characteristics can identify the path leading to problem behavior, support them to adjust properly at school and at home, and use it as basic data to prepare specific guidance plans for teenagers who show problem behavior. 481 copi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3 to 20, 2020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ho are related to this researcher. As a result of the survey, Cronbach's α value was .88, showing high reliability. In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s, an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main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allous-unemotional(CU)trait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and in this process, the direct effects of Callous-unemotional(CU)traits on problem behaviors were relatively greater.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coldnes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delinquency, which is a sub-elements of problem behavior, especially among the sub-elements of Callous-unemotional(CU) traits.

      • KCI등재

        마인드풀니스,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정문경,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특성이 배우자지지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이라는 대인간변인을 통해 결혼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긍정적인 개인내적 변인인 마인드풀니스와 정서조절이 대인간 변인인 지각된 배우자지지를 매개로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통합하는 맥락모델을 구성하였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84쌍의 부부들에게 마인드풀니스 척도, 정서조절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결혼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마인드풀니스와 정서조절이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에 비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모형이 보다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부체계가 개인과 관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부부관계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특징과 부부간 상호작용 과정 등을 통합하여 연구해야 한다는 맥락모델의 타당함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having influence upon marital satisfaction with the contextual model of integrating intra-personal model and interpersonal model. Based on this, the contextual model was formed, which integr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indfulnes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this, it carried out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mindfulness scale, emotional regulation scale, perceived spousal support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 targeting totally 284 coup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as confirmed through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onsequence of verifying research model 1, which is partial mediation model, and research model 2, which is complete mediation model, as for whether the mindfulness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have indirect influence by having the perceived spousal support as medium, the more concise complete mediation model was confirmed to be more proper. This result proved the validity of contextual model as saying that a research on conjugal relations needs to be performed by integrating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arital interaction process. In conclusion,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