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오월항쟁과 여성의 증언 ― ‘밥’과 ‘총’의 서사를 중심으로 ―

        정경운 ( Jeong Kyung-w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호남학 Vol.- No.70

        이 연구는 2014년 6월, 오월여성들의 증언(『여성신문』 인터뷰)을 통해 나타난 2가지 문제의식에 착안해 진행되었다. 그 2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광주5·18항쟁에서 여성들이 다양한 투쟁활동을 전개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먹밥’으로만 상징화, 축소되고 있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 주장한다. 둘째로, 그들은 그동안 광주항쟁사를 논의하는 과정 중에 한 번도 등장한 적이 없던 ‘여성 시민군’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광주에서 ‘시민군’은 ‘총을 소지한 남성’의 이미지로 각인되어 왔었기 때문이다. 이 용어의 사용은 우리에게 ‘시민군’의 관습적 범주의 재설정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문제적 제안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주항쟁을 대표하고 있는 2개의 상징이미지(‘총을 든 남성 시민군’과 ‘주먹밥을 만드는 어머니’)가 항쟁 이후에 어떤 과정을 통해 구축되었는지를 밝혔다. 특히 ‘주먹밥’의 이미지 구축 과정은 남성중심적 시각이 개입되면서, 이후 오월여성들의 항쟁 활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축소시키는데 일조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여성 시민군’이란 용어 사용은, 그것이 ‘남성·총·시민군·항쟁지도부’ 중심으로 기억되고 있는 오월항쟁사에 대한 저항과 더불어 ‘시민군’의 범주 재구성이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것이다. 하지만, 이 용어는 오월여성들 또한 ‘항쟁의 중심’에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인정욕구의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항쟁의 시간을 같이 겪어냈던 ‘일반 시민’을 배제(‘주변’)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wo issues shown from the testimonies given by May Women in June 2014 (『The Women News』, Interview). The two issu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terview, it was claimed that it is wrong to symbolize and minimize the women in the May 18 Uprising in Gwangju only as ‘rice balls,’ even though they unfolded various struggles during the uprising. Second, the term ‘female citizen soldier’ is used in the interview which has never appeared during the discussions regarding the History of Uprising in Gwangju in the past. This is because ‘citizen soldier’ in Gwangju has been imprinted as an image of a man holding a gun until now. The use of this term can be considered as quite a problematic suggestion in the sense that it requires us to reset the conventional category of ‘citizen soldie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how these two symbolic images representing the Uprising in Gwangju (‘A male citizen soldier holding a gun’ and ‘A mother making rice balls’) have been established after the uprising.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a male-centered viewpoint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mage of ‘rice balls,’ contributing to the historic underestimation of the uprising activities conducted by May Women. In the meantime, the use of the term ‘female citizen soldier’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oses a problem of re-structuring the category of ‘citizen soldier’ along with the resistance in the History of Uprising in May remembered based on ‘male, gun, citizen soldier, and uprising leadership.’ However, this term also involves an issue of excluding citizens in general who shared the time of uprising together in the sense that this term is used in the context of desire for recognition proving that May Women were also at the center of uprising.

      • KCI등재후보

        "문화적 기억" 으로서의 운주사 예술적 -관습을 중심으로-

        정경운 ( Jeong Kyung W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4 호남학 Vol.0 No.55

        이 글은 운주사가 1980년 광주의 ‘오월’ 혹은 그 확장성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된 텍스트라는 점, 새로운 의미 창출이 최초로는 예술적 독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는 점, 그리고 반복된 예술 적 재독해 작업들이 방문자들로 하여금 광주 ‘오월’의 ‘문화적 기억’ 행위를 가능케 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예술적 독해의 관습들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운주사가 예술적 형상화의 소재로 다루어지기 이 전에 이미 지식인과 예술가들을 중심으로 한 초기 방문 집단들에 의 해 1980년의 ‘광주’를 기억해내고 재현해내는 ‘기억의 공간’으로서 인지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운주사가 ‘광주’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맥락에 기입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예 술적 관습의 기원으로서 황석영의 장길산 을 중심으로, 세 가지 측 면(미완의 서사와 유보된 미래, 불상/불탑의 이미지와 민중 이미지의 연결, 변혁 열망과 관련된 명칭의 의도적 선택 등)을 논의했다. 이 논의를 이끌어갔던 가설은 초기 방문 집단들에 의해 재해석된 운주사가 광주 오월에 대한 첫 번째 문화적 기억이자 예술로서의 매 ‘ 체’로 볼 수 있다는 것이었다. 만약 이 가설이 허용될 수 있다면, 이 후의 작가들에 의한 예술적 작업들은 ‘매체에 의한 매체’로서의 특징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메타 매체들의 예술적 관습은 곧 광주를 기억하는 사람들을 포함한 일부 대중적 방문 집단들 의 운주사 경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는 대중적 층위의 문화적 기억이 만들어지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 런 점에서 1980년대 이후 재해석된 운주사는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산출되고 있는 예술작품들은 광주를 상실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우리 들의 문화적 능력을 상기시키는 ‘기억의 예술’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rranged and compiled the artistic interpretational convention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is is a restructured report composed of new meanings of Unjusa temple based on Gwangju in May 1980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or its expandability, that creation of new meanings originated from the artistic interpretation, and that the repeated artisticreinterpretation allowed the temple visitors to remember the “cultural memory” of Gwangju in May 1980. First, this study discovered that Unjusa temple has already been recognized as a “space of memory” to remember and reenact the incidents in “Gwangju” in 1980 by the initial visitors groups including intellectuals and artists before the temple was used as a material of artistic embodiment, and reviewed the process that Unjusa temple was record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memory on “Gwangju”. It also discussed three aspects (incomplete narration and the future in abeyance, link between the images of the statute of the Buddha/pagoda and the public, intentional choice of the names of the Buddhist temple about the desire for reform), focusing on the book titled “Jang Gil San” by Hwang Seok Young as the origin of the artistic convention on the fact. The hypothesis, which led the discussion, was that Unjusa temple, which was reinterpreted by the initial visitors group, could be regarded as the first cultural memory and as an artistic “medium”. If this hypothesis is accepted, all artistic works by artists can have the characteristics as “a medium created by a medium”. Then, it is assumable that the artistic conventions of the meta-media could have had impacts on the experience of visiting Unjusa temple by some public visiting groups including those who remember Gwangju. This is also the point to create the cultural memories at the public level. In this regard, Unjusa temple that has been reinterpreted since the 1980s and the temple-based artworks can be considered as “arts of memory” that constantly reminds us of our cultural capabilities not to lose or forget Gwangju.

      • KCI등재

        이주여성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정경운(Jeong Kyung-wo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1

        본 논문은 1980년대 이후 전 지구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이주의 여성화’에 한국이 이입국의 위치에 있음을 전제, 한국사회에서 사회문화적 주체로 자신을 새롭게 구성해나가야 하는 과제에 직면한 이주여성의 문제를 다룬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부터 5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서울?경기, 광주ㆍ전남, 경상 지역에서 행해진 40명(국제결혼 28명, 이주여성노동자 12명)의 심층인터뷰를 근거로 한다. 먼저 한국의 이주여성들은 모국의 경제적 조건을 극복하기 위해 이주를 선택했다는 점에서 경제적 존재로서 자신을 위치지은 상태에서 입국하지만 일상 속에서 두 문화사이의 충돌을 통해 사회문화적 존재로서의 자아를 인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주여성은 사회문화적 존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해야 한다는 과제를 떠안게 되는데, 주체로 서기 위한 여성들의 노력은 몇 가지 장애에 의해 어려움에 직면한다. 국제결혼 여성의 경우, 주로 생활 문화와 관련된 공적 시스템이 부족한 것을 사적 네트워크를 통해 해결하기 때문에 사회문화적 수준 높은 욕구들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들을 빈곤한 나라에서 온 여성이라는 타자화의 시선에 의해 만들어진 위계성을 내면화함으로써 스스로 주체의식을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주노동 여성의 경우 동족끼리의 게토화나 시간 부족이라는 노동조건에 의해 한국 문화와 만나는 기회가 현저히 차단되고 있으며, 문제 해결을 위해 교회나 민간단체 같은 사적 시스템에 연계됨으로써 스스로 한국 문화의 접속을 시도하려는 노력을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한국 내에서 국제결혼 여성들은 한국 문화에 적극적으로 동화된 채가정주부와 자녀교육의 주체라는 의식과 위계화에 따른 약화된 존재감 사이에 위치하는 이중적 정체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주노동 여성들은 모국 문화에 대한 강한 자부심이나 주체적 의지는 상대적으로 강하지만 그것이 한국 문화와 단절된 조건에서 파생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소 추상적이라 할 수 있다. Korea now serves as the receiving country in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which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1980s. Based on this presupposi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difficulties migrant women are faced with to construct themselves newly as sociocultural subjects in Korean socie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with 40 migrants (28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and 12 migratory women) in Seoul, Kyonggi Province, Kwangju Metropolitan City, Chonnam Province, Kyeongsang Province over two months of April and May 2006. First, because the bad economy of migratory women's countries forced them into coming to Korea, they come to be conscious of their identity as a sociocultural being. In the process, migratory women take the responsibility for reconstructing their identities as sociocultural beings, facing several obstacles in setting up independent identities. Internationally-married women do not meet their sociocultural desires, because they make up for deficient public system related with life culture. They also tend to weaken their independency by internalizing the hierarchy caused by the recognition that they are aliens. They are also inclined not to contact Korean cultures by themselves, for church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involved in solving their difficulties. Migratory women don't have enough chances to contact Korean cultures, because they are just in the same race ghetto and are short of time. As a result, internationally-married women in Korea show dual identities, because of both the awareness of being child-bearers and housewives and the weakened sense of their being due to the hierarchy. They also have relatively strong pride on their native culture or on independent intention, but such a awareness pride can be said to be abstract because it is alienated from Korean cultures.

      • KCI등재

        광주시민의 문화향유를 위한 정책 방향 연구 ― ‘2022광주시민문화향유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정경운 ( Jeong Kyung-w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호남학 Vol.- No.74

        본 연구는 2022년의 ‘광주시민문화향유 실태조사’를 토대로, 광주시의 시민문화향유 정책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광주문화지표조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광주시민의 문화향유 방식의 변화를 읽어냈다. 더불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2022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와의 비교를 통해서는, 광주의 지표가 가진 지역적 특성을 읽어내고자 했다. 이를 통해 2022년 광주시민의 문화향유 변화 양상을 7가지로 도출했다. 수동적 ‘관람’보다는 적극적 참여 활동으로 이동, 동호회 활동의 상승, ‘SNS’를 통한 문화정보 습득의 강세, 무료관람 비율의 증가, 주말 낮시간의 문화활동 선호, 문화향유 주체로서 ‘5060세대’의 본격적 등장, ‘생활공예’의 급부상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문화적 ‘관심도’에 따른 그룹별 특성(일반시민집단ㆍ문화관심집단), 시니어집단의 양분화에 따른 특성(뉴시니어ㆍ시니어), 문화향유방식 변화의 집단별ㆍ세대별 특성, 문화향유와 예술생태계 조성의 상관성 등을 고려해 광주시의 문화향유 정책 방향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cultural enjoyment policy of Gwangju City based on the 2022 ‘Gwangju Citizen Cultural Enjoyment Survey.’ To this end, the study observed the changes in the cultural enjoyment of Gwangju citizen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Gwangju Cultural Index Survey’ conducted on a pilot basis in 2016.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wangju’s indexes through comparison with the ‘2022 Na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that was conducted for all citizens. Through this, seven types of changes were derived with regard to Gwangju citizens’ cultural enjoyment in 2022: Transfer from passive ‘viewing’ to active participation, rise in club activities, strength in acquiring cultural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channels,’ increase in free admission rate, preference for daytime cultural activities on weekends, full-fledged emergence of the ‘50s and 60s’ generation as the subject of cultural enjoyment, rapid rise of ‘living craft.’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for Gwangju City’s cultural enjoyment polic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cultural ‘interest’ (general citizen group/cultural interest group),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ichotomy of the senior group (new senior/senior),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generation of changes in cultural enjoyment method, and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enjoyment and creation of art ecosystem.

      •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호남 어문·민속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

        정경운 ( Kyung Woon J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4

        이 논문은 1963년 전남대 호남학연구원이 설립된 이래, 지난 50년간 발행해온 학술지와 연구총서를 중심으로, 어문학과 민속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각 분야별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연구 경향들을 중심으로,그 경향들이 갖고 있는 연구사적 의미들을 도출한 뒤,각 분야와 관련하여 향후 연구원의 연구 방향 및 과제를 파악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각 분야의 연구 성과들은 단순히 지역 내에서만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각 분야별 연구사에서도 중요한 기점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 중에서도 특히,고전문학 분야에서 조선조 호남시단의 전체적인 지도를 완성시킨 것,언어학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지명연구방법론을 제시하고 전남방언의 어휘별 지리적 분포도를 그려나간 것,그리고 지난 50여 년 간 전남의 민속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ㆍ정리ㆍ해석함으로써 남도민속학을 정립시킨 것이 돋보인다.이 성과들은 지역학 차원은 물론 각 학문분야에서도 위의 내용들을 언급하지 않고서는 연구사를 논의하지 못할 만큼,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중요한 성과물들이다. 또한 이 성과물들이 산출되는 과정에서 보여준, 호남학연구원과 각분야 별 연구자들의 학문적 연대 관계는 서로를 발전시켜 온 힘 이자미래 호남학을 위한 기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지금까지 호남학연구가 1세대 연구자들의 영향 하에 놓여있음을 상기할 때, 호남학연구원이 미래 지역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언어와 문법을 찾아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도 사실이다. This study organized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language and folk studies of the Institute of Honam Studies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 series published for the past 50 years since the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1963.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uture directions and tasks of the research on each area after drawing the historical meanings focusing on the research trend depending on the tim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each area were identified be valuable as it not only holds significance simply within the region but also makes important points in research history of each area. In particular, it is outstanding that the research completed the entire map of the Honam poetrical circle in the Joseon Dynasty in classical literature and drew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chart by vocabulary of the Jeonnam dialect after suggesting the methodology of place name research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language studies. In addition, the research defined the Namdo Folk Studies by continuing to collect, organize and interpret the folk data of the Jeonnam region for the past 50 years. Such achievements are highly important results with appreciated values as they are always mentioned during the discussion over the research history in each academic field not to mention the regional studies. In addi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academic connection between the Institute of Honam Studies and the researchers in each field demonstrated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achievements was the power to develop both sides and the future foundation for the Honam studies. However, on the other side, it is true that the Institute of Honam studies still has a challenge to find new languages and grammars for future regional researches, given that the Honam studies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일제강점기 광주읍 “궁민(窮民)” 연구 -천정(泉町) 궁민가옥 철거사건을 중심으로-

        정경운 ( Kyung Woon J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3

        이 논문은 1932년 광주읍 천정(泉町) 일대에 형성되어 있던 빈민들의 집단거주부락 철거와 관련된, “궁민가옥 철거” 사건을 살펴본 것이다. 이 철거사건은 1932년 7월 말에 시작, 지역유지들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조직된 “광주읍가옥철거구 궁민구제연구회”와 읍당국과의 교섭과정, 같은 해 12월 빈민들이 임정(林町)에 집단이주지를 마련해 이주하기까지 4개월에 걸쳐 진행된 사건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광주천을 중심으로 도시빈민들의 집단거주지가 형성된 것은 1920년대 후반부터이다. 광주는 1920년대 들어와 근대 도시화를 향한 “대광주건설”을 모토로 삼고, 1925년에 “시가미화정화”를 위한 “면(面) 3대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이중 “하천개수”에 해당하는 하천정비사업은 1926년부터 1928년까지 3년에 걸쳐 진행된다. 이로써 광주천 주변에는 주택지와 여러 가지 시설이 입주할 넓은 택지가 생기게 되는데, 바로 이 택지에 1920년대 후반부터 “궁민(窮民)” 들이 모여들기 시작해 집단거주부락을 형성한 것이다. 이 하천부지는 광주읍(邑) 소유지였기 때문에, 광주읍 당국에서는 불법 점유로 판단, 1932년에 강제 철거에 들어가는데, 그 첫 실행 장소가 바로 천정 일대였다. 당시 천정 일대 240여 호 가옥 중, 198채가 철거당했으며, 해당 궁민은 869명이었다. 아무런 대책 없이 쫓겨난 이들을 위해 지역유지들을 중심으로 “궁민구제연구회”가 조직되어 읍 당국과 교섭을 벌여나간다. 그러나 4개월에 걸쳐 진행된 교섭은 읍 당국의 무성의한 태도로 인해 교착상태에 빠진다. 결국 이 사건은 총독과의 면담을 통해 얻어낸 임정(林町) 부지로 그해 12월에 겨우 30여 호가 이주하는 결과로 끝나고 만다. 이 과정은 일제 행정당국의 빈민에 대한 무대 책, 임시적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여러 가지 숙제를 남기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자발적 조직의 구성과 지난한 투쟁, 시민의 관심과 원조 등 광주가 시민사회의 기반을 마련한 기회이기도 했다. 그리고 4년 후인, 1936년 금정, 양림정 일대의 빈민부락 철거문제가 다시 지역사회 주요 안건으로 떠올랐을 때, 행정당국으로 하여금 도시빈민 문제를 정책적 측면에서 계획적으로 접근(“학강정 갱생지구”)하는 단초를 제공해주게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where the houses of Gungmin (the poor) were demolished, which is related to the demolition of the residential community of the poor in the area of Cheonjeong in Gwangju-eup in 1932. It was the late 1920 when the residential community of the urban poor started to be formed around the Gwangju Strea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wangju pursued “Great Gwangju Construction” as a motto towards the modernized urbanization in the 1920s and established “3 Plans for Myeon (township)” for street beautification in 1925. Among the three plans,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from 1926 to 1928, creating a wide housing site for houses and various facilities near the stream. It was the site where the Gungmins started to gather and establish their community from the late 1920s. Since the riverside site was owned by Gwangju-eup, the town authority determined the residential community to be an illegal occupation and demolished it in 1932 starting from the Cheonjeong area. At that time, 198 out of 240 houses in the region were demolished and 869 Gungmins were evicted. For those evicted without any preparation, the “Gungmin Aid Research Society” was established mainly by the local leaders of the town to negotiate with the town authority. However, the 4 month negotiation reached a stalemate due to the sloppy attitude of the authority. The case finally ended with the relocation of only 30 households to the housing site in Imjeong that was earned through the talks with the governor in December of the year. This left many works to be done regarding the inaction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oor and only temporary solutions. On the other hand, it offered Gwangju an opportunity to prepare for the foundation for the civil society such as forming the autonomous local community group to respond to the social issue, going through prolonged struggles, and getting attention and assistance from the people. Also after 4 years in 1936 when the demolition of the poor village in Geumjeong and Yanglimjeong emerged as a major issue in the local community, it provided a key to the strategic access to the issue of urban poor from a political point of view (Rehabilitation district in Hakgangjeong).

      • KCI등재

        호남 역사문화 원형 개발ㆍ활용 현황 연구

        정경운(Jeong Kyung Woon)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1

        국내 지자체 실시 이후 지방 정부는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지역 정체성을 토대로 그들의 통합과 연대의식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이중의 과제를 안게 된다.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은 두 과제를 동시에 풀 수 있는 해결 방안으로 급속히 부상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기 시작한다. 이 논문은 위와 같은 배경 하에 호남의 역사문화 자원이 개발ㆍ활용되는 현황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현재 이 지역 내 역사문화자원의 개발과 활용은 세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역사문화자원의 원천 소스 개발 방식,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 전략으로서의 축제나 역사문화 공간(space)의 개발 방식, 그리고 전국 온오프라인 시장을 겨냥해 지역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상품 개발 방식이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무엇보다 지역민이라는 실질적 주체가 배제된 채 관 주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나친 관주도 방식은 오히려 지역민들을 대상화시켜 결국 지역의 통합과 연대의식을 무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내 역사문화 자원 활용의 애초 목적을 훼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지역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선 문화상품 개발은 현재로선 대부분 지역 외 주체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지역은 간접적 효과만 누리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지역이 어떻게 개발주체로 나서야 하는가에 대한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historic-cultural resources of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and an alternative to their problems. Today the historic-cultural resources are developed and utilized in three ways. One is to develop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ources on the basis of digital: another is to develop either festivals or historic-cultural spaces as a place-marketing strategy; and the other is to develop cultural goods which are aimed at nationwide on-line and off-line markets beyond the regional limit. The following alternative is proposed to get over the limitations of current developmental processes. First. historic-cultural resources should be uniquely recognized. Among other things, historic-cultural resources should be dealt with upon academically exhaustive documentation, for they are of educational goal. In particular, this form of resources ar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so the hasty and clumsy combination of resources will lead to a fearful damage to regional identity as well as a twist of history. Second, government-controlled development should be avoided, aiming at development guided by local main groups on their own ways. Too much government control can bring about objectified residents, which will lead to the disperse of regional integration and solidarity. Residents' autonomous self-organizational activities should go on without stopp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historic-cultural resources. When this creates life culture, the space will naturally lead to placeness.

      • KCI등재

        근대 문인 원고료의 사회학

        정경운 ( Kyung Woon Je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1

        이 글은 근대자본주의 시작과 더불어 작가로서의 ``직업적 자각``을 해나가야 했던 근대 문인들의 경험을 ``원고료``라는 창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당시 문인들은 문학시장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예술``과 ``생활``이 만들어내는 긴장 관계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론적 위치를 찾아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그 긴장 관계의 핵심에는 ``원고료``가 놓여 있었다. 생계를 유지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원고료는 작가들로 하여금 ``예술이냐 빵이냐``라는 존재론적 선택의 기로에 서게 만들었다. 결국 작가들은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받기 위해 ``조선문예가협회``, ``조선문필가협회``라는 문인 조직을 통해 원고료 제도화를 위한 집단적 대응에 돌입한다. 이 대응은 문인들의 사상적 편차에 따라 ``문단진흥책`` 혹은 ``부르조아 저널리즘에 대한경제투쟁``이라는 이름으로 호명되면서 진행된다. 원고료를 둘러싼 이 논쟁은, 근대자본주의사회에서 문학이 문학시장에 유통되는 상품이라는 인식을 작가들이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환경이 만들어내는 예술과 생활 사이의 긴장 관계 속에서 작가로서의 자기 위치를 찾아나 갔던 조선 문인들의 내적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written, with the view of a ``manuscript,`` about the experiences of modern literary writers who had to perform ``professional awareness`` with the combination of the start of modern capitalism. It is seen that literary writers of the past (during the days in which the literary market was growing), were able to search and show their existence and fame through the tense construction procedure of ``Arts`` and ``Life.`` At the base of that tense construction procedure, was the ``manuscript.`` The manuscript, woefully insufficient to support a living, made literary writers stand between ``Arts of bread,`` which served as their existence decision stances. Eventually, in order to get the support of their lives at least, they strive hard by forming literary organizations and make collective response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manuscript. These efforts made, depending on individual literary writers`` ideological deviations, were carried out and given names such as the ``measures of the promotion of literature`` or ``Economic struggle for bourgeois journalism.`` Controversies arising concerning the manuscripts are due to the fact that literary writers recognized the fact that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recognized literature as a circulating and temporal product in the literary market and the fact that the resulting environment (tensed relation between arts and life) showed the inner view of Chosun literary writers who struggled to search and show their existence as a wri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