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과별 차별화된 플립드 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이경화(Lee Kyung hwa),전주성(Jun Ju Sung),유기웅(Ryu Ki 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7 Global Creative Leader Vol.7 No.1

        이 연구는 미래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이며 융합적 인재를 대학수업을 통해 육성하기 위해서는 수업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플립드 러닝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 수업은 전공과 교과목 특성에 따라 일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플립드 러닝을 교수자의 개입정도와 수업방식에 따라 세 가지로 차별화하여 구성하였으며, 2016년 2학기에 S대학교의 교육학 관련 수업 세 교과목에 실험적으로 적용하였다. 실험 전과 후에 각 교과목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학업에서의 성취목표를 기반으로 하여 제작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은 주 2회로 각 75분씩 실시하였다. 실험 후 세 가지 형식의 플립드러닝은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적인지, 세 집단 간 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수업만족도에 있어서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있는 지 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사전학습을 실시한 집단 1, 2에서 수업효과가 더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교실수업에서 교수자가 좀 더 적절히 개입한 집단1이 퍼실리테이터 역할만 한 집단 2보다 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텍스트를 사전에 주었고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 집단 3의 수업만족도는 가장 높게 나왔다. 따라서 대학에서 차별적으로 적용된 플립드 러닝이 각 집단마다 학업성취 혹은 수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에서의 수업개선을 위해서 의미 있는 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ipping learning,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order to develop self-directed and convergent talents that can adapt to future society through university classes. Since university classes can not be uniformly organ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and the subject, the researchers designed three types of flipping learning and applied it to the three education-related subjects of S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chievement goals to be achieved in each subject before and after the quasi-experiment, and two 75-minute classes were held each week.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more class effect in groups 1 and 2, which performed online prior learning, and group 1, in which the teacher more appropriately intervened in the classroom,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2 only in the role of facilitator. However, the satisfaction level of group 3 was highest when text was given prior and seminar typ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iated flipping learning in college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r satisfaction in each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meaningful data for improving the class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육요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 보완 연구

        오승국(Oh Seung Kuk),전주성(Jun Ju Sung),박용호(Park Yong 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need analysis methods used for developing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lilfelong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fields. Also, this study will suggest more appropriate needs analysis method for future research. For those purpose, this study used data from 308 surveys which were gathered from line managers of 38 national universities. The survey was about competency model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suggest the new method using educational needs question items adding to the methods using t-test, Borich needs analysi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Basic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priority comes from Borich analysis method would not the order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이 연구의 목적은 HRD나 평생교육, 형식교육 영역에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용되는 교육요구분석 방법들을 개관하고 보다 타당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국내 38개 국립대의 6급 계장급을 대상으로 교직원 역량모델 및 교육요구도 파악을 위해 수행된 설문 연구자료 309개를 이용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자료의 분석을 통해 조대연(2009)이 제안하는 방법인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에 대한 t 검정의 실시, Borich 요구도를 통한 순위 결정,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한 보완에 더해 교육필요성을 묻는 설문을 추가하여 이 수치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데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기본적으로 연구자가 제안하는 방법이 의미하는 바는 Borich의 요구도 분석방법을 통해 결정된 우선순위 항목이 반드시 교육적 처방에 의해 해결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of Office Workers

        홍선주(Hong Sun Ju),전주성(Jun Ju S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6 Global Creative Leader Vol.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과 조직변화몰입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6년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약 2주 동안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28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 간 관계분석을 위해 단순상관분석과 정준상관분석을,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학습민첩성과 조직변화몰입 변인의 평균차이 분석을 위해 두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직 근로자가 행동변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과감하게 도전하고 학습할수록, 조직 내의 변화가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나이와 근속연수, 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학습민첩성 및 조직변화몰입 수준 역시 높았다. 연구의 시사점 역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for white-collar workers. In this study, a total of 285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ffline surveys for about two weeks from 1 November to 15,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and by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to examine the mean difference in the two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he office worker boldly challenge and learn without fear of failure to behave, the more they believe that change within the organization is worthwhile. Second, as the age, length of service, and staff level of the study subjects increased, their learning agility and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levels were also high. Som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lso presented.

      • KCI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이성심(Lee, Sungsim),전주성(Ju Sung Ju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과 노후준비도,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과 노후준비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어떤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총 212명의 만 50~69세의 신중년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료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Model 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 노후준비도,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신중년의 평생학습역량과 노후준비도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신중년의 노후준비도를 높이기 위해 신중년을 위해 평생학습역량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new middle aged 50 to 69 years old living in Korea and the data of the 212 people were analyz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of Hayes (2013).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Second, psychological empowermen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new middle aged.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to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to increase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for the new middle aged in order to increase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 KCI등재후보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예측변인의 영향 검증

        김나리(Na Ri Kim),전주성(Ju Sung Jun)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4 한국교육논총 Vol.45 No.1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 B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282명의 전문대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은 ‘진로적응 중하집단’, ‘진로적응 상집단’, ‘진로적응 보통집단’, ‘진로적응 하집단’, ‘진로적응 중상집단’ 등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 간에는 계획된 우연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의 하위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 유형 구분에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관여행동이 영향을 미쳤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문대생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학교 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이를 보안할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career adaptability profiles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predictor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type classification of career adaptabilit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82 students enrolled in Junior College B in Chungcheo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oll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ypes of career adaptability of junior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daptability moderate-low group, adaptability high group, adaptability moderate group, adaptability low group, and adaptability moderate-high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variables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among the junior colleg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types. Thir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engagement influenced junior college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classification. Additionally, sever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교육전문직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 : 자아정체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강연흥(Yeon Heung Kang),전주성(Ju Sung Ju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내부자 관점에서 교육지원청에서 교육전문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장학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전문직으로 산다는 것의 의미’를 이들의 자아정체성 변화에 초점을 두고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일반적 질적연구방법론이 이용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여섯 명의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중등학교 출신 장학사들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연구자료의 분석은 질적내용분석이 이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학사가 되는 과정에서 시작되는 변화는 낯선 업무와의 맞닥뜨림과 새로운 환경에의 적응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변화 등을 통해 이전과는 달라진 새로운 자아를 발견하게 된다. 둘째, 교육전문직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변화된 환경에도 불구하고 장학지도성에 대한 깊은 관심을 유지하였다. 셋째, 교사로서의 자아정체성은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통해 경험한 사회적 정체성과 결합하여 새로운 자아 정체성으로 확장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iving as a school supervisor focusing on his/her identity transition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secondary school supervisors who work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data were mainly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wi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nsition of becoming a school supervisor began with facing unfamiliar work and adapting to new circumstance. Through this transition, they would discover their new identities. Second, despite the changed environment, they maintained a deep interest in the identity as a school supervisor, not as an administrator. Finally, the identity stabilized as a school supervisor gradually experi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community-oriented school supervisor culture and formed a social identity.

      • KCI등재

        스위스 직업교육훈련 체제의 이해: 도제훈련을 중심으로

        조형훈(Hyung Hoon Cho),전주성(Ju Sung Jun) 한국성인교육학회 201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 직업교육훈련 체제 중 도제훈련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스위스의 직업교육훈련 체제의 운영방식과 현황을 조사했다. 스위스의 직업교육훈련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VET(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는 일 기반 학습의 이원화 방식으로 직업학교와 현장에서 체계적인 교육이 진행된다. 기업 중심의 운영 및 도제훈련의 운영 주체인 연방, 주, 전문기관이 명확한 역할 구분과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우수 교사의 양성과 철저한 질, 사회적 전통과 신뢰를 기반으로 도제훈련을 운영해왔다. 스위스 직업교육제도인 VET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일학습병행제 중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의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 구체적이고 명확한 법적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에 있어서 기업 역할의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교육 과정 개발과 운영에 있어 유연성과 민첩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담당 교사에 대한 적합한 교사 양성 과정 및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에 대한 인식전환과 사회적 신뢰를 형성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f Switzerland, specially apprenticeship training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operations and statu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Switzerland. VET(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is the majority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Switzerland, is a systematic education in vocational schools and on the spot, as a dualization of work-based learning. The federal, state, and specialized agencies, which are the operators of the apprenticeship training, were establishing clear division of roles and cooperation system. Switzerland has conducted apprenticeship training based on the training of outstanding teachers, excellent quality, social tradition and trust. The Swis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industry-academic 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of related institutes. Second, specific and clear legal amendments are necessary for its oper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role of the corporation. Fourth, flexibility and agility are needed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per teacher training and management system. Finally, recognition transition and social trust of industry-academic 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should be formed.

      • KCI등재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2007-2016년 발표된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신영순 ( Shin Yung Sun ),고근영 ( Ko Geun Yeong ),전주성 ( Jun Ju S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 동안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학교 진로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발표된 초등학교 진로교육 관련 논문 108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와 백분율에 의한 기술적 통계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학술지 게재 논문 수는 2010년을 기점으로 증가하다가, 2015년부터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학술지별로 보면 『실과교육연구』에 편중되어 게재되어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총 8개 영역 중에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28.7%)과 진로발달 행동(26.9%) 영역이 가장 많았고, 검사도구의 개발 및 평가, 진로이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은 대부분 학생에 대한 연구(85.0%)였고, 교사와 학부모 대상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66.4%)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실천연구, 질적 연구, 이론연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술지 논문의 초록에 제시된 주제어는`진로교육`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이어서 진로성숙, 진로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 진로발달, 진로인식, 초등교육, 영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의 주제어 중 연결 중심성이 높은 주제어 39개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제어 간의 관련성과 연구주제의 최근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진로교육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the last 10 years and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purpose, 108 research papers on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from 2007 to 2016 were reviewed.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year increased from 2010, then declined from 2015,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journals. Second,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28.7%) and career development behavior (26.9%)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s. Third,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85.0%), and teachers and parents were very poorly studied. Fourth, the research method trend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proportion was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66.4%), followed by practic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theoretical research. Fifth, career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s presented in the abstract of the paper, followed by career maturity, career education progr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reer recognition, elementary education and gifted.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texts extracted from 39 keywords with high connection centric among the research keywords, the relevance of the keywords and recent trend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foun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평가모델의 타당성 검증 : Kirkpatrick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모델의 응용

        전주성,김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적 성격의 평생교육 영역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제공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하나의 평가모델 제시와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각 평가단계 간에 위계성 및 정적 상관관계를 가정한 Kirkpatrick(1959) 평가모델을 기초로 하여 경력계획 및 자기효능감 변인을 더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제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평생교육진흥원에서 추진한 2009년도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활성화사업 학습비지원 수혜자들로 전국 35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수강자 606명이다.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를 위하여 평가 요소들 간의 구조적 관계에 터한 프로그램 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제안된 평가모델의 구성요소 간 구조적 관계분석 결과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판단하는 최종 준거를 ‘활용’으로 볼 때,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 개인의 경력계획, 자기효능감 수준, 그리고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수준 등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 educational/training evaluation model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Based on Kirkpatrick’s (1959) training evaluation model, the researchers suggested an educational/training evaluation model consisting of the five factors of reaction, learning, behavior, career planning, and self-efficac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606 adult learner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s provided by 35 centers for continuing education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in 2009.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ipients of tuition fee support provided for disadvantaged people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that year.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has drawn two significant conclusions: First, an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ey evaluation factor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training programs in the area of public lifelong education is needed. Second, setting “behavior” as the final criterion to judg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training program, the factors of reaction, learning, career planning, and self-efficacy were critical and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