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국제경영 : 중국소비자의 한국드라마 시청이 한국제품 이미지에 미치는 경로에 대한 연구

        전종근 ( Jong Kun Jun ),장소우 ( Xiao Yu Zhang ) 국제지역학회 2012 국제지역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중국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한국TV드라마 시청이 휴대폰, 냉장고, 에어컨, 자동차 등 네 가지 한국 제품에 대한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경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TV 드라마 시청에 따른 노출정도와 드라마 만족도가 국가이미지상승을 통한 한국제품이미지 상승이라는 후광효과경로 그리고 드라마 노출에 따른 제품친숙도 상승을 통한 한국제품이미지 상승이라는 단순노출효과 경로 등 이원화된 경로를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후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드라마만족도는 국가이미지 상승을 통해 제품이미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제품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드라마 만족도는 제품 친숙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결과적으로 제품이미지를 강화하였다. 한국드라마 시청에 따른 후광효과와 노출효과는 제품별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과 자동차 등 드라마에서 노출빈도와 연기 관련성이 높은 제품에서 냉장고, 에어컨 등 그렇지 않은 제품보다 후광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고 노출효과는 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 및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processes of watching Korean TV dramas on the images of four Korean products including cell phones, refrigerators, air-conditioners, and automobiles among Chinese consumers. The research model describes one impact process as halo effects, in which consumer satisfactions on the drama improves the country image of Korea and then the good product image follows. Anther impact process is described as mere exposure effects, in which the exposure to the drama itself increases the familiarity on Korean products featured in the dramas as product placement and in turn, the familarity improves the product image. The results report that only halo effects were significant and the satisfactions on the TV dramas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impact on the product images. The halo effects and the mere exposure effects varied among the four products.

      • KCI등재

        점포충성도 결정요인에 대한 온라인-오프라인 비교

        전종근(Jong-Kun Jun),이태민(Thae-Min Lee) 한국유통학회 2004 流通硏究 Vol.9 No.3

        본 연구는 점포이미지 속성들과 점포충성도의 관계가 온라인점포와 오프라인점포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각각 4개씩 총 여덟 개의 점포에 대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 결과 오프라인 점포에서는 점포이미지 속성가운데 구색이 점포충성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인데 비해, 온라인 점포에서는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점포충성도 제고를 위해 온라인점포와 오프라인점포가 각각 주력해야할 부분이 어디인지 보다 분명히 드러났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s and store loyalty is moderated by store-type (online vs. offline). Data was collected from 341 online panel survey on four online stores and four offline stores. Regression analysis with interaction terms demonstrates that assortment and service among image attributes interact with store-type. Specifically, assortment is more important for offline store loyalty where as service is more important for online store loyalty. The authors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offe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인터넷쇼핑에서 구매이후의 평가속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종근(Jong Kun Jun),홍성태(Seong Tae Hong) 한국경영학회 2003 經營學硏究 Vol.3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net shoppers` post-purchase evaluations on repurchase intentions. The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delivery service whereas other retailer attributes such as online service, shopping experience, reputation, product and information value, and shopping risk are also considered. The relations among attributes - satisfaction - loyalty of online retail shops are analysed by comparing direct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ttributes on repurchase intention against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Among six attributes, only the delivery service i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repurchase intention, while other attributes influences indirectly on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satisfaction. Results suggest that store attributes management for customer acquisi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management for customer retention. The authors discuss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the results and offer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 특성이 충동구매와 후회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종근 ( Jong Kun Jun ),이태민 ( Thae Min Lee ),박철 ( Cheol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1

        스마트 폰 사용이 활성화 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의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은 기존 쇼핑에 비해 편리하고, 즉각적으로 반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소비자들이 급속히 수용하고 있는 구매행위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간편하고 빠른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 환경은 소비자의 충동구매를 더 유발할 수 있고, 이는 구매 후회로 이어져 소비자의 복지를 하락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편의성, 반응용이성이라는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 장점요인과 통제성이라는 제약요인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과 모바일 충동구매가 구매후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용편이성, 반응성의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 특성이 충동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는 후회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지지되었으나 통제성의 효과는 기각되었다. 또한 소비자 지식에 따라 이영향정도는 달라졌다. 즉,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 특성들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지식이 낮은 소비자에게는 유의했으나, 지식이 높은 소비자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이는 모바일 구매에서 소비자간 지식격차 효과로 보았으며, 이에 대한 시사점을 소비자 교육과 정책적인 면에서 제시하였다. The number of mobile shoppers indicates sharp increase with the activation of smart phone usages. Mobile shopping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and responsiveness compared to traditional shopping, leading to rapid acceptance. On the contrary,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mobile commerce service (convenience and responsiveness) can give rise to impulse buying and regret by which the consumers`` welfare is likely to be diminish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nvenience, responsiveness (as strength of mobile commerce service) and control (as weakness of mobile commerce service) on the impulse buying and regret has been investigated.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onvenience and responsivenes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pulse buying and impulse give rise to regret. However, the path from control to impulse buying is not significant. Interestingly,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knowledge is empirically validated. The impacts of mobile commerce service characteristics on impulse buying are significant only for the high-knowledg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 knowledge can trigger the new digital divid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implications focused on the consumer education and policy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객관계관리에 있어서 다채널 전략의 효과 분석

        전종근(Jong-Kun Jun),주영혁(Young-Hyuck Joo),양석준(Suk Joon Yang) 한국유통학회 2004 流通硏究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다채널 전략의 의의를 고객관계관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다채널의 도입으로 기존 고객의 구매빈도와 구매금액, 그리고 구매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실증 분석한 결과 구매빈도와 구매금액, 구매수량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채널 전략이 고객의 생애가치(customer lifetime value)를 높이는데 기여했음 것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다채널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단일채널을 고집하는 고객이 여전히 많은 상황에서 이들이 다채널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다. This research analyzed multi-channel strategy from the viewpoint of th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We hypothesized that the purchase frequency, monetary, purchase quantity of the existing customers should have increased after they used multiple channels of a company for shopping. All the hypothesis were supported in an empirical test using the customer database of a Korean TV home-shopping company. The result showed that the multi-channel strategy can be used to increase the life-time value of existing customers. Still there were a lot of customers who insists using traditional channel, which calls for a new strategy inducing them to use multi-channel for shop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