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 개념, 측정 그리고 타당화

        전영한 ( Young Han Chun )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목표 모호성을 다차원적 구성물로 개념화하여 그 네가지 차원 - (1) 사명이해 모호성, (2) 지시적 모호성, (3) 평가적 모호성, 그리고 (4) 우선순위 모호성 - 을 제시하고, 둘째, 각 모호성 차원의 객관적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validity)을 검증하며, 끝으로 조직목표 모호성을 다차원성에 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115개 미국 연방기관을 표본으로 하여 각 모호성 차원의 객관적 측정지표와 대안지표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모호성 측정지표들은 통계적 혹은 실질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수렴타당도 검증을 통과하였다. 또한 네 차원간 상관관계분석의 결과는 조직목표 모호성의 다차원성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four dimensions and develops objective measures of the dimensions through adapting various archival sources in response to calls for a refined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goal ambiguity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The objective measures met convergent validity tests based on either statistical or practical significance and had modest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suggesting that organizational goal ambiguity is a multifaceted construct which has several related but distinct dimensions.

      • KCI등재

        준정부조직 통제의 성과 영향과 조절 효과

        배관표(Bae, Kwanpyo),전영한(Chun, Young Han)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준정부조직에 대한 통제의 성과 영향과 준정부조직 대응의 조절 효과를 한국의 대표적인 준정부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공공기관들에 대한 감독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였다. 준정부조직의 성과를 효과성, 효율성, 형평성, 절차적 가치의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눠 분석했을 때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는 준정부조직의 형평성을 높일 수 있지만, 효율성을 낮출 수 있다. 통제가 효과성과 절차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관리자의 외부 관리 노력과 대관(對官) 조직의 경계 관리 활동이 준정부조직 통제가 효율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외부 관리 노력과 경계 관리 활동이 통제가 형평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화시키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조직 정책 결정자와 준정부조직 관리자에게 준정부조직 통제의 기대 효과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가 있고, 준정부조직 통제의 수준을 실제로 측정하여 준정부조직 통제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행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empirically answers two questions, focusing on ‘public institutions’ in South Korea. First, do more governmental controls make their performance better? This study divid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o effectiveness, efficiency, equity, and procedural values. The results suggest that more controls over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improve equity but reduce efficiency. The impact on effectiveness and procedural values can not be confirmed significantly. Second, how do they need to respond to the governmental controls? The external management efforts of managers and boundary spanning activities of boundary organizations, as organizational strategic responses, are expected to buffer the environmental shock and exploit the environmental resources. This study statistically examines whether they can moderate the performance impact of governmental control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ositive impact on equity is not strengthened by them, but the negative impact on efficiency is mitigated by external management efforts and boundary spanning activities. Interestingly, the negative impact turns into a positive impact by external management effort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both the policy makers who are concerned with how to control the quasi-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he managers who are concerned regarding how to respond to the governmental controls.

      • KCI등재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송성화(Song, Sunghwa),전영한(Chun, Young-han)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3 No.3

        In recent years, it has been increasingly argued that the public policy implementation structures are changing from hierarchies to network structures. However, some scholars have questioned this argument, observing that policy implementation networks are the exception, not the rule. To provide an empirical contribution to this debate, this study analyzes 250 acts that were legislated in two periods: the 11th Korean National Assembly (1981-1985) and the 17th Korean National Assembly (2004-2008). The results reveal that the formal policy implementation structures in Korea are dominated by multi-actor network structures, rather than single-actor hierarchical structures.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multi-actor network structures are becoming predominant. Another finding demonstrates that the actual policy implementation networks in Korea tend to consist of actors from inside the public sector, rather than inter-sectoral network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Finally, the results support the observation that implementation structures in Korean government vary according to the policy area. The major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hile the evidence generally supports the dominance of multi-actor network structure in Korean policy implementation. the landscape of policy implementation is much more complex in reality than the hierarchy-network dichotomy.

      • KCI우수등재

        목표모호성, 사업성과, 그리고 관리적 재량: 한국 행정부처의 재정사업 분석

        권태욱 ( Tae Wook Kwon ),전영한 ( Young Han Chun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2

        이 연구는 정책사업의 목표모호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모호성-성과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을 탐색하여 관리적 재량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41개의 한국 행정부처에서 수행된 1,158개의 재정사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목표모호성의 하위 차원들 중 평가적 모호성과 대상집단 모호성은 사업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쳐서 이론적 예측을 지지하였다. 또한 관리적 재량의 조절효과는 우선순위 모호성과 평가적 모호성이 성과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완충하였으나, 대상집단 모호성의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의 방향성은 전자와 반대 방향으로 나타나 목표모호성의 하위차원별로 차별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부문의 정책사업관리에 유일한 최선의 방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사업별 특수성을 반영한 관리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impacts of goal ambiguity in policy progra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ial discretion on the ambiguity-performance relationship. We hypothesize negative impacts of goal ambiguity dimensions such as evaluative, priority, and target-population ambiguity on program performance and a buffering role of managerial discretion on those negative impacts. Analyzing the dataset with a sample of 1,158 policy programs in 41 agen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we find strong evidence to support most of the hypotheses. Evaluative ambiguity and target-population ambiguity are negatively related to program performance, and managerial discretion is likely to buffer the negative impacts of most ambiguity dimensions. In the case of target-population ambiguity, however, the findings are not consistent with theoretical expectations.

      • KCI등재

        재정적 공조직성과 조직성과의 관계

        이경은(Lee, Kyung Eun),전영한(Chun, Young Han) 서울행정학회 201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재정자원 중 정부지원 재정의 비중을 의미하는 재정적 공조직성이 공공서비스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재정적 공조직성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력이 다양한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전국 227개의 4년제 대학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재정적 공조직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재정적 공조직성은 대학의 총정원유지율, 전임교원1인당 총논문수, 전임교원1인당 우수논문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정적 공조직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조절효과에 대한 탐색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직연령, 과업난이도, 의학계열유무, 교육대학여부, 사립대학여부 등의 변수가 재정적 공조직성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financial publicnes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various contextual variables with a sample of 227 Korean univers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inancial publicness of Korean universities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quota retention rate, the number of total articles per a professor and the number of excellent articles per a professor. And a variety of contextual factors, such as organization age or task difficulty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publicn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정책수단의 효과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을 중심으로-

        송성화 ( Sunghwa Song ),전영한 ( Young Han Chun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4

        정부가 활용하는 정책수단은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정책수단이 갖는 효과성에 대한 인식도 인식주체 혹은 정책수단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정책수단은 무엇이며, 이러한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적 혹은 개인적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39개 중앙행정기관에 소속된 공무원 1,200여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한 위계적선형모형(HLM)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부에서 시장유인을 활용한 정책수단에 대한 관심과 활용이 증대하고 있다는 일부의 시각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들은 규제와 같이 강제적인 수단이 정책목표 달성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공무원의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의 영향요인으로는 해결해야 할 정책문제의 다양성, 정책기능, 제도적 위치, 인적규모 등의 조직적 특성과 직급과 재직기간 등의 개인적 특성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공무원의 정책수단 효과성 인식은 정책수단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주장과 실제정책수단의 활용간의 간극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적이다. 특히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강제적 규제를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은 기존의 규제완화 노력이 실질적 결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A government utilizes multiple policy instruments to achieve policy goals. A percep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differs depending upon evalua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examined which instruments are more effective to achieve policy goals and which factors influence on the perception about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200 public officials working in 39 central government agencies in Korea. The data for this study was analyzed in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 officials perceive that coercive instruments such as regulation are more effective to achieve policy goals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and use of market-based instrumen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policy problem complexity, policy function, institutional location, and organization size were found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At the individual level, position and ten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rceived effectiveness of policy instruments. The results are important in that it could explain the gap between theoretical claims of policy instruments and actual utilization of policy instruments to accomplish policy goals. In particular, public officials, who take central role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recognize that the mandatory regulations are effective instrument. This finding shows that the efforts for deregulation might not have practical effects.

      • KCI등재

        정책사업 목표모호성의 영향요인

        권태욱 ( Tae Wook Kwon ),전영한 ( Young Han Chun ) 한국정책학회 2015 韓國政策學會報 Vol.24 No.1

        이 연구는 한국 정부의 정책사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차원의 목표모호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정치적·관리적·사업특성 요인으로 범주화하고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41개 중앙행정기관에서 수행된 1,158개의 정책사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선순위모호성은 정치적 요인(정치적 요구의 복잡성, 정치적 주목도)과 사업특성 요인(직접성, 사업규모, 예산변화)에 영향을 받는 반면에, 평가적 모호성은 관리적 요인(기획능력)과 사업특성 요인(직접성)과 관계가 있었다. 대상집단 모호성은 정치적 요인(정치적 주목도), 관리적 요인(기획능력)과 사업특성요인(사업규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져, 세 가지 범주의 선행요인들은 정책사업 목표모호성의 차원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민간부문과 다른 공공정책과정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단순히 규범적 차원에서 강조되는 목표 명료화가 정치적으로 비합리적인 과제일 수도 있으며 상황적응적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ntecedents of goal ambiguity in policy programs of Korean government. We analyze the impacts of three types of antecedents such as political factors, managerial factors, and program characteristics on such ambiguity dimensions as evaluative, priority, and target population ambiguity with a sample of 1,158 policy programs in 41 Korean government agencies. Overall, the results show similar patterns which were found in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the pattern that different antecedents have impacts on different dimensions of ambiguity is strongly confirmed. Priority ambiguity tends to be influenced by political factors such as the complexity of political demands and political salience as well as program characteristics such as instrument directness, program size, and budget change. In contrast, evaluative ambiguity is negatively related to managerial factors such as planning capacity. Finally, target population ambiguity is the only dimension of ambiguity which is influenced by all three types of antecedents, especially political sailience, planning capacity, and program size. The findings confirm the validity of ambiguity constructs and measures for program goals and imply that a variety of political, managerial, and program characteristics have impacts on the goal ambiguity of policy programs in Korean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