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 반성의 수준 변화에 따른 다문화 관련 인식을 중심으로 -

        전귀자,조덕주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성’에 초점을 둔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반성 수준의 변화 및 반성 수준 변화에 따른 그들이 인식 내용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반성적 다문화교육에서의 반성의 개념, 절차, 수준, 교수학습 방안, 다문화 교육내용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15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한 학기 동안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변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 반성적 글쓰기를 쓰도록 하였고 필요한 경우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자기 자신에 대하여 반성적이지 않은 간단한 ‘기술적 작문’ 단계에서부터, 점차 자신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타인의 고유성을 인정하는 ‘대화적 반성’ 단계를 거쳐 15차시를 마칠 무렵에는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비판적 반성’의 수준으로 향상되어 갔다. 따라서 직면하기, 돌아보기, 재구성하기, 실천의지 다지기 등으로 이루어진 본 반성적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반성의 수준 변화를 토대로 다문화 관련 인식 변화를 가져오는데 효과적이며 심층적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based on the levels of reflec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emphasized on students' reflection. This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15 lesso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ion of reflection, the procedure of reflection, the levels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was implemen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aterials for data analysis were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flective levels about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improved from the level of 'descriptive writing' which could not be found any reflective thinking to the level of 'critical reflection' which could be found critical evaluation of students' their own multicultural experiences. Consequently, it could be said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to make change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more critically.

      • KCI등재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音声教育実践

        ?田貴子(도다 다카코),千仙永(천선영),大久保雅子(오쿠보 마사코)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41

        본고는 와세다 대학의 새로운 음성 교육 활동을 소개하고、BBS(「발음 BBS」)를 활용한 실천의 성과를 한국인 학습자의 배움에 초점을 두어 보고한다. 한국인 학습자가 「발음 BBS」를 통해 어떤 배움을 얻었는지 분석·고찰하고、한국의 인터넷 교육 사정을 고려하여 일본어음성 교육 모델을 제시한다. 「발음 BBS」에서의 한국인 학습자의 댓글을 분석한 결과、다음의 4가지의 배움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1)모국어의 지식을 살려 음운체계를 비교할 수 있었다. (2)일상 생활과 연관시켜 발음을 생각하고 음운 지식을 언어화함으로써 발음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3)발음 학습을 내성(?省)하는 힘이 길러졌다. (4)학습자 간에 배움이 공유되어 갔다. 인터넷 환경이 뛰어난 한국의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는、학생들이 BBS에 친숙해지기 쉽고、일상생활에 융화되기 쉬운 학습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모어로 BBS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음상의 문제점을 다루기 쉬우므로 모어와의 비교 및 학습 방법의 공유를 통해 새로운 발견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approach in teaching pronunciation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t Waseda University. The details of the learning, using BBS (“Pronunciation BBS”), achieved by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re reported. The data obtained from “Pronunciation BBS” is analyzed and discussed. Finally, a model is suggested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internet education, in order to teach Japanese pronunciation.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messages posted on “Pronunciation BBS” : (1) Students are able to compare the phonological systems of Japanese and Korean using the phonological knowledge of their first language. (2) Students are able to relate their everyday life to pronunciation learning, and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pronunciation by expressing their phonological knowledge in words. (3) Students are able to monitor their own pronunciation learning by self-observation. (4) Students are able to share the experience of learning. In Korea, the internet environment is advanced in Japanese language classrooms, and therefore, tudents can easily access to BBS and we can offer support to students. Also, we can take advantage of posting messages in Korean languag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Korean learners share their pronunciation problems caused by first language interference.

      • KCI등재

        グローバルMOOCsにおける日本語発音オンライン講座 ― 韓国人学習者および教師を対象とした調査から ―

        ?田貴子(도다 다카코),千仙永(천선영),伊藤沙智子(이토 사치코)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3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MOOCs의 일본어 발음 온라인 강좌(JPC)를 수강한 학습자와 교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ICT를 활용한 일본어교육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우선, 한국의 MOOCs의 현황을 개관한 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10명 (초급 5명, 상급 5명) 및 교육 경험이 다른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종단 조사를 실시했다. JPC (총5회) 의 콘텐츠를 이용 후 5주간 매주 1회 보고서를 제출하는 조사를 실시했다. 한국인 학습자에 대해 1) 내용 이해 2) 연습 방법 3) 교육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1) 총 5회를 통해 초급, 상급에 관계없이 약 70%의 학습자는 강의 내용을 “잘 알았다”고 자기평가했다. 그 이유로 자막 · 음성 번역파일의 활용을 꼽을 수 있다. 2) 초급과 상급에서는 섀도잉의 연습 방법에 차이가 보였다. 초급 학습자의 30%가 문자를 보면서 섀도잉한 반면, 상급 학습자의 경우 대부분 문자를 보지 않고 섀도잉을 했다. 3) 교육 효과로서 음성 학습 자세, 음성 학습관의 변화가 나타났다. 한국인 교사의 사례 연구에서는 1) 강의 내용에 대한 기유 지식과 교육 경험, 2) 리소스의 활용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실시했다. 담당 과목 및 학습자 수준에 따라, 교사 A는 수업 보조 자료로 활용, 교사 B는 수업 · 레벨별 콘텐츠의 활용, 교사 C는 문화소개의 측면에서의 활용을 검토하고 있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ICT를 활용한 언어 교육은 한국의 일본어 교육 현장에 자율 학습, 브렌디드 학습, 교사 교육으로 이용 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ICT-enhance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analyses of Korean learners and teachers of Japanese who participated in a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Japanese Pronunciation for Communication (JPC)’. Firstly, we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s of MOOCs in Korea. Then we conducted a longitudinal study of 10 Korean learners (5 beginners, 5 advanced) and 3 Korean teachers with various teaching backgrounds. Participants submitted a report every week over five weeks after using the contents of JPC (5 Sections). The data of Korean Learners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1) content understanding, 2) practice methods, and 3) teaching effectivenes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e following: 1) Approximately 70% of the learners evaluated their content understanding ‘well understood’, regardless of their levels of Japanese. One of the reasons for this result was that they utilized subtitles and translation files. 2) Beginners and advanced learners used different shadowing practice methods. 30% of the beginners used texts whereas few advanced learners used texts while shadowing. 3) Teaching effectiveness demonstrated noticeable changes in learning attitudes and ideas of the participants. The data of Korean teachers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1) phonological knowledge and teaching experience, and 2) ways to utilize the resources. Suggestions were made to utilize JPC as a supplementary material for the pronunciation class (Teacher A), for different classes depending on students’ proficiency levels (Teacher B), and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cultural aspects (Teacher C).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 suggest possibilities of making contributions 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n the context of autonomous learning, blended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ALACT 모형을 활용한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전귀자(Chun, Guija),조덕주(Jo, Dukj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다문화적 경험이나 행위를 돌아볼 수 있도록‘반성’에 초점을 둔‘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내용은 첫째,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수립, 둘째, 내용 영역의 구성, 셋째, 반성에 기초한 교수학습 방법 탐구, 마지막으로 이를 연계한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이론적 탐색 결과를 토대로‘나에 대한 이해(정체성)’,‘나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와 존중(다양성)’, 편견과 차별의 지양 및 공정과 공평의 지향(사회 정의)을 주요 내용 영역으로 하여 각각 하위 5차시씩 총 15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각 차시별 수업과정은‘반성’을 토대로 직면하기, 돌아보기, 재구성하기, 실천의지 다지기 및 실천하기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이후 초등학교 저학년 혹은 중학교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연구에 주요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students' reflective thinking. The objectives, main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are appropriate to this reflective multicultural program a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concepts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Seco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such as understanding of oneself, deep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another person's culture, and even-mindedness/nondiscrimination.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of reflective multicultural lessons are identified as comprising of four stages, those are 'facing on problems', 'looking back on actions', 'reconstruction of multi-cultural perception and attitude', and 'practicing the willingness of action and trial'. Final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15 units of reflective multicultural program are developed(5 units for each concept such as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based on ALACT Model. The further studies, such as the study 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development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continuity with this program are expected to be performed for the authentic and deep change of students'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