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량 산정에 관한 기초연구

        전계원(Jun Kyewon),전병희(Jun Byonghee),안광국(Ahn Kwangkuk),장창덕(Jang Changdeok),김남균(Kim Namgyu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지상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스캔자료를 이용하여 토석류 재해 발생지역에 대한 토석류 발생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충북 제천시를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한 DEM(수치표고모형)자료와 LiDAR 측량자료를 이용한 수치표고모형자료를 비교분석 하고 토석류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침식량은 24,150m3, 퇴적량은 14,296㎥로 산정되었고, 수로형 토석류와 사면형 토석류의 형태, 만곡부에서의 퇴적 등이 적절히 표현되었다. 토석류 발생량의 산정연구는 토석류 재해저감이나 대책수립 및 수치모의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stimating of the amount of debris flow in hazard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surveying data. Jecheon area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n, the surveyed LiDAR information of DEM and 1:5000 digital map of DEM have been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amount of debris flow has been estim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erosion was 24,150 m3 and deposition was 14,296 ㎥. Well shape of channelized debris flow, hillslope debris and deposition at the bending reach of a channel can be found in the area. This study on estimation of the amount of debris flow was expect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s for debris flow of disaster mitigation and simulation work.

      • KCI등재

        수리학적 인자를 고려한 투과형 사방댐의 위치결정

        전병희(Jun, Byonghee),전계원(Jun, Kyewo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투과형 사방댐의 적정 설치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치실험을 통해 이동상에서 토석류 흐름에 의한 유량, 토사농도, 수면경사, 침식/퇴적 속도계수 등과 같은 수리인자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포화된 토석류 흐름을 보이는 영역에서는 활발한 침식작용과 유량의 증가로 인해 특징적인 피크유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토사농도의 변화를 통해 활발한 토석류 흐름과 소류를 안정적이고 특징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런 수치실험의 결과를 강원도의 토석류 발생계류에 적용하여 사방댐의 적정 설치위치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계류에서의 유량과 토사농도의 수리적 인자를 이용하여 사방댐의 적정 설치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open-type debris flow check dam was investigated using numerical models.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 moving bed to investigate changes in hydraulic parameters such as flow rate, sediment concentration, water slope, and erosion / deposition velocity coefficient in the bed. It wa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flow peak in debris flow is a characteristic phenomenon, resulting in active erosion due to a rise in debris flow rate. The variation of sediment concentration can be a key factor in distinguishing between active debris flow and traction. A field-based numer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per placement of the check dam. The results of this numerical experiment were applied to the debris flow occurring in the valley in Gangwon-do to assess the appropriate positioning of the check dam. It is considered the hydraulic factors such as flow rate and sediment concentr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open-type check dams.

      • 강원대학교 방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 소개

        최종호(Choi jongho),전계원(Jun kyewo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급격한 기상이변과 사회구조의 복잡ㆍ다변화로 재난유형이 다양화, 대형화, 복합화 되고 있다. 이러한 재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로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어 재난관리를 위한 전문가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재난관리 전반에 대한 종합적 대응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한 상황에 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방재안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강원대학교를 교육기관으로 선정하여 실무 인재형 방재안전분야 석ㆍ박사급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대학교에서는 2016년 3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총 2년간의 사업기간 동안 방재안전분야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방재안전분야 연구활동, 교육과목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성과 등의 활용 및 홍보 등을 수행해 왔다. 이에 본 사업단 세션을 통해 그간 2년 동안 사업을 진행한 부분에 있어서의 사업소개 및 일반적인 사항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소규모 공공시설 조사시 세천의 위험도 평가 방안

        노정수(Jungsoo Rho),전계원(Kyewon Jun),신재성(Jaesung Shin) 한국방재안전학회 2023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6 No.1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행정안전부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관리 등에 관한 법률(2016 개정)」을 제정하고 각 지자체별로 소규모 공공시설을 조사하여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에 등록하고 매년 3월 31일까지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각 지자체별로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점검 및 정비계획 수립 용역이 발주되어 세천, 소교량, 농로, 마을진입로, 취입보, 낙차공의 6가지 유형의 시설물을 조사하여 DB화 하고, 각 시설물별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여 위험시설의 경우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배포된 소규모 공공시설의 위험도 평가 방법은 현장조사자의 육안조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위험도 평가가 주관적이고 모호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공공시설 중 재해위험도가 가장 높은 세천에 대하여 위험도 정량평가지표를 제시함으로써 합리적이고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규모 위험시설을 선정하여 정비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에 있어 투명한 근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and localized torrential rain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enacted a 「law on safety management of small sized infrastructures」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register small sized infrastructures with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NDMS) until March 31st every year. Recently, each local government has ordered Safety inspections of small sized infrastructures and maintenance plans and six types of facilities, including small streams, small bridges, farm roads, access roads to village, inlet weirs, and drop structures are being surveyed and digitized into a database. Each facility is being evaluated for risk, and for those deemed hazardous, maintenance plan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since the risk assessment method of small sized infrastructures is not clear so that is conducted through visual investigation by field investigators, risk assessment is conducted in a subjective and ambiguous form.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reasonabl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 by providing a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 for small stream, which has the highest disaster risk among other small sized infrastructures, so that small sized hazard infrastructures can be selected to secure transparent evidence for improvement plans and action plans.

      • KCI등재

        모의실험을 통한 사방댐의 토석류 유출저감효과 분석

        윤병하(Yoon Byungha),전계원(Jun Kyewon),전병희(Jun Byunghee),정욱교(Jung Wookkyo)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64%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지나 급경사지의 개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러한 산지개발은 산사태 및 토석류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설치되는 사방댐의 설치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토석류 모형실험을 위하여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 버트리스 사방댐, 브레이커 유출저감 시설의 세 가지의 기초 시설들의 모형을 제작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나의 계류에 한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시설을 설치할 시, 어떠한 시설들을 조합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토석류를 저감시킬 수 있는지, 실험결과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토석류 유출저감 시설들의 조합에 대한 실험결과 단일 구조물을 설치 시에는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이 가장 높은 저감 효과를 보였고, 세 가지 시설을 조합한 실험 결과는 ‘버트리스-브레이커-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의 조합이 토석류 유출저감 효과를 가장 높게 나타냈다. In Korea, where 64% of the land area is composed of mountainous areas, so it is inevitable to develop mountainous areas and steep slopes. Mountain development increases the incidence of landslides and debris flow. In this study, an indoor model test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installation effect of the dam installed to reduce the damage to the debris flow. The types of models used in this experiment are gravity concrete erosion control dam, buttress erosion control dam and breaker erosion control dam. Experimental results of one or more facilities installed in a single mooring facil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result, the combination that effectively reduces the amount of soil erosion was quantitatively confirm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gravity concrete erosion control dam’ has the highest reduction effect when installing a single structure. The experiment results that combines three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debris flow erosion control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buttress-breakergravity concrete erosion control d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