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발달장애아동 아버지의 긍정적 의미부여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장진아,황혜원 한국아동권리학회 2016 아동과 권리 Vol.20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경향과 관련 변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긍정적 의미부여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청주지역 H 특수학교 초, 중, 고, 전공과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와 자폐성 장애로 진단받은 발달장애 아동을 둔 아버지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아버지의 연령, 교육수준, 종교에 따라 양육참여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아동 아버지의 긍정적 의미부여와 사회적 지지는 양육참여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장애아동의 성별, 아버지의 교육, 가족소득, 긍정적 의미부여, 사회적지지 제공자 수와 사회복지관의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개인적으로는 긍정적 의미부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적절한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함을 시사한다. To establish the parenting tendencies of the fa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related factor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thers’ parenting, positive meaning making, and social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65 fat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H special school in Cheongju. It was found that the age, the educational levels and the religion of the father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differences in their parenting activitie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ex of the child, the education levels of fathers, family income, positive meaning making and the number of providers of social support, and support from social welfare cent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fathers’parent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fathers of disabled children need education and services in order to expand the positive meaning making and their social support networks.
장진아,전영석 국제과학영재학회 2008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2 No.2
We analyzed the articles on the exhibition in the National Science Fair in order to understand thosecourse of development. We examined the format and contents of articles in the analysis, and aimed toseek ways of improving the fair more creatively and more popularly. The standards of formal analysisof the articles are theme, field of exhibition, grade of exhibitor, residental place of exhibitor. While thestandards of content analysis of the articles are motif, method, period, and practical use of research. As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come obvious that the National Science Fair has evolved very muchin lin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operation of the fair, appraisal procedure, content of awardsand others have been systemized further compared to its beginning and it has grown in a qualitative aswell as quantitative manner. Exhibits have become more specialized with respect to their forms andcontent, and recently, environment and tradition have surfaced as popular subjects. This shows that thefair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contributing to nurturing science inquiring capacity of students as wellas teachers. The National Science Fair, as a informal science education system, has gathered publicattention to science that has evolved step by step with the change of trend and time.
7학년 분자의 운동 단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 수업의 효과와 학생들의 인식
장진아,이경희,박소영,김동진,최병순,박국태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이 연구는 7학년 분자의 운동 단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 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 이해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S시 소재 Y중학교 1학년 3개 학급 107명을 실험집단l파 실험집단2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l에는 학생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 수엽을 실시하고, 실험집단2에는 교사와 학생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실험 수엽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개념 이해도 검사를 하였으며, 성취도 검사와 인식 조사는 수업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험집단1과 섣험집단2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싣험 수업이 통제집단의 전통적인 설험 수엽에 비하여 분자의 운동에 대한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의 학업 성취도 평균이 통제집단의 학업 성취도 평균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마하게 높았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분자의 운동 단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탐구실험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실험집단1에서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명확하게 답을 제시해 주는 것보다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자신감과 만족감을 느꼈다. 실험집단2에서 인지수준이 중하위인 학생들은 애매하고 시행착오적인 동료와의 상호작용보다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적으로 답에 이르고 명확하게 개념 정리를 해주는 것을 선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inquiry experiment instruction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in the 7th grade motion of molecules unit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concept, achievem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s. For this study, 107 7th grad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I, the experimental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1 were given inquiry experiment instruction emphasizing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2 were given inquiry experiment instruction emphasiz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while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raditional experiment instruction. They were all tested on their level of scientific concept understanding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and after the instruction they were given achievement test and surveyed on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nquiry experiment instruction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of experimental group 1 and 2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experiment instruction of the control group in understanding the scientific concept of molecular motion, and the achievement level of experimental group 1 and 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Generally both students of group 1 and 2 were found to affirmatively perceive the inquiry experiment instruction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in the motion of molecules unit. Students of group 1 with high cognitive level were satisfied when they were able to independently solve problems by trial and error through student-student interaction than being given the exact answers. Meanwhile students of group 2 with middle to low cognitive level preferred the inquiry experiment instruction emphasiz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at easily and cleary gives them the correct answer than student-student interaction which can be obscure and requires trial and error.
장진아,전영석 국제과학영재학회 2020 국제과학영재학회지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과학올림피아드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국제올림피아드 대회들의 운영 및 평가 방식에 서 나타나는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제물리올림피아드, 국제화학올림피아드, 국제생물올림피아드,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 사례들을 운영 목적, 평가 방향 및 운영 방향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 제과학올림피아드의 운영 목적은 인재 발굴 및 육성, 학문분야의 발전과 확장 도모, 각 분야별 전문가와 인재들 간의 활발한 교류 촉진, 교육 아이디어와 방향 공유로 정리할 수 있었다. 평가 방향의 측면에서 국제과학올림피아드들은 학문의 본질, 특히 과학적 실행 과정을 담고자 노력하였으며, 지식 암기가 아닌 이해를, 테크니컬한 기술보다는 실험 적 창의성을 추구하였다. 운영 방향의 측면에서 각 대회들은 공정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학생들의 신체적, 심리적 안정을 위해 배려하였으며, 학생들이 개인적 성장을 넘어서 학문 공동체의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고자 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가 국내올림피아드 및 영재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operations and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s based on case analysis. For this, we analyzed the cases of the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 International Chemistry Olympiad, International Biological Olympiad, and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from three perspectives: their aims, the directions of opera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firstly, the main aims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iscovering the talented and gifted students in science areas, fostering students’ development and interests, expanding the networking between the students and experts in each field, and sharing educational approaches of the participant countries. In terms of the evaluation direction, the competitions have tried to reflect the nature of each discipline, especially the process of scientific practice and to evaluat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creativity, rather than their memorizing and technical skills. Lastly, as for the direction of operations, each competition built its fair system, cared for stud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as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beyond personal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Olympiad competitions and gifted education in Korea.
에너지 소양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에너지와 생활” 단원의 내용 분석
장진아,맹승호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9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9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에너지와 생활 단원의 각 소단원 본문에 제시된 에너지에 대한 서술 양상을 에너지 소양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에너지와 생활 단원의 학습 요소는 에너지의 형태와 에너지 전환, 에너지의 원천으로서 태양 에너지의 역할,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담고 있다. 이 내용들은 에너지 소양의 본질적 원리 중 제1 원리의 기본 개념들이 많이 연계되었으며, 제2 원리와 제3 원리 및 제4 원리 중 태양 에너지와 관련된 기본 개념 일부가 연계될 수 있었다. 제6 원리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소단원에 집중적으로 연계될 수 있었다. 반면에, 에너지와 생활 단원의 각 소단원들이 다른 학년에서 학습한 에너지 관련 개념과 현상을 통합한다는 관점에서는 단원 간의 상호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합 주제를 다루는 에너지와 생활 단원을 에너지 소양의 관점에서 재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에너지와 생활 단원의 내용을 소개할 때 이전 단원에서 학습한 에너지 관련 개념과 현상의 맥락을 활용한다. 둘째, 에너지와 생활 단원의 내용을 에너지의 형태, 에너지의 전달과 전환, 에너지 감쇄, 에너지 보존이라는 틀에서 구성할 경우 단원 구성 및 단원 간 내용 연계성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 시나리오 및 요구사항을 고려한 간병 도우미 시스템 개발
장진아,정기효 대한산업공학회 2014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환자와 보호자는 환자의 질병에 특화된 간병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으나, 환자 맞춤형 간병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 및 관리하는 시스템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시나리오 분석과 요구사항 조사를 통해 간병 도우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간병 도우미 시스템은 간병인이 휴대가 용이하고 인터랙션이 편리하도록 터치스크린 기반의 태블릿 노트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간병 시스템은 환자의 질병 특성에 따라 지능적으로 간병 사항을 간병인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체계적으로 환자 맞춤형 간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환자의 간병 현황 및 건강상태를 궁금해 하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적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환자와 보호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병 시스템은 간병인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고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 챗봇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및 챗봇 활용 현황 분석: 과학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장진아,박준형,박지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educational research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tbo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use in science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a total of 53 studies conducted from 2016 to 2021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and areas and the directions of using chatbot, such as learning subjects, language, and platforms. We also drew the major issues for educational use of chatbot. Results As a result, chatbots have been mainly used in English education, however, have been expanding to other education fields from 2019. Overall, most studies focused on developing and applying chatbot-based activities practically main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For using chatbot effectively,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technical features and roles of the chatbot along with learning goals and students’ characteristics. Despite various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hatbots, their effectiveness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such as individualized learning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ways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using chatbots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concept learning were proposed.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챗봇과 관련한 국내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 교육에서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연구한 53편의 논문들의 연구 분야, 연구 주제 및 방법, 그리고 챗봇의 활용 대상, 활용 언어, 활용 플랫폼 현황을 조사하고, 챗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주요 쟁점들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챗봇은 지금까지 영어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활용되어왔으나, 2019년부터 다른 교육 분야로 확장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챗봇을 활용한 교육 활동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실천적인 연구들이 초등학생이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챗봇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발 과정에서 챗봇의 기술적 특징을 학습 목표, 학습자의 특성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했다. 챗봇의여러 기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개별화 학습, 과정 중심 평가 등 여러 맥락에 활용되어 그 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결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과학 탐구 활동과 개념 학습에서 챗봇을 활용하기 위한 실천 방안 및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