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ultiresolution based Feature Enhancement in 2D images

        Anand Vijayaram,JongWhan Jang(장종환) 한국정보기술학회 2005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05 No.-

        An algorithm proposed to illustrate the enhancement of edge features from 2D images. This algorithm used standard Multiresolution based wavelet de noising techniques. In this approach, we construct the undecimated schemes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 for image noise reduction. So that the Trous filter used to remove the noises and after that the Sobel operator applied over the same de noised images in order to detect the edges. Here, the reason for edge detection is that it shows better idea of how much noise is removed and how well the edges are preserved. Finally, the constructed image will be composite with original image which is extracted by Sobel operator without smoothing process. When we extract the edges from original image without smoothing process, we can get all high frequency information. In the next level, constructed images are enhanced by using image fusion technique. Here, the image which is smoothed by 'a trous' filter and the original image are given to the fusion technique. In this method, different piece of processed images will be combine together. So that the resultant image will have well extracted feature than the original image. Eventually. nonmaxima suppression is applied to get the thin edges.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achieve better performance for the test images. This algorithm can be applicable for all 2D images. especially for medical images.

      • 스테레오 영상의 변이 정보를 이용한 머리 회전 각도 추정에 관한 연구

        김택훈 ( Taek-hoon Kim ),장종환 ( Jongwhan J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얻은 변이 정보를 이용하여, 3 차원으로 머리의 회전 각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머리 회전에 의한 주시 방향은 사람이 관심을 가지는 방향이므로 이동을 추정하는 것에 비해 많은 중요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 영역 내의 여러 특징점들 중 3개의 특징점들을 포함하는 여러 평면(Plane)이 머리가 이동하더라도, 그 평면들 사이의 각은 변하지 않으므로, 회전 각도 추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회전 각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 논문이 카메라 보정을 통해 3 차원 위치를 측정하지만, 제안하는 방법은 변이 공간에서 회전 각도를 추정하기 때문에 카메라 보정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변이 정보를 얻기 위한 스테레오 장비는 평행카메라 모델로 가정하며, 얼굴 내의 특징점은 KLT(Kanade-Lucas-Tomasi) 특징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는 기준 영상에 대하여 추정된 3 차원 각도를 나타낸다.

      • 워터쉐드 영역병합을 이용한 스테레오 정합의 베이지언 접근방법

        길우성 ( Woosung Kil ),김신형 ( Shinhyung Kim ),장종환 ( Jongwhan J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세그멘테이션 기반의 스테레오 정합에서 복잡한 장면 정합 시 발생되는 오 정합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스테레오 영상의 좌측 영상에 대해 워터쉐드 영상 분할을 이용하여 정합을 위한 feature 를 생성한 다음, 베이지언 프레임웍을 적용하여, 각각의 영역을 비슷한 변이 정보를 가진 것들로 병합한다. 생성되는 정합 패치들은 정합의 모호성이 작게 되어 오 정합이 현저히 줄어 들 뿐만 아니라, 영역간의 콘트라스트가 적은 영상에서도 신뢰할 만한 변이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 복수객체의 윤곽추출 알고리즘 성능분석

        장종환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11 공학논문집 Vol.13 No.1

        The most important operation in Snake algorithms of extracting boundary of multiple objects is to find the segment intersection and to split and connect segments appropriately. In most of previous algorithms, two 1-D equations are solved to find segment intersection and the nearest distance method is used for splitting and connecting snake points. This method is time-consuming. Connecting snake points using the distance between snake points creates the wrong connection. To solve these problems, new splitting and connecting operation using vectors of snake segments is proposed.

      • 스네이크와 레벨 셋을 결합한 객체 윤곽추출 알고리즘

        장종환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12 공학논문집 Vol.14 No.1

        Snake is faster than level set method but is very sensitive to performance of boundary extraction according to topology of objects. Therefore, level set method is applied if and only if topology of objects is complicated, otherwise active contour model is used. A new combined method of Snake with level set method is proposed. A proposed algorithm can improve speed and accuracy of boundary extraction of objects.

      • 에지 기울기의 차를 이용한 개체 윤곽 추출

        "정녀", "박정범", "장종환"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15 공학논문집 Vol.17 No.1

        기존의 능동윤곽모델은 스네이크 포인트를 개체 윤곽의 정점에 이동시키는 못하는 제약으로 코너 윤곽을 갖는 개체를 정확하게 추출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스네이크 포인트를 윤곽의 정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새로운 외부 에너지 함수를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은 에지의 크기 만을 이용하여 스네이크 포인트를 에지에 이동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네이크 포인트를 코너와 같은 에지 방향의 각도 차가 큰 곳에 이동시키는 에지 기울기의 각도 차를 이용한 새로운 개체 윤곽 추출 알고리즘에 제안한다. Most of previous snakes have limitation which snake points cannot successfully be moved forward to the vertex of object contour. The limitation cannot extract boundary of objects with vertex exactly. Therefore, a new external energy function is proposed for snake points to move forward the vertex of object boundary. As edge magnitude of image was used as an external energy in previous methods, snake point was moved to the edge of object. To solve this problem, a new method using degree difference of edge direction is proposed.

      • 컬러영상에서 개선된 스네이크를 사용하여 입과 눈의 윤곽 검출

        오응군, 장종환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14 공학논문집 Vol.16 No.1

        기존의 스네이크 알고리즘은 정의된 에너지함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스네이크 포인트를 반복적으로 움직이며 객체의 윤곽을 찾아내는 방법이지만 회색 분포를 평균화 하지 않기 때문에 스네이크 포인트들이 개체 윤곽까지 이동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심력 및 개선된 이미지 에너지를 사용하여 얼굴의 특징을 정확하게 추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