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p>252</sup>Cf 중성자장에서 열형광선량계(TLD)를 이용한 중성자 방사선량 측정

        장인수,김상인,이정일,김장렬,김봉환,Chang, Insu,Kim, Sang In,Lee, Jung Il,Kim, Jang Lyurl,Kim, Bong Hwan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13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8 No.1

        TLD를 이용하여 중성자 선량을 측정할 경우, TLD는 중성자 에너지에 대한 반응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현장 중성자장의 스펙트럼 특성에 맞는 에너지 반응도 보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실험에는 소형으로 가공된 TLD 소자를 사용하여 $^{252}Cf$ 중성자장에 설치된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좁은 Long-Counter (중성자 검출기) 내외부에서의 중성자 주위선량당량(ambient dose equivalent)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입자수송해석코드(MCNPX)를 이용한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TLD 교정 선원인 $D_2O$ 감속 $^{252}Cf$만으로 교정하여 판독한 결과값은 전산모사 계산값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bare 및 $D_2O$ 감속 $^{252}Cf$ 선원을 사용하여 생산한 두 교정인자를 혼용한 판독값은 계산값과 비슷하였다. 결과적으로, TLD 소자는 사용 현장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는 중성자장에서 교정되어야지만 올바른 선량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case of neutron dose measurement using TLDs (thermo-luminescence dosimeters), because the neutron energy dependence of the TLD is very high, the calibration of the energy respons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utron spectrum of workplace is required. In the present study, the ambient dose equivalent rates inside and around the Long-Counter (neutron detector) with narrow and complex inside in the neutron field of $^{252}Cf$ were evaluated. The calibration factors to account for the neutron energy dependence of TLDs were established for both the bare and $D_2O$ modulated $^{252}Cf$ neutron beams, respectively. The values of the TLD's measurement were compared with the computational results of the MCNPX (Monte Carlo N-Particles transport code). When using the two calibration factors of the TLD than a single calibration factor, the measured and the calculated values at the point of verification outside and inside the Long-Counter were in more good agreement. This results show that TLD should be calibrated in the reference neutron field similar to workplace situation.

      •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

        장인수(Chang, Insu) 한국지역개발학회 2024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2

        본고는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영 현황과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 사항을 담고 있다. 주요 개선 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지자체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과 관련하여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용은 투자계획 평가, 컨설팅 등 배분 과정에서 투자계획 수립, 평가 과정에서의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효율적인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을 위하여 중앙-지방 간 유기적 소통과 이를 바탕으로 한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투자계획서가 보다 내실 있는 정책 추진 계획으로서 의미를 띠기 위해서 해당 지역의 인구 변동과 정책 수요, 정책 추진 여건을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인구감소지역 선정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 마지막으로,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관련 지역 간 연계 및 협력 사업 가점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혼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차이와 영향요인 분석

        장인수(Chang, Insu),우해봉(Woo, Haebo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5 No.4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및 저출산 흐름과 맞물린 일 · 가정 양립의높은 시의성과 개연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한국여성가족패널조사 1~5차자료를 바탕으로 부부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들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동시장 참여 특성 간 연관성을 중심으로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차이 양상의 추세를 실증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부인)과 남성(남편) 모두 가사노동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성의 여성에 대한 가사노동시간 비율은 미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나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절대값 차이는 여전히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간 가사노동시간 차이는 모형 내에서 고려한 각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수와 노동시장 참여 특성 변수로 설명되는 부분(explained)보다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unexplained)의 비중이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동시장 참여 특성 중 비취업자 범주, 주당 평균근로시간40시간 이상이 평균 가사노동시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의 기여도가 가장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남편과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의종단적 양상을 제시함과 아울러, 일-가정 양립 정책이 사회경제적 여건을고려함과 동시에 보다 개인의 세부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시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추가적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동시장 참여 특성으로 설명되는 부분보다는 설명되지 않은 부분의 비중이 더욱 크게변화하고 있는 양상은 여성과 남성 간 가사노동시간 차이에 대하여 여성과남성 각 개인의 성 이데올로기가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할 필요가있음을 시사한다. Given the high probability of work-family compatibility associated with increased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women and low birth rates,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housework hours between Korean couple a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ouple and labor market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1-5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According to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both males(husband) and females(wif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housework hours, and the ratio of housework hours males to wives increased only marginally.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absolute value of housework hours for men and wives is still remarkable. The difference in housework hours between husbands and wives increased gradually from unexplained to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regression model. Also we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non-employed categorical variable on housework hours is the highest among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how the longitudinal aspect of housework hours of husbands and wives, and suggests that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should be promotive in an aspect of micro-motivated considering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individual s specific characteristics. Also, the pattern in which the ratio of unexplained part becomes larg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depth the effect of gender ideology on the difference of housework hours between women and men.

      • KCI등재

        서울시민들의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 결정요인 분석

        장인수 ( Chang Insu ),김홍석 ( Kim Brian H. S.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을 경험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개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를 고양시킬 수 있는 기반 조성을 위해 지역적, 미시적 차원에서의 도시계획 정책이 이루어져야 함을 역설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생태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과 지역사회가 위계 관계를 구성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실증분석 방법론으로 다층순서형로지스틱모형(Ordered Logistic Multilevel Model)을 적용하고, 1수준 개인 변수에는 2013서울서베이 자료를, 2수준 지역 변수로는 2013년도 서울통계(stat.seoul.go.kr)를 활용하여 각각 투입하였다. 지역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1인당 도시공원 면적과 녹지면적, 가로녹시율와 같은 자연환경 중심의 쾌적한 환경(amenity) 요인이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기조를 바탕으로 할 때, 개인의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를 고양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른 부문과의 정합성을 유지하여 쾌적한 근린 환경 조성을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현재 수립, 시행되고 있는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2030서울플랜)과 같은 도시기본계획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발전과 주관적 건강 행복지수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도시공원과 녹지, 가로수 등 자연환경 중심의 쾌적한 환경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세부 계획을 미시적 차원에서 추가적으로 수립,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policy should come about at the regional level with ecological perspectives based on the social need for promoting individuals`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Recognizing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gional factors that affect people`s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For our empirical analysis we used Ordered Logistic Multilevel model.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are from the 2013 Seoul Survey (for the individual) and Seoul Statistics (for the regional).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amenities such as local parks, green spaces and green streetscape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local residents` subjective health and wellbeing. Therefor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menities are empirically supported, which further argues for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local amenities in promoting the wellbeing of local residents. Consequently, planning policies such as 2030 Seoul Plan should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otential effect on the wellbeing and health of Seoul citizens.

      • KCI등재
      • 출산지원금의 효과와 정책적 함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장인수 ( Insu Chang ) 충남연구원 2021 충남연구 Vol.5 No.1

        최근 지역 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인구 정책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는 바, 대표적인 지역 인구 정책으로 이해되고 있는 출산지원금이 지역 인구의 자연적, 사회적 증가를 도모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충청남도공주시를 사례로 하여 출산지원금의 자연적, 사회적 증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2018년부터 양적 수준이 더욱 증가한 공주시 첫째아 출산지원금 효과를 2018-2019년의 기간 동안 분석한 결과, 첫째아 출산지원금은 이 기간의 합계출산율, 조출생률, 인구 대비 첫째아 출산 비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20-30대 유입 인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출산지원금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s a variety of demographic policies are being promoted in response to the regional crisis caused by the recent decrease in the regional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childbirth subsidy, which is understood as a representative regional population policy, has been effective in promoting the natural and social growth of the local population. For an empirical analysis, we conducted a case study of Gongju City, Chungcheongnam-do, where the population is continuously declining. Based on the analysis for the period 2018-2019, we found that the first-born childbirth subsidies in Gongju, which were further raised in 2018,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fertility rate, the crude birth rate, and the ratio of first-born births to the popul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et-migration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during this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regional population policies are presented.

      • 출산 행동의 주요 특징과 함의

        장인수 ( Insu Cha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08 No.-

        이 글은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출산 행동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심층적인 연구 과제와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 결과와 출생아 수는 가구소득과 교육 수준 같은 요인에 의한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 출산에 대한 부부의 의사 결정에서 상대방과 함께 의사 결정을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난자 또는 정자 냉동 보관 의향은 출산 의향을 나타내는 또 다른 요인이자 만혼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이 글의 관측 결과는 향후 저출산 대응 정책을 추진할 때 출산 행동과 이를 둘러싼 다양한 요인 간 연관성에 대한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선결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imed at providing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y by exami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hildbearing behavior using the data of the '2021 Family and Fertility Survey’. Our results of analysis imply that there are many questions, regarding inequality, rearing of children, and late marriage, to take into consideration in a multifaceted manner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That is, we need a more complex analysis of childbearing and its various factors in low-fertility policy responses.

      • 광역지방자치단체 저출산 대응 정책 모니터링과 정책적 시사점

        장인수 ( Chang Ins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보건복지포럼 Vol.317 No.-

        이 글은 광역지방자치단체 저출산 대응 정책 추진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이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 개선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2021년도 시행계획의 전반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정책 분야별 사업 수와 예산 규모, 내용 및 구성상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검토 내용을 토대로 효과적인 정책 추진 현황 관리를 위한 시행계획 사업 분류 틀, 성과평가 체계 구축을 역설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저출산고령사회대응위원회와 같은 지역의 저출산 대응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편, 시행계획 작성 관련개선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 글의 정책 개선 대안은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정책 추진 주체이자 관할 구역 내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조율 및 관리 주체, 중앙·기초 간 정책 소통의 매개체라는 특성에 주목한 데 기인한다. This article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fertility policies put into effect b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for policy improvement. In reviewing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mplemented in 2021, we examined the number and budget size of projects underway in different policy areas. In addition, this article outlines the limitations these projects have and presents what should be done to make improvements on them in terms of their substance and composition. This article emphasize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project classification framework to promote effective management of policy implementati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reorganization of fertility policy governance system, and improvements related to the preparation of action plans.

      • KCI등재

        산업별 및 권역별 이산화탄소 발생의 로그평균디비지아지수 분해 분석

        박승규(Park, Seungkyu),장인수(Chang, Insu)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4 No.2

        This study identified the tendency of CO₂ emission in energy consumption, cause of climate change, by analyzing the dynamic convergence regression model and decoupling analysis from 2013 to 2019 in regional level. In addition, CO₂ emission factors and contribution rates were derived by constructing an temporally and spatially expanded Log Mean Divisia Index(LMDI) model which was expand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According to results, firstly, CO₂ emissions in total energy use were found to gradually converge, and in particular, CO₂ emissions were reduced by the use of renewable energy. Secondly, as a result of decoupling analysis by industry/region to identify environmental changes compared to economic growth,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primary industry were improved compared to economic growth in Honam reg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secondary industry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by region was classified as revealing decoupling occurred in regions except for the Yeongnam region.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CO₂ emissions were reduced through renewable energy, R&D investment, and investment in the environment sector by deriving the determinants of CO₂ emissions. Finally, in the case of applying spatial gap, the metropolitan and Yeongnam regions, which have relatively higher economic power, reduced CO₂ emissions due to renewable energy, R&D investment, and investment in the environment sector. On the other hand, in Honam and Chunggang regions, which have relatively low economic power, CO₂ emissions de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in addition to investment in renewable energy and th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