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대생들의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캠페인에 대한 인식

        장안리(Ahnlee Jang),김유정(Yoo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자궁경부암은 국내 여성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4천여 명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하루 평균 3명의 여성이 자궁경부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군에 해당되며 2차 접종 대상인 14~26세 여성에 포함되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과 관련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19명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과 관련 되어서는 확산되지 않은 정보로 인해 자궁경부암이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 자궁경부암 관련 정보 접근의 우연성 및 부족, 발병원인이 여성들에게만 있다고 강조하는 정보의 편향성 및 용어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이유로는 사회적 편견, 비용, 부작용 및 막연한 두려움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은 자궁경부암 및 예방접종과 관련되어 실질적이고 팩트 위주의 매세지, 또래 여성 및 남성도 포함된 메시지, 접근성과 노출 빈도수 높은 캠페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15-35세 군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예방교육을 실시할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emales in the 2nd vaccination group(that is, women between the ages of 14-26) perceive cervical cancer, HPV vaccine, and the current campaign on HPV vaccine. In-depth interviews with 19 female college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20-26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 the cervical cancer and vaccine as unimportant due to limited information; they were exposed to related information at random and there were lack of importa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vided were viewed as gender-biased. Moreover, social taboo-ness, cost and fear of its side-effects were found to influence women from getting vaccinated.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want more fact-based and practical information, information that includes peers and men, as well as a campaign that has more frequent contact and accessibilit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HPV prevention education in the future targeting women between the ages of 13-35.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nd changes needed in HPV vaccine campaigns.

      • KCI등재

        사회과학연구 : 위싱턴 포스트에 묘사된 재미 한인들의 시민적 및 정치적 정체성: 1990-2010년에 실린 기사 중심으로

        장안리 ( Ahn Lee Jang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미국의 주요 일간지 중 하나인 워싱턴 포스트( The Washington Post) 일간지가 지난 20년 간(1990-2010) 재미한인들의 시민적, 정치적 정체성을 그들의 시민참여 및 정치참여와 관련된 기사를 통해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재미한인들의 시민 참여 및 정치 참여에 관한 46편의 기사를 선택 한 후 내용 분석을 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시민적 정체성에 있어서 재미한인들은 집단성이 강하고 소극적이며 (지역사회에 영향을 끼치는 일에) 이웃 및 지역사회와 활발한 소통을 하지 않는 집단으로 표현되었다. 정치적 정체성과 관련된 기사에서는 재미한인들을 정치 활동에 있어 선별하여 참여하는 집단, 이민역사와 타 인종에 비하여 정치 참여가 비교적 늦은 민족으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1990년 대 와 비교했을 때 그들의 정치세력은 미미하지만 점차 확산되어가는 추세라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체성은 기존의 미디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정형화된 이미지보다 더욱 다차원적이며 이러한 정체성이 추후 그들의 시민적, 정치적 정체성 형성 과정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고 재미한인들의 시민참여 및 정치참여가 더욱 포괄적으로 보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one of the America’s news outlets, The Washington Post has portrayed civic and political identities of ethnic Koreans residing in the Washington DC metropolitan area during the past two decades (1990-2010). Through analysis of 46 articles that focus on civic and political engagements of ethnic Koreans, this study found that The Post has ascribed civic identity ofethnic Koreans as collective actors, insular, lacking interaction with community at large. In portraying their political identity, The Post focused on Koreans’ long overdue involvement in political sphere, their selective participation, and their weak but growing political presence and weight in the local community. These descriptors are more multi-dimensional that previous stereotypes that are used to portray Koreans (or Asian Americans) in the media. However, more comprehensive portrayal is needed as ethnic Koreans are active in civic activities through their local ethnic churches. Contribu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Korean American’ 용어에 대한 재미한인들의 개념 정의 및 내포에 대한 연구

        장안리(Ahnlee Ja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2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들은 약 250만여 명에 달하며 미국으로의 한인이주 역사는 올해로 116년을 맞이하였다. 현재까지 한국계 미국인들을 칭하는 용어로 ‘Korean American’이 사용되어 왔으나 미국 한인사회의 세대교차, 1세와 2세의 타인종/민족과의 혼인으로 인한 혼혈아들의 증가, 입양인들과 3세 이상의 한인들의 증가 등의 원인으로 ‘Korean American’은 인종/민족적으로, 세대적으로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rean American’이 생각하고 있는 용어의 정의 및 내포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을 사용하여 용어의 정의 및 내포를 귀납법적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개념에 대한 정의는 추후 한국계 미국인 관련 연구뿐 아니라 재외동포정책에 있어서도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year 2019 marks the 116th year since the first group of Koreans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Today, there are approximately 2.5 million Korean Americans living in America. The term “Korean American” has been used to refer to Koreans living in America, yet, as the group reaches its 3rd generation, Korean American adoptees and multi-racial Korean Americans are on the rise as result of an increase in inter-racial marriage among 1.5 and 2nd generation Korean America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examine the current definition of the term, Korean American. The current study examines how those who identify as Korean American make meaning of the term, and whom they consider to be included in the definition. Findings of in-depth interviews and a surve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the term remains relatively narrow, and that the scope needs to be further expanded to include Korean American adoptees, the 3rd generation and above, multi-racial Korean Americans, and others. Implication an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제도 및 정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미디어의 영향 중심으로

        장안리 ( Ahnlee Ja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 자녀 관련 법적 제도 및 정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인식 형성에 매체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서울과 충청권에 있는 1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 이들과 관련된 제도 및 정책들에 대한 의견, 인식 형성에 있어 매체의 영향 및 다문화공존에 대한 생각들 및 방향성을 소그룹 인터뷰(FGI)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다문화가정자녀들과 동시대에 살며 경쟁상대, 또래 집단으로 성장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인식은 상당부분 매체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사회의 약자, 시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동일시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법적인 권한이나 의무에 있어서 특별한 혜택 없이 선주민 자녀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신들과 “다름”에 의해 사회에서 주변화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로 거듭나는 것이 시급하며 그 해결책의 일환으로 ‘사이문화’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 ways in which nativ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their legal rights, and government policies that effect them. Specifically,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3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asked participants how they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policy and legal right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what they make meaning of Korea a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findings show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vided perception on multicultural children. They were found to perceive multicultural children socially marginalized minority and object of compassion because of the ways media has framed multicultural families, yet, at the same time, they were found to perceive them as their competitors because of competitive job market. In terms of perception on policy and legal rights,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have the same legal rights as Korean native children; equal responsibilities and benefits, no less and no more. In order to prevent multicultural children from becoming perpetual minority in Korea, participants suggested “in-between culture”, a combination of salad-bowl and melting-pot approach, which respects individual uniqueness and diversity.

      • KCI등재

        아시아계 미국인 가족의 의사소통 패턴에 미치는 영향분석

        장안리(Jang Ahnle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가족 의사소통 패턴 체계에 따른 아시아계 미국인 가족의 의사소통 패턴이 자 녀의 의사소통 행동 및 심리사회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개인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아시아계 미국인 자녀와 이민 1세대 부모로 구성된 가정의 의사소통 패턴은 1)자녀의 내적 정체성 갈등 2) 자녀들에 의해서 제한된 부모의 역할, 3) 조원을 원 치 않는 자녀들, 4) 조언을 해주고 싶은 부모들, 5) 부모의 일방적인 아시아적 의사소통 유형 및 6) 자녀들의 소극적이고 회피형의 의사소통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조지형적 가족 의사소통 패턴이 자녀의 정체성 및 의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다는 점 을 발견하였으며 아시아계 미국인 자녀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을 방안 및 후속연구를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ways in which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of Asian-American families influence communication and psychosocial behaviors of the children.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s with 17 Asian-American young adults reveal various communication issues between them and the first generation parents. First, the study found that communication patterns of Asian-American families are influenced by 1) the children’s internal identity struggle; 2) parents’ limited roles in the family; 3) children’s unwillingness to seek advice from their parents; 4) parents’ willingness to give advice; 5) parents' information-oriented and “Asian” communication style; and 6) children’s avoidance and passive communication style. Findings revealed that children’s identity issues and their willingness to maintain a conformity-oriented communication style play a role in shaping Asian-America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mental health of young adult Asian Americans who have family communication problems, and offers suggestion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Public Relations Undergraduate Education How is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 Being Continued?

        Ahnlee Jang(장안리)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2

        지난 30여 년 동안 국내의 홍보학문은 커리큘럼 측면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가지고 온 다양한 기술 및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다양화를 직면하고 있는 현재 국내의 홍보학 커리큘럼의 현황 및 방향성을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 이론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홍보’라는 용어가 학과 명칭에 포함되는 33개의 국내 홍보학과의 커리큘럼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현재 국내 홍보학 커리큘럼은 현재와 미래를 준비시켜 주고 있으며 타 인접학문을 홍보학문과 연계하여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윤리와 관련된 수업은 부족하며 광고수업에 비해 PR이론 및 실무 수업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학교에서 홍보학과는 경영대와는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이론을 사용하여 현재 33개 홍보학과의 커리큘럼을 수업단위로 분석한 것과 앞으로 홍보학문의 커리큘럼을 보완할 수 있는 제안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Public relations undergraduate programs in Korea experienced much growth during the past 30 years. Quickly advancing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channels call for examination of current status in PR education and discussion on future direction of the pedagogy. Based on the Communication Continuum Theory of Public Relation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33 programs to explore how 5 principles in public relations education are being implemented in undergraduate programs in Korea. Finding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need of more emphasis on ethics; on the right track in preparing students for the present and future; all programs teaching other academic disciplines; limited PR theory and applied courses compared to advertising and media/journalism/broadcasting courses; and PR program positioned far away from business/management schools. Discussion on current status of PR studie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in case of Korea are discussed, followed by limitations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Korea’s Policy on Overseas Koreans: Factors that Strengthen Korean Americans’ Sentiment towards the Motherland

        Ahnlee Jang(장안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한국 정부의 주요 해외 공중 집단 중 하나는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로서 정부는 이들을 인적자원으로 인식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재외동포정책을 수립하여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동포 자녀들에게 민족주의 제고를 위해 한국어 교육지원 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지원사업의 대상인 재미한인들이 한국어학교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경험에 의거한 생각과 효과를 탐색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재미한인들에게는 한국어 학교 보다는 부모님이 가르쳐 준 한국 문화 및 가치 그리고 직접적인 한국 문화체험이 한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한국 혈통으로서의 자부심을 형성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본인들도 한국문화 및 언어를 더 배울 뿐 아니라 추후 자녀에게도 계승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동기부여는 전반적으로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한국문화에 대한 평가가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으로 재미동포와의 관계발전을 위한 재외동포 정책 방향 및 차세대 재미한인들을 위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Since Kim Dae-jung’s administra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policy for overseas Koreans to provide nationalism education to their descendants. While the policy is still in effect today, as to how the recipients of the support in the USA make meaning of the programs given much changes in the social climate in respect to Korean culture, has not been examined in-depth. Therefo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Americans,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the recipients of the educational program perceive policy on education program towards Korean Americans and whether it has strengthened their nationalism or sentiment towards motherland. The study further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ir sentiments towards the motherland as identified by Korean Americans. The findings show that exposure to the culture and parents’ teachings of the Korean values have helped them embrace Korean heritage. Moreover, findings revealed that their sense of Koreanness were due to positive memories from visits they had when they were young and changes in Korea’s status in the global arena.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y and suggestion for specific programs for Korean Americans,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성폭력 근절 공공 캠페인 기획을 위한 방향성 모색

        임연수(Lim, Yon Soo),장안리(Jang, Ahn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4

        이 연구는 성폭력 범죄(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관련 언론 보도와 대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성폭력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성폭력 근절 공공 캠페인에 대한 바람직한 기획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성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적 인식과 여론을 살피기 위해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한 의미 연결망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기존 사회 통념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대학생들을 주요 공중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언론과 공중 모두 성폭력 범죄를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 등의 세부적인 형태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사회가 성폭력을 심각한 인권 침해 범죄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처벌 강도와 수위에 따라 분리된 문제들로 나누어 살피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폭력 범죄에 대해 남성은 가해자이고 여성은 피해자라는 성별 차이에 따른 차별적 인식을 나타냈다. 이러한 성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성범죄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폭력 근절 캠페인 기획 방향은 성폭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과 피해자 중심의 인권 교육 강화에 초점을 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focus on sexual violence and suggests ways in which more effective sexual violence prevention public campaign can be delivered. For this objective, media coverage of 13 major Korean news outlets were examined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By focusing on how news have covered issues concerning sexual violence from 2010∼2017, we sought to examine key terms, concepts, ways in which news have framed topics related to sexual harrassment, sexual assault and sexual violence. In addition, by examining how 34 college students make meaning of sexual violence we sought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edia as well as how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sexual harrassment, sexual assaults and sexual violence. The results of media coverage indicate that the media differentiates between the 3 terms and women, law, polic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indicating all 3 terms are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revealed that participants understood 3 terms to be different, moreover, they suggested society’s high tolerance on sexual harrassment and assault to be problematic, also adding that ways in which media covers these issues has influence on secondary damage. Specific ways to bring more effective sexual assault prevention campaig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