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탐구 경험을 촉진하는 온라인 메이커 교육의 사례: 초등학생의 흥미,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장신호(Jang, Shinho)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4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 경험을 촉진할 수 있도록 현미경으로 작은 세계 관찰하기, 빛으로 움직이는 크로마토그래피 나비 등 탐구 기반 온라인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활동 내용 및 탐구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네이버 카페에 업로드된 학생들의 댓글, 질문, 교사와의 대화, 그리고 학생들의 탐구 결과 기록 및 사진/동영상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온라인 프로그램에 대해 재미있다, 신기하다 등 단순한 흥미를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일부 학생들의 경우 과학 주제의 내용과 과학 원리를 찾아보고 추가 탐구를 계획하는 등 단순 흥미 이상의 탐구적, 과학적 흥미를 보였다.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을 온라인 프로그램 상에서 나눈 대화 내용으로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 유형은 실험 진행을 위한 단순한 질문, 실험 실패의 원인에 대한 문의 등 기계적 수준의 질문에 한정되는 특징을 보였지만, 과학적 개념 이해를 위한 논의나 탐구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기대 효과와 나이 어린 학생들의 과학 탐구 경험 촉진을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inquiry-based online maker education programs, such as small world observation and light-driven chromatography butterflies, to promo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exploration experienc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For this study, the activities and inquiry proces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online maker education program were analyzed; students comments, questions, and conversations with teachers were uploaded to the Naver café; and students inquiry results, records, and photos/video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students expressed simple interest in online programs, but some students demonstrated scientific interest, such as finding the contents of scientific topics and scientific principles and planning additional exploration. An analysi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s with conversations conducted on online programs demonstrated that students interactions were limited to mechanical-level questions such as simple questions for experimental progress and the cause of experimental failure, while discussions and inquiries were very limited. Based on these analyses, the importance of online programs to promote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s for younger students was discussed, along with the expected positive effects of online mak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연소의 과학적 모형형성 수업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징

        박현주,김혜영,장신호,심영숙,김찬종,김희백,유준희,최승언,박경미,Park, HyunJu,Kim, HyeYeong,Jang, Shinho,Shim, Youngsook,Kim, Chan-Jong,Kim, Heui-Baik,Yoo, Junehee,Choe, Seung-Urn,Park, Kyung-Mee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4

        이 연구는 연소의 과학적 모형형성 수업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문화적, 언어적 상호작용, 토론유형도(map)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중학생의 연소에 대한 모형형성 과정을 사회적 상호작용 측면에서 CLEQ (Cultural Learning Environment Questionnaire)를 살펴보고 모형형성 측면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토론유형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문화적 특징은 경쟁보다는 협동 측면에서의 집단주의를 선호하지만 과학학습 태도는 타인의존적인 경향이 높고, 모형형성 과정에서 스스로의 의견을 소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은 모형형성에 관련된 지식을 단순하게 제시한 형태가 많았고, 상대방의 의견에 대한 반응과 피드백을 하는 메타인지 영역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토론유형도는 특정한 학생에 의존하여 의견제시만 하는 개념제시 상호작용과 응답진술을 반복하며 이루어지는 반응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견교환 할 때 새로운 의견제시, 수정, 근거를 들어 설명하는 등의 정교화 상호작용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는 모형형성에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이해와 우리나라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교수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action on cultural aspects, verbal interaction, and discussion maps in scientific modeling instruction on combustion in middle school. Revised-CLEQ (Cultural Learning Environment Questionnaire), verbal interaction framework, discussion maps analysis were implemen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study follow respectively. First, the characteristics on cultural asp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in terms of collectivism. Students' attitudes to learning science tended to depend on others' idea, and students were passive and reluctant to present their comments when they were modeling work. Second, for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they simply presented knowledge related to build a model. The response to comments and feedback was relatively few. Third, discussion maps showed a lot of interaction for reponses that was alternatively brought the concept of commenters, which students were depended on a specific one, and responses. There were not many interaction for elaboration, which were described to have new presented ideas, corrections, and reasons when they exchange their ideas. In this study the model type of interaction affecting the formation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and in our country, it makes a lot of social interactions as the basis for teaching system could be utilized.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기반 학습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과정, 전자석 개념,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정윤(Lee, JungYoon),장신호(Jang, Shin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esign-based learning program for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program effects on the students’ interaction process, conceptual change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program topic was ‘Electromagnet crane,’ in which engineering design was used to teach students electromagnet concepts such as the methods of making strong electromagne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27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in the DBL program, several features are appeared. For example, students discussed actively and shareed their various creative ideas in more active ways throughout the whole reseach sessions. They also acquired scientific concepts through this classroom discussion and produced the interesting forms of various shapes of electromagnet cranes. Particularly, this DBL class faclitated students particiaptions to promote their scientific attitude as well as interest in science. This DBL process took a meaningful role to help students perform interest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verall science class. The implications to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 for students’ creativit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수업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해 공학적 설계를 활용하는 디자인 기반 학습(Design Based Learning: DBL)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의사소통 과정, 전자석 개념,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DBL 기반의 ‘전자석 기중기 설계’ 프로그램을 서울 S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27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전자석 개념 검사와 과학 태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의 의사소통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 동안의 대화, 설문지, 인터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모둠원과 함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DBL 수업 과정 동안에 학생들 사이에 활발한 토의 와 상호작용이 진행되었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공유 및 발전하는 과정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스스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여 자발적으로 수업에 임하였으며 반복 수행을 통해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해 나가는 문제 해결 과정을 보였다. 또한 DBL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전자석 개념 이해 과정에 긍정적인 향상이 나타났으며, 연구 과정 동안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더욱 창의적이고 다양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디자인 기반 학습을 통해 학생이 주체가 되어 실제로 디자인 과정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을 해보는 경험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과학적 태도를 기르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창의적 문제 해결을 촉진하는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과학교육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각화 활동 분석

        김지수 ( Kim Jisoo ),장신호 ( Jang Shinho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7 초등과학교육 Vol.36 No.1

        Cultivating creativity is one of the goals in science education.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students use visualization while they solve the creative science problem and it looks helpful to make them think more. For this study three 6<sup>th</sup>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in the consideration of pre-test through the qualitative think-aloud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even though students have many ideas in planning stage in problem solving, they appeared to visualize familiar and empirical ideas at first. So if teachers want to watch another creative ideas, they tended to give enough time to visualize many ideas. Students drew lines, circles, “X”marks to select or remove information during their problem solving works. They said these marks seem to be useful to understand question. However, removal marks sometimes turn out to block another chance to re-think. Also students did not have a chance to reflect what they did. It means that they lose the chance to do convergent think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importance of students` visualization works to facilitate their creative ideas and support their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meaningful messages for teachers who construct science classroom for creativity.

      • KCI등재

        협력적 과제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기후변화 캠프 사례에서의 학습 성공 요인

        주은정(Eunjeong Ju),장신호(Shinho Jang)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과제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기후변화 캠프 사례에서 학습자들을 학습 성공으로 이끄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기후변화 캠프에 참여한 초등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참가자들의 생활과 학습을 가까이에서 관찰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기후변화 캠프에서의 학습성공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전 과제수행력, 팀 구성원과의 교우 관계, 사전 기후변화지식은 협력적 과제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기후변화 캠프에서의 환경소양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SUP>2</SUP>=.534). 몇몇 팀의 세부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환경소양 증가가 뚜렷했던 팀들에서는 낯선 팀 구성원 간에 관계를 유연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해 각자가 가지고 있는 기후 변화지식 끌어내어 효과적이고 협력적으로 과제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과제수행력 증가에 유효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팀 내 협력과 사전기후변화 지식을 들 수 있다(R<SUP>2</SUP>=.508). 팀별 사례 분석에서 과제수행력이 거의 증가되지 않은 팀의 경우, 팀 내 협력 및 새로운 교우 관계 형성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이 캠프 활동을 통해 겪은 교우간 갈등은 환경 캠프의 학습성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lead learners to learning success in the case of elementary environment educational camps based on cooperative task performance. We conducted pre and post tests on environmental literacy, team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with 78 elementar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mps. We also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teamwork, environmental learning, and mentoring from student-teachers after camp. Additionally, we interviewed student-teachers who closely observed the lives and learning of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pre-team task performance, friendship with team members, and prior knowledge of climate change positively affected environmental literacy (R<SUP>2</SUP>=.534). In the case of the detailed examples of some teams, several efforts made to make the relationship flexible among unfamiliar team members with whom the increase in environmental literacy is evident. They also tried to carry out tasks effectively and cooperatively by extracting knowledge on climate change through various ideas,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in team task performance were team collaboration and pre-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R<SUP>2</SUP>=.508). In the case analysis of each team, the team with little improvement in team task performance showed relatively low satisfaction in team collaboration and friendship.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in camp activities had a negative impact on learning success.

      • KCI등재후보

        가상현실 기반의 과학관 전시물 사례 연구 - 한국, 홍콩, 일본 과학관을 중심으로 -

        이주연 ( Juyeon Lee ),장신호 ( Shinho Jang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0 창의정보문화연구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홍콩, 일본에서 전시되고 있는 가상현실(VR) 기반 과학관 전시물의 현황과 특성을 연구하여 국내 VR 과학관 전시물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과학관 VR 전시물에 대한 선행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3개국 과학관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과학관 VR 전시물은 오락적 놀이와 신체활동을 하는 것을 목표로 두는 전시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일방향적인 관계의 전시물이 많았다. 홍콩 과학관 VR 전시물은 우주, 항공, 환경과 관련된 전시물들이 57%로 많으며 상호작용적인 쌍방향적 관계의 전시물이 많았다. 일본 과학관 VR 전시물은 환경과 에너지, 로봇과 관련된 전시물이 많았으며 상호활동적인 쌍방향적인 관계의 전시물이 많았다. 또한, VR 전시물 분류 결과로 도출된 4가지의 특성을 바탕으로 향후 가상체험 과학관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제안점과 우리나라 VR 과학관 전시물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pres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VR exhibits currently exhibited in Korea, Hong Kong, and Japan were studied to derive the improvements in the domestic VR exhibits. The previous literatures on VR exhibits at Science Museum were reviewed and online and offline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compar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VR exhibits at Science Museum in Korea turned out to focus on interest and fun rather than containing scientific content, and exhibits aimed at recreational play and physical activity. The Hong Kong Science Museum VR exhibits are more physically targeted exhibits than the cognitive target exhibits. In addition, at the Japanese Science Museum, there are many exhibits aimed at the physical target exhibits. As the result of classifying VR exhibits into the similar type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m into four characteristic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KOREA VR museum exhibi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오비탈과 원자 모형에 대한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

        임희준(Heejun Lim),장신호(Shinho J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오비탈 및 원자 모형에 대한 이해, 오비탈과 원자 모형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오비탈 개념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80% 정도의 학생들이 오비탈을 전자가 발견될 확률을 나타낸 함수 또는 공간 영역으로 적절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원자 모형에 대해서는 약 60% 정도의 학생들이 원자핵을 중심으로 한 공전 운동으로 원자핵 주변의 전자 운동을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오비탈에 대해서는 적절한 개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비탈이 현대의 원자 모형을 설명하는 개념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65% 정도의 학생들만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들 중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보어 모형과 오비탈 모형이 혼재된 형태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오비탈 개념이 화학 결합 및 분자 구조 등의 이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30% 이상의 학생들이 오비탈 개념이 다른 화학 개념의 학습이나 이해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오비탈 개념 학습을 과학 지식의 발전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학생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과서나 화학 수업에서 오비탈 개념이 다른 관련 개념과의 관련성 및 과학의 발전에서 지니는 의미 등을 토대로 지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orbitals and the atomic mod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examined students' perceptions of usefulness of the orbitals concept. The results revealed that around 80% of the students understood orbitals as mathematical function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electrons or areas that electrons could be found. However, around 60% of the students explained the atomic model as the electrons revolving around a nucleus.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understood orbitals appropriately, only 65%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orbital model is the contemporary atomic model. The students recognized the atomic model as a hybrid model of Bohr's model and the orbital model. Despite the close connections among the orbital concept and other chemical concepts, such as chemical bonding, molecular structure, etc, over 30%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orbital concept was not helpful for learuing other chemistry concepts and understanding. Moreover, there were few students who appreciated learuing the orbital concept in relation to learuing of the nature of science/scientific knowled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orbital concept need to be taught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chemical concept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KCI등재

        초임교사의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 실행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윤정(Yoonjeong Lee),조현희(Hyunhee Cho),장신호(Shinho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This study explores the motiv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to implement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in science class, the difficulties they face during the implementation, and the internal and experiential factors that led them to continue their practice despite the recognized difficultie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wo no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racticed CPS in their science class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ir positive memories about the science class and the science-related experience that they went through in childhood motivated them to choose science education as a major; and it led them to specialize science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whereby they came to have interest in and even decided to practice CPS in the classroom setting. The reasons why the teachers became most interested in CPS were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a good science instruction. However, despite such motives,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while implementing CPS in their science classes. During the four stages of CPS,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identifying problems that promote creative thinking and that are relevant to the students’ daily lives (the 1st stage); promoting the students to create and design their own ideas (the 2nd stage); mediating conflicts among the students (the 3rd stage); and establishing standards and methods for evaluating the students’ CPS skills (the 4th stage). Some of these difficulties were overcome during the class, but some had remained as they were. However,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the teachers’ ongoing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practices enhanced their beliefs in the effectiveness of CPS for their students and themselves and helped them construct the meanings of the CPS-centered instru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을 실행하게 된 동기와 실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업 실행을 지속하도록 이끄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을 실행한 두 초임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교사가 유년시절에 경험한 긍정적인 과학수업 및 체험 활동은 학부시절 과학교육을 전공하게 된 강력한 동기가 되었으며, 이는 대학원시절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을 접하는 계기로 이어졌다. 두 교사가 다양한 과학수업방법 중에서도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에 관심을 갖게 된 데에는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신념 등과 같은 내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두 교사는 수업을 실행하면서 수업 단계별로 여러 어려움을 겪게 된다. 1단계에서는 문제를 선정하고 학생들이 문제를 자기화하도록 돕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2단계에서는 아이디어 생성과 설계를 촉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3단계에서는 아이디어 수렴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생 간 갈등을 중재하는 데, 4단계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를 위한 기준과 방법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수업 과정에서 일부 극복되기도 하였지만, 교사의 ‘감내하기’로 남는 경우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업실행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인식한 수업의 효과와 의미는 수업을 지속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 각 단계에 필요한 교사역할을 탐색자, 촉진자, 중재자, 평가자로 상세화하고, 단계별 어려움에 대한 극복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창의적 과학문제해결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환경 분야 SSI 발생 및 해결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해관계

        주은정(Ju, Eunjeong),이윤정(Lee, Yoonjeong),장신호(Jang, Shin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 분야의 SSI 발생 및 해결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생태계 간의 이해관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환경 분야 SSI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은 갈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도시 2개 학교와 중소도시 2개 학교 초등학생 489명을 대상으로 SSI 발생 상황과 SSI 해결 상황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은 환경 문제가 발생한 상황 및 해결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인간과 생태계간의 이해관계에 대해 가해자는 인간, 피해자는 생태계로 생각하는 등 다소 편향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과학관련 사회적 문제로 인한 피해 또는 문제 해결로 인한 혜택이 최종적으로 인간에게 돌아온다는 것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동식물 또는 생태계만이 피해자 또는 수혜자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초등학생들(95.64%)은 실제 개인 혹은 집단 간 이익 추구를 위해 환경문제에 대한 갈등이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음 인지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4.36%의 학생들만이 기업과 환경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개인 및 사회 간의 갈등 상황을 표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perception about the relationship of stakeholder in environmental socio-scientific issue. Thus, we aimed to inquire their perspectives on th conflict in environmental SSI. For this study, we collected the drawings from 489 children in 4 cities and analyzed them. The results are these. First, the students perceived the relationships of humans and nature from a biased point of view. They tended to think that human is destroyer and the nature is victim. That means most student’s didn t perceive humans can be victims of environmental problems. Second, most children(95.64%) could not recognize the conflict in environmental SSI. Only 4.36% could perceive the strife in environmental problems though that is more complicated and complex in society.

      • KCI등재

        ‘수직농장 설계하기’활동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창의적 아이디어 분석

        박선우 ( Seonwoo Park ),주은정 ( Eunjeong Ju ),장신호 ( Shinho Jang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0 생물교육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ve ideas genera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design-based learning. For the study, two group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D were selected. They conducted 'Designing a Vertical Farm' program, a design-based learning program which was restructured the 'Life and Environment' unit. We observ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generating creative idea. As a result, the teacher's creative idea generation process has emerged at all stages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finding, researching, designing, building, and evaluating problems). The process of generating ideas at each stage is non-linear, which was returning to the previous stage or two or more processes were compounded. The design- centered idea generation group (A) and the build-centered idea generation group (B) showed differences in the idea generation process. Group A had enough time to design through designing with feedback and sufficient consensus to elaborate the idea appeared. However, group B had more enough time to build for making, testing, and revising. Since the group A had a long time to elaborate and the idea consensus, the production time was insufficient, the group B had a lot of trial and error and correction processes in the production stage because design ideas were not completely agreed and confirmed. The teachers’ conversations design-based learning were meaningful, which showed active feedback to elaborate id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