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 창의성의 개념화와 타당한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다차원적 실증 연구

        장성복(Chang, Sung Bok),조경식(Cho, Kyoung Sik),이철영(Lee, Chull 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실무적 학술적 접근이 거의 없었던 웹 콘텐츠와 관련한 크리에이터의 창의성 개념과 척도 확장을 제안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전통적 창의성 연구 문헌들과 웹 디자이너에 대해 고찰하고, 웹 콘텐츠 관련 전문가들의 심층적 면접조사를 통한 인사이트를 종합한 후, 적절한 타당성 점검과정을 거쳐 확장된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의성 척도를 제시하였다. 국내 웹 제작 관련 회사 크리에이터들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통해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웹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의성 측정 문항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도출한 창의성 요인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현직 웹 콘텐츠 크리에이터 311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통해 얻어진 측정항목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연구결과, 전문적 소양과 창의적 행동의 두 가지 요인들로 창의적 행동 4개 문항과 사전조사를 통해 검증된 전문적 소양 6개 문항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conceptual background and clarification for web content creator"s creativity and to mak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measurement of the creativity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literature. Specifically, traditional studies and theories of creativity and web designer are reviewed in order to set up an in-depth interview instruments for, eventually, building up measurement inventory that is to be tested for its validity. Research subjects of 311 are web related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llowing online survey for the validification of the earlier developed measuring instruments. The results are in accordance with the outcomes of the in-depth interview, and two factors are extracted, professional qualification and creative behavio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in conclusion.

      • KCI등재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추천의도 및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친근감이 미치는 매개효과 연구

        장성복 ( Chang Sung Bo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최근, 가상 인플루언서의 등장으로 광고, 드라마는 물론, 음반까지 문화산업 전반에 걸쳐 활동영역을 넓히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진정성, 매력성, 호기심)이 추천의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추천의도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친근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진정성, 매력성, 호기심)이 추천의도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추천의도 및 재방문의도와의 관계 모두에서 친근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친근감’이라는 인간 고유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이를 가상 인플루언서에게 제대로 전이시킨다면 이용자의 행동 강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함께 제공한다. In recent years, with the advent of virtual influencers, the academic approach to thi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with the expansion of activities throughout the cultural industry, including advertisements, dramas, and record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uthenticity, Attractiveness, and Curiosity)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o see if Friendlin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uthenticity, Attractiveness, and Curios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Recommendation and Revisit Intention, and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iarity was confirmed in both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mmendation and Revisit Inten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understanding human's unique emotion of Friendliness and properly transferring it to virtual influencers affects user behavior reinforcement.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공연예술의 온라인 여론 분석

        장성복 ( Sung-bok Chang ),성열홍 ( Youl-hong S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7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내 공연예술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새로운 문화 한류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연예술을 향유하는 사람들의 온라인 여론의 흐름을 파악하고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온라인 여론에 대한 활용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3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블로그, 뉴스, 카페, 웹문서를 통해 수집된 572만개의 데이터를 소셜데이터 분석 솔루션 ‘티버즈(TIBUZZ)’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공연 글 수, 조회 수, 공연의 규모, 출연자의 공연별 언급량 등을 조사하여 공연에 대한 만족도의 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공연예술 언급의 점유율은 콘서트, 뮤지컬, 연극, 발레와 오페라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연예술에 대한 공연별 월별 언급량의 추이는 블로그, 뉴스와 카페, 지식인 순으로 나타났으며 콘서트와 같이 공연규모가 클수록 언급량(관심도)과 긍정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에 대한 감정분석결과 공통적으로 만족과 기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공연에 대한 언급량에 따라 티켓판매 매수 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공연예술산업에 대한 온라인 여론을 활용한 기초자료로서 실무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연예술에 대한 온라인 여론 평가의 기준을 새롭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performing arts in South Korea and the new Korean Wave, this study investigated online public opinions among people who enjoy performing arts and proposed a way to utilize the online public opinion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Methods For the study, 5.72million data collected from blogs, news, forums, and web documents from January 2013 until December 2015 were analyzed by using the social data analysis solution TIBUZZ, an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based on the number of relevant posts, views, and number of references to performers by show. Result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type of performance was concert, followed by musical, play, ballet, and opera in the order and the amount of references to performing arts by channel was largest in blogs, followed by news, forums, and Q&A site. And larger-scale performances like Concert had higher amounts of references (interest) and positive feedback(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entiment analysis related to the performance showed higher percentages of satisfaction and joy,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ickets sol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ntioned. Conclusion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online public opinion on performing arts and propose practic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as well as new criteria for evaluating online public opinion related to performing arts through social big data.

      • KCI등재

        웹 디자이너의 창의적 성향이 직무만족과 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장성복(Chang, Sung Bok),이철영(Lee, Chull 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급속히 발전하는 웹 산업의 발전 속에서 웹 디자이너의 창의적 성향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개인 창의성 연구와 이론의 연장선에서 웹 디자인 직무환경에 적합한 웹 디자이너 창의성을 측정하고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인식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250명의 웹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웹 디자이너의 창의성은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문적 소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고 창의적 행동은 직무만족을 높이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전문적 소양이 높을수록 직무성과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창의적 행동 성향이 직무성과 인식을 높이는 주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웹 디자이너의 창의성은 조직이 이루고자하는 성과와 디자인 직무 수행에 있어서의 개인의 만족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 중요한 변인으로 디자이너 개인 스스로가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후천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하며, 더불어 기업에서도 효율적인 인재운용과 관리 그리고 성과 측면에서 크리에이터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re has been very few studies on the creative traits of designers in the web production industry despite of its fast development. This paper intends to measure web designer’s creativity and delves into its relationship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job achievement. Based on the relevant theories and past studies, we tested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a survey research on 250 web designers. As results, web designer’s creativity positively affects both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job achievement, and professional competence relates positively to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job achievement as well. Behavioral part of creativity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In general, web designer’s creative trai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signer’s intrinsic variables and their work on the job. This study has results that imply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efforts and continuing training for enhancement of the creativity for a better creative services.

      • KCI등재

        브랜드 경험의 매개역할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UX)이 사용자 만족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성복 ( Chang Sung Bo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스마트폰 제조사 브랜드들은 매년 새로운 스마트폰이 나올 때 마다 업그레이드된 UI(User Interface)를 선보이며 경쟁사들과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새로운 스마트폰 UI를 통해 목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험들을 축척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은 수용자의 자극정도에 따라 인지과정에 중요한 결정 역할을 하며 새로운 경험을 통해 사용브랜드에 대한 경험을 형성하게 되고 사용 후 만족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 만족 및 태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사용자 경험이 브랜드경험을 매개로 사용자 만족과 사용자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용자 경험요인인 사용자만족경험, 유용적경험, 디자인만족경험, A/S만족경험 모두 사용자 만족과 사용자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자 만족은 사용자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은 브랜드경험을 매개하여 사용자 만족 및 사용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스마트폰 UI설계 시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 요인들을 고려한 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브랜드와는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용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경험 연구와 마케팅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The smartphone manufacturing brands are differentiating their own products from competitors' by showing the upgraded UI(User Interface) whenever new smartphones are released every year. Thus, the users accumulate divers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urposes through new smartphone UI. The user experience plays a crucial role in the cognitive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mers' stimulation. Through new experiences, the experience of used brands is formed, which could have effects on users' attitude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after use. Thu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s of smartphone user experience, user satisfaction and attitude, and also to verify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user attitude with the mediation of brand experienc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ll the user experience factors such as user satisfactory experience, useful experience, design satisfactory experience, and A/S satisfactory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user attitude. Second, the smartphone user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ser attitude. Third, the smartphone user experience had effects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user attitude with the mediation of brand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y of strategies considering the smartphone user experience factors for the design of smartphone UI in the future, an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he brand experience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to increase the smartphone users' satisfaction, and also establishing the marketing strategies and researches on users' experience for increasing the user satisfaction to raise users' positive attitude.

      • KCI등재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과 소비자 태도의 관계: 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장성복(Sung Bok Chang)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3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2 No.11

        최근, 가상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와 브랜드 홍보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 중, 매력성에 집중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을 살펴보고 매력성이 몰입을 매개할 때 브랜드 태도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설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마케팅 콘텐츠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브랜드 태도와 광고 태도의 관계에서 몰입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브랜드 태도와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몰입을 매개할 때도 소비자 태도를 긍정적으로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학문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advertisements and brand promotions using virtual influencer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 including Attractiveness, to examine the Attrac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Attractiveness has an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Advertising attitude when mediated by Immers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marketing contents using virtual influencer, and Process macro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virtual influencer Attract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itude and Advertising attitu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rtual influencer Attractiveness not only affects Brand attitude and Advertising attitude, but also positively increases consumer attitude when mediated by Immersion. This study ha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on the effect of virtual influencer Attractiveness on consumer attitud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