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 대상 교수설계 기반 협력적 수업컨설팅 운영전략 개발

        장선영(Jang, SeonYoung),남창우(Nam, Chang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교사들의 교수설계 및 수업실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수업컨설팅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수업컨설팅 운영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인을 대상 교수설계 기반 협력적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자기수업 분석보고서, 성찰일지,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 결과를 보면, 교수설계 영역에서 수업설계, 교수전략, 시간안배, 수업내용 및 수업자료, 참여유도, 동기유발 및 평가 영역에서 인식이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실행 영역에서는 수업안내, 질문 제공 및 교사의 발언과 태도에 관련된 인식이 변화되었다. 둘째, 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수설계 및 실행 측면에 서,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셋째, 예비교사 대상 협력적 수업컨설팅의 운영전략이 (1) 수업설계 및 실행을 위한 미니 강의 제공, (2) 협력적 수업컨설팅 기회 제공, (3) 수업시연 기회 확대, (4) 교수설계기반 수업컨설팅 실시, (5) 성찰기회 확대, (6) 온라인 컨설팅 제공 측면에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nagement strategie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by analyzing th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practice, and the satisfac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ctional design-based collaborative instructional consultation program, and applied it to 5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ir self-reporting reports for instruction, reflection journals, and the results of surve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have been changed about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allocation of teaching hours, instructional contents, and participation facilitation, and motivation in the domain of instructional design.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ve been changed about course introduction, the offering of questions, teachers’ attitude and announcement in the domain of instructional practice.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ly positive responses of both satisfa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practice.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instructional design-based collaborative instructional consultation should include the offering of 1) mini-lecture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practice, 2) learning experiences of collaborative instructional consultation, 3) increased opportunity of instructional practice, 4) management of instructional design-based consultation, 5) increased opportunity of reflection activities, and 6) online consultation.

      • KCI등재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연구

        장선영 ( Seonyoung Jang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팀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촉진하는 스캐폴딩 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캐폴딩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문헌 분석 및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타당성 검토가 수행되었다. 둘째, 팀기반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팀기반학습 수업을 수강한 54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검사가 수행되었다. 팀기반학습을 마친 후 학업성취도 점수를 도출하였으며,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함을 설명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성찰일지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팀기반학습 주요 단계별 스캐폴딩 전략과 팀기반학습 전체에 적용될 수 있는 37개의 스캐폴딩 전략이 개발되었다. 둘째, 팀기반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결과 ‘자기주도학습’ 전체와 하위 요인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문제해결능력’ 전체와 하위 요인인 ‘문제이해 및 표상’과 ‘정당화 및 평가’ 능력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학업성취도 측정 결과 42점 만점 중 평균 30.74점이 나왔으며, 학습자들은 팀기반학습에서 유의미한 학습을 하였다고 언급하였다. 끝으로, 주요 스캐폴딩 전략과 스캐폴딩 전략 사용 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 and validate scaffolding strategies for facilitat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team-based learning (TBL), and (2)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caffolding strategie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l scaffolding strategi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n, the expert review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twic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initial scaffolding strategi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scaffolding strategies was verified. To study the effect of scaffolding strategies on learning outcomes in TBL, a total of 54 college students who took a TBL class participated. Before and after the scaffolding procedure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scores were also examined. The reflective journals of learners were examined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ir academic progress i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7 scaffolding strategies for facilitat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TBL were developed.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caffolding strategy in TBL,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a sub-factor of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oblem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a sub-factor of problemsolving),” and “justification and evaluation (a sub-factor of problem-solving).” The mean of academic achievement was a 30.74 score out of 42. The learners presented their opinion in the reflection journal that they had meaningful learning in TBL.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practitioners on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of TBL.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 교수 역량에 대한 대학교수의 인식변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장선영(Seonyoung Jang),이지안(Jia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수가 블렌디드 러닝에서 요구되는 교수자의 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에서의 블렌디드 러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역량 강화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56명의 교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블렌디드 러닝 교육 전과 후에 블렌디드 러닝 교수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수역량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변화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교육요구를 분석하였다. 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교수역량에 대한 요구는 ‘수업설계’, ‘퍼실리테이션’, ‘커뮤니케이션’, ‘집단지성’, ‘교수 창의성’ 역량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최우선 순위는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에서의 블렌디드러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역량 강화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for conducting blended learning and to explore support strategies that can be helpful in improving the identified competencie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s, first,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ies of blended learning were identified by literature reviews and delphi meetings. Second, a survey was administered with 56 professors at a university in Pusan, Korea. Thir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First, before participating in blended learning education, faculty members perceived ‘instruction design’,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vity’ as core competences for blended learning. In contrast, after participating in blended learning education, faculty members perceived ‘instruction design’, ‘teaching presence’, ‘facilitation’ as core competences for blended learning. Second, the results of an need assessment shows that the educational needs of ‘instruction design’, ‘facilitation’, ‘communicati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were ranked within top five. Specifically, ‘Communication’ was the highest priority in common in both the analysis of Borich need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Conclusions Support strategie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of blended learning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동료 수업컨설팅 사례연구

        장선영 ( Seonyoung Jang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동료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해봄으로써 대학 교수자들의 동료 수업컨설팅 참여 동기를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운영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료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이 개발·운영한 후 교수자 13명이 참여하여 작성한 동료 컨설팅 프로그램 신청서, 설문지, 인터뷰 결과 및 성찰일지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자의 동료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신청한 이유는 교수 및 평가 전략, 수업 내용의 난이도 및 적절성, 교육철학, 학습자의 수업 참여 유도 전략 등에 대한 동료 교수들의 의견 수렴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동료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은 다양한 교수법 습득의 필요성 인식, 교수 설계의 필요성 및 관련 지식습득, 학습자의 수업참여 유도 방법, 교수자의 태도 변화 및 성찰의 필요성 인식 측면에서 효과가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동료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은 오리엔테이션 강화(프로그램의 취지 및 목적, 동료 교수들에게 요구되는 태도 및 역할 등에 대한 구체적 안내), 동료 수업컨설팅 후 신청 교수자의 실천 여부 및 효과 공유를 위한 동료 수업 컨설팅 기간 확대 및 운영 방식의 다양화 (집중 워크숍 및 세미나 등), 외부 전문가와의 연계 지원 및 수업촬영 동영상 적극 활용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의 동료 수업컨설팅 활성화를 위하여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으로 동료 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변화를 위한 방안, 동료 수업컨설팅 효과성에 대한 명확한 규명, 동료 수업컨설팅을 거시적인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 동료 수업컨설팅 정착을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managerial strategies for a peer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For this, a peer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n, professors` needs and the effectiveness of peer instructional consultation program were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13 professors were participated in the peer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and (1) a written application of peer-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2) survey questionnaire, (3) in-depth interview data with professors, and (4) reflective journal were analyzed. Results in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volunteer professors reported the motives of participating in this consultation to be given information on teaching and evaluation strategies, difficulty level of learning contents, and strategies of encouraging students` study, and educational philosophy from peer professors. Second, all participants reported the usefulness of the peer instructional consulting program in terms of perceiving the necessity of teach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the importance of teachers` attitude toward students, and strategies of encouraging students` study. Third, detailed orientation (including the purpose of this program, required professors` roles and specific guides), extension of period for sharing the effectiveness of professors` instructional action in their classroom, diversified management methods including workshop and seminar, linkage between experts and a consulting group, and usage of lecture video recordings for an instructional consulting were emerged as important managerial strategies. Finall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교직 적성 및 인성과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장선영(Seonyoung Ja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8 교육방법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교직 적성 및 인성과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소재한 C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존중, 타인과의 관계, 독립성 및 자주성, 자기주장 순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의 하위변인인 일상적 자아와 타인수용에는 자기존중, 타인과의 관계 변인이, 자기수용에는 자기존중과 지도력과 인기 변인이, 직업.신분적 자아에는 자기존중과 봉사.희생.협동성 변인이, 대 유아관에는 독립성 및 자주성과 타인과의 관계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타인과의 관계 변인은 자아개념의 모든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존중 변인은 대 유아관 변인을 제외한 자아개념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 유아관 변인에서는 독립성.자주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교직 인성 및 적성과 자아존중감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aptitude-personality and self-esteem on their self-concept. For this purpose, 288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self-esteem, and self-concept. The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by conduct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general self-esteem, the social self-peers,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the personal interests. Second, the general self-esteem and the school-academic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the self-acceptance; The general self-esteem and the service-self sacrifi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the self-concept on profession or social position; The general self-esteem and the social self-peers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predict the view on children as the sub-factors of teachers’ self concept. Third, the social self-peers affects on all areas of self-concept. Forth, the general self-esteem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the all of the sub-factors of teachers’ self concept excepts for the view on children. The view on children was mainly affected by the psychological separation variable. Other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학교폭력 가상현실 체험이 예비교사들의 인권감수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홍현미(Hong, Hyeonmi),장선영(Jang, Seonyou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활용 가능한 가상현실 체험을 통해 예비교사들에게 학교폭력 체험을 제공하고 예비교사들의 인권감수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쳤다. 첫째, 학교폭력 가상현실 체험을 위해 사전에 개발된 콘텐츠 8개를 선정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예비교사 45명에게 2주간 학교폭력 가상현실을 체험하게 하였다. 학교폭력 가상현실 체험 사전과 사후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과 인권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학교폭력 가상현실 체험 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인권감수성을 검증한 결과 사전보다 인권감수성 전체 및 인권감수성 하위요인인 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인터뷰 내용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의 인권감수성이 향상하였음을 확인되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인 수업전략, 교실운영, 수업참여 요인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증가하였다. 인터뷰 내용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략, 수업참여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교실 운영에 대한 교사효능감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논의점과 추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pre-service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er efficacy. The research proced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8 pre-developed contents were selected for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econd, 45 pre-service teachers who consented to this study were allowed to experience virtual reality of school violence for 2 weeks. Before and after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Teacher efficac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Third, after experiencing the virtual reality of school violen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e-service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the human rights susceptibility and the three sub-factors of human rights susceptibility which are ‘situation perception’, ‘result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all increas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content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was improv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three sub-factor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which are situation perception ability’, ‘result perception ability’, and ‘responsibility perception 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mproved in the interview.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thre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which are instructional strategies’, ‘classroom management’, and ‘student eng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 s efficacy’,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tudent engagement’ were improved. However, there was no mention of ‘classroom manage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의 차이

        김누리(Kim, Nooree),장선영(Jang, Seonyoung),송청락(Song, Chungra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에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 유형에 따라 자기결정성 및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내에 있는 S대학에 재학생 중 692명의 ‘경험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율형과 의무형 집단에 속한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활동 전 후로 자기결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활동 후에는 추가로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결정성 지수가 떨어졌다. 자율형 집단과 의무형 집단 각각을 구분하여 실험전•후를 비교한 결과 역시 두 집단 모두 평균값이 하락하였다. 특히 의무형 집단의 경우 하락의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만족도에 있어서는 의무형 집단에 비해 자율형 집단이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첫째, 학생들의 자율성이 활동 전후와 비교하여 하락한 것은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보상체제를 외적보상체계에만 의존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지양하고 내적보상을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수자와 학습자 멘토들에게 학습공동체 활동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학습 주제 및 학습활동에 흥미와 관심을 모을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 적용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learning community (an autonomy group and a compulsory group) on self-determin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69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belonged to a compulsory group have had considered their grades during studying. In contrast, the students that belonged to an autonomy group could study without any restriction.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covariance analysis, t-test,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ree things as follows: Firstly, self-determination index of a comparative group is higher than one of a controlled group in significance level. Secondly, self-determination index of the students belonging to both a compulsory group and an autonomy group de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ies. Thirdly,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of an autonomy group is higher than ones of a compulsory group in significance level. Implications that emerged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A successful learning community requires supports to stimulate and sustai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dditionally, continuing monitoring and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mentors are also needed for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Other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사이버대학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체계 수립을 위한 사례 연구

        남창우(Nam, Changwoo),장선영(Jang, Seonyoung),김세리(Kim, Seri),김혜영(Kim, Hyeyoung),강민석(Kang, Minse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 사이버대학원이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역량기반 교육과정 체계를 수립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개발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사이버대학원 교육과정체계 수립을 위한 활동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패널에 의한 단축형 역량 모델링 절차를 따라, 서울 소재의 A 사이버대학원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운영책임자와 내용전문가인 전공별 교수진과 함께, 역량기반 교육과정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역량 산출물을 개발하였다. 해당 산출물은 첫째, 대학원 교육목표와 전공 교육목표의 연계표, 둘째, 전공별 역량도출 및 역량명세서, 셋째, 전공 교육목표, 관련 교과목 및 역량 연계표, 넷째, 전공 역량 및 교과목 세부 연계표, 다섯째, 전공별 역량기반 교육과정 로드맵을 포함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절차와 결과물을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체계 수립을 위한 활동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componen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CBC) in the graduate school of a cyber university, and to develop an activity model for the CBC.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the developed CBCs for A cyber university, Seoul, and developed the competency outcomes with the shortcut method of an expert panel as a competency modeling. The competency outcomes include 1) the matrices showing match betwee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university and those of three individual departments, 2) the department competency profiles, 3) the matrices showing match between the educational objectives for the departments, related courses, and department competency, 4) the specific matrices showing a match between departmental competency and the related courses, and 5) the roadmaps for CBC.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activity model for establishing a system of CBC in the graduate school of a cyber university.

      • 가려짐 예측을 이용한 불완전 포인트 클라우드의 분류 기법

        서보경(Bokyeong Seo),장선영(Seonyoung Jang),오병태(Byungtae Oh)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3 No.11

        본 논문에서는 point cloud 가 가려짐 등으로 일부 정보가 불충분한 상황에서, 객체의 분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요소를 제안한다. Point cloud 를 gridding 하여 3 차원 격자로 배열한 후 가려진 부분을 학습하여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 과정을 통해 모델 스스로 객체에서 가려진 부분을 찾고, 가려짐 영역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가중치를 두어 학습할 수 있도록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구해진 특징 벡터와 가려짐 영역의 벡터를 더한 후 분류하여 가려짐 영역의 벡터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point cloud 의 가려짐 영역을 이해하고, 정확한 분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