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학과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연계.협력사업 구축 전략에 대한 현장 전문가들의 관점 탐색 연구

        장덕호(Deokho Jang),김효선(Hyosun K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과 기초지방자치단체 간 연계・협력을 위한 관련 사업기획의 과정에서 대두되는 핵심적인 이슈들을 발굴하고 이와 연관된 문제점을 심도 있게 파악하여 향후 기초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지역 기반 전문대학 활성화를 위한 혁신 전략이 무엇인가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관련한 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대학 및 기초지방자치단체 소속 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계와 협력을 위한 성공요인으로 전문대학-지자체 간 상호 호혜적 교류와 선행될 필요가 있고, 지역산업체와 지역주민들까지 참여하는 개방적 소통 거버넌스 창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전문대학은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중요하고, 지역 관계자들의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개선과 사업운영의 자율성 확보가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호 협력을 위한 요구분석 시행, 고등직업교육의 본질적 가치 회복, 지구단위 사업의 원활한 시행을 위한 기초 인프라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key issues emerg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related projects for linkage and cooperation between junior colleges and local governments. Also, the research aimed to identify problems, and explore strategies to revitalize the colleges in the future. From it,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xperts and officials belonging to junior colleges and local governments with experience in carrying out related proj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utually beneficial exchanges between junior colleges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precede as a success factor for linkage and cooperation, and that open communication governance needs to be created in which local industries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t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innovative curriculum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values of vocational education of local officials and secure autonomy in the project oper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such as implementing prior need assessment analysis for mutual cooperation, restoring the essential value of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nd establishing basic infrastructure through design as a district-level project were presented.

      • KCI등재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른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사례 비교분석

        하봉운(Bongwoon Ha),장덕호(Deokho Jang),김남숙(Namsook Kim),송지훈(Jihoon Song),유명현(Myunghyun Yoo),명준희(Junhee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복지 운영과정을 비교분석하고 한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 학교급, 학교소재지, 학생 수를 고려하여 8개 대상학교, 16명의 교육복지 담당 인력을 대상으로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은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으며, 인터뷰는 2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CIPP모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과정의 양태는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첫째, 교육복지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양한 교육복지 욕구충족에 초점을 두는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교육복지의 대상 및 범위를 특정계층 학생에게 초점을 두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조직, 예산편성, 배치된 인력의 기능과 역할 등이 체계적으로 조직화 되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제한적인 인력과 조직, 예산의 투입으로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복지사 배치학교의 경우, 학교 내⋅외 협력체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대상 학생 선별, 사례관리, 외부자원과의 연계 등에 어려움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 성과와 관련하여,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학생의 성장, 지역사회의 변화, 교육의 형평성 제고 등을 성과로 제시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학업성취도 향상, 또래 관계 긍정적 변화 등 가시적인 변화를 교육복지 성과로 제시하였다. 결론 단위학교는 모든 학생을 잠재적 교육복지의 대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일상적 교육활동에서의 교육복지 실현을 위하여, 조직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지원팀’을, 내용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사례관리’를, 전문성 기반으로 ‘협업적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 process of educational welfare at schools, identify limit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Methods Considering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and number of students, focus group interview and written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on 8 target schools, 16 school faculties. Written investig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ques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IPP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PP model. Results The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 process of the unit school differed depending on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Fir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tried to realize universal welfare that focuses on satisfying various educational welfare needs for all students,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focused on the target and scope of educational welfare for students of a specific class. Second, mo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departments, budgeting, and functions and roles of manpower,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d difficulty operating due to limited manpower, organization, and budget input. Third, in the case of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various types of support are provided based on the school's internal and external cooperation system,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arget students, case management, and linking with external resources. Finally, regarding the achievements of educational welfare,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student growth, community change,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equity, while non-arranged school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peer relations. Conclusions Schools should view all students as potential targets of educational welfare.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in daily educational activities, ‘integrated growth support team’ should be established or strengthened on an organizational basis, ‘integrated growth case management’ on a content basis, and ‘cooperative governance’ on a professional basis.

      • KCI등재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쟁점과 과제

        이상은(Lee Sangeun),장덕호(Jang Deok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교들이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쟁점과 과제를 고교학점제 연구ㆍ선도학교 자료 분석및 현장 교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연구ㆍ 선도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조사지를 작성하여 각 단위학교에서 학생 선택형 교육과 정의 편성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고교학점제 적용시 선택과목 확대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원 관련 쟁점 및 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선택중심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8개 고등학교 교원 8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당수 학교들은 학생수요조사 및 수강신청시스 템을 도입함으로써 종래 교사중심 교육과정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나 학생 들의 선택이 ‘의미있는 선택’이 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진로지도 및 학생ㆍ학부모의 공감대 형성 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교 중심교육과정 운영 관행을 학생중심으로 근본적으로 전환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고, 앞으로 교원수급 원활화를 위한 자격 제도개선, 수업시수 배분 및, 교사간 업무 형평성 확보, 교사전문성 강화, 교원인사시스템 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organization of selective curriculum in high schools which has already implemented this policy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t issues and tasks in this procedure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this study explored the major features of organizing processes of selective curriculum in 61 high schools implement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by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those schools.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issues and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scopes of selective subjects to cope with students’ choice, especially in terms of teachers’ tasks, b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8 teachers in 8 different high scho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ny school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the teacher-centered curriculum by introducing the student demand survey and enrollment application system. However, career guidance and student/parent consensus formation, which make students’ choice meaningful, are not enough. In spite of much efforts,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fundamentally changing school-based curriculum management practices to student-oriented ones. In the future, improvement of the qualifications system for facilitating the supply of teachers,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class hours, securing equality between teachers, and the personnel system for teach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