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기범,백기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arts song(Li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foreigners. A Korean pop star- PSY has shaken the world with his hit song the “Kang Nam Style”. This became a big motivating factor for Koreans for proudly introducing Korean pop culture to the world. Korean composers have cultivated Korean arts song culture for more than 90 years. Beginning of 20th century, Korea has opened its door to western culture, and since then numerous Korean arts songs were composed by Korean composers. <울밑에선 봉선화: Garden balsam under the shadow>, <명태>(Dried pollack), <그리운 금강산>(Longing for Mt. Keum Kang) are some examples.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now is the right time and moment to share that rich Korean arts song culture with the world. Main problems of sharing that rich Korean arts song culture with foreigners are two kinds, language barrier and lack of well-developed Korean arts so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Since the Korean is not the international language, it is really hard for the foreign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Korean arts song and to sing by listening to it alone. In this study, the writer proposed a carefully planned sequential approaches for world wide spreading of Korean arts songs. And the development of art so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posed procedures of spreading Korean arts songs out the world. Suggested Korean arts so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 consisted of two types of sources, namely text(learning of music) and context(learning about the music and related culture). In the domain of text, music(with Korean and international phonetics text), song Mp3, lyric Mp3, and motion picture of actual performance of the song are included. In the context section, a note for the song, information on composer and lyric writer, meaning of the song, right occasion of singing that song, and other necessary information for learning that song are included. A sample Korean arts song entitled <청산에 살리라: I will live in the deep blue mountain> written by Kim, yeon Jun is given as a model to raise a further discussion on developing Korean arts song teaching material for the foreigners.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가곡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한국가곡은 음악적, 예술적, 문화적 관점에서 세계와 나눌 충분한 가치가 있다. 영어문화권이나 라틴문화권의 노래들이 널리 애창되는 것에 비하여 한국가곡은 세계에 잘 알려져 있는 상태가 아니다. 그 주된 원인은 한글이 국제 공용어가 아닌 것과 체계적인 가곡 자료의 개발이 없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가곡의 세계화를 지향하는 시작점으로 한국가곡을 세계 사람들이 부를 수 있는 자료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어떤 가곡을 우선 선정할 것인가? 자료개발은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가? 어떤 형식/방식으로 제시할 때 자료접근의 수월성이 확보될 것인가? 개발된 자료의 타당성은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 한국가곡 뿐만 아니라 가곡과 연관된 한국의 문화 공유를 위한 이상적인 자료형태는 무엇인가? 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였고, 그에 따른 예시안을 제시하였다.
Charles Everett Gilbert의 제주 관악대 업적에 대한 내러티브와 평가
장기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9
This study deals with a story of Charles E. Gilbert who came to Jeju, Korea in 1952 as an executive officer of UNCAC. In addition to his main duty, Gilbert devoted himself to a tremendous amount of philanthropic work, sowing seeds of band music and naming Jeju as ‘the Isle of Music’. 61 years after he had left the Jeju isle, Gilbert’s work bore its fruit as “20th Jeju International Wind Ensemble Festival, the largest and the most authentic wind ensemble festival and competition in Asia. In this study, Gilbert’s life is reviewed briefly and his educational achievement in Jeju is re-evaluated with broader and professional view. 이 연구는 한국전 당시 유엔 민간원조사령부의 한 장교로 제주에 부임하여 19개월 동안 한국고아원(Korea Orphans Home)을 중심으로 전쟁의 폐허 속에서 4개의 밴드를 창설하고 직접 교육한 찰스 E. 길버트(Charles E. Gilbert, 1912~1998)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길버트의 인류애와 희생적 노력은 2016년 제22회째를 맞이한 제주국제관악제와 제11회째를 맞이한 국제관악콩쿠르의 뿌리로 여겨지고 있다. 필자가 길버트의 딸 다이안 아널드(Diane Arnold)를 찾기까지 길버트의 업적과 공헌은 음악전문가들 조차 모르고 있었다. 우리나라에 알려지지 않은 길버트의 교육적 배경과 전문성의 확인을 통하여 제주에서의 업적을 재조명하였고, 그 시사성을 논의하였다,
장기범,신동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과학탐구활동을 할 때 나타나는 동공크기와 표정변화를 중심으로 인지-감성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교육과정에 근거한 가설생성과제를 개발하여 실험을 진행하며, 실험 참가자의 과학지식생성능력과 과제를 해결 동안 나타난 신경생리학적 및 행동반응을 측정하여 데이터간 상호작용을 밝히고자 한다. 과학지식생성능력은 초등학생의 과학지식 생성능력 평가를 위한 지수산출식을 활용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가설생성능력지수는 다음과 같다. 동공크기 변화는 Eye-tracker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동공 크기의 확장은 인간이 인지할 수 없는 동기부여 상태를 반영하며, 학생들은 그들이 흥미를 느끼는 학습 스타일에서 인지적으로 더 활성화되며, 더 많이 배운다는 것이 동공 크기의 변화를 통해 증명된 바가 있다. 행동반응변화에 대한 데이터는 FaceReader를 활용하여 표정 변화로부터 계산되는 학습 감정을 측정하고자 한다. FaceReader는 얼굴 표정을 분석하여 사람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평가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다. FaceReader는 얼굴 표정을 포함하여 다양한 속성을 숫자와 그래프 등으로 인식하여 표현해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을 하는 동안 나타내는 감정의 변화, 정서적 태도, 각성도, 쾌도, 심박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획득된 데이터는 경로분석을 통해 인지-감성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 연구 결과는 인지-감성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과학탐구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장기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 political phrase launc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Korea (hereinafter, the Ministry of Culture”). Under the penumbra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numerous programs have been executed through the years in places such as, schools, cultural centers, orphanages, child care centers, military camps, and even in prisons throughout the country. Despite the fact that various programs have been executed with a tremendous amount of endeavor to advertis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Culture, most Koreans do not know the definition nor the ident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hosted “2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with UNESCO in Seoul, Korea on May 24-27, 2010. The title of this conference was translated in Korean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word ‘Culture’ was added intentionally. Most Koreans have an agreed understanding or sense of the meaning of Arts education and that of Culture education; however, they do not understand the intension or reasoning behind the Ministry of Culture’s intentional translation of ‘Arts education’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is paper, the researcher has tri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1) reviewing the background of how the phras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formed, and 2) examining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conducted from 2000 to date. The conclusions drawn by the researcher as the following: 1) the term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adap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without any in-depth philosophical or social consideration; 2)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outlined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ing Act’ may ensure legal use of the term, but it still does not form nation-wide understanding of the term. Moreover, the definition is not comprehensive enough to encompass on-going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general; 3) there have been numerous programs assumed under the tit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however, the goals and objectives of such programs are not consistent with one another,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examining these programs; 4) the Ministry of Culture’s approach of defining the meaning of ‘Culture & Arts Education’ by adding various connotation on a piecemeal basis must change. In order to secure the goal of its policy, a more focused and comprehensive definition of “Culture & Arts Education” must be secured first; and 5) thu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lead comprehensive and on-going efforts to secure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enable a better understanding of its policy for Culture and Arts and broader dissemination of the same. 한 나라의 정책은 국민의 공적 이익을 위한 계획이다. 2000년부터 추진된 ‘문화예술교육’은 문광부의 문화정책이다. 정책 추진 후 10년이 지난 현재, 아직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념은 불투명하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의 추진배경과 실적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의 세기를 맞아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민 모두의 예술적 문화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선 실천 후 개념정의를 표방한 문광부의 예술교육정책으로 개념 정리하였다.
장기범,신동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8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가설을 생성할 때 동공크기 변화량 지표의 의미 분석을 목적으로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공이 0.5mm 이상 연속적으로 확장될 때 감정관련 데이터는 어떤 경향성을 보이는가? 둘째, 가설을 생성할 때 동공크기의 확장은 감정관련 데이터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가? 셋째, 가설 생성에 성공한 집단과 실패한 집단의 감정 데이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생성 성공 여부와 상관없이 동공이 0.5mm 이상 확장될 때 valence는 음의 값을 갖고, arousal은 양의 값을 갖는다. 둘째, 가설생성에 성공하고 1~1.5mm의 동공크기 변화량을 보인 경우에는 Action Unit 17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그리고 가설생성에 실패하고 1~1.5mm의 동공크기 변화량을 보인 경우에는 Action Unit 26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 동공크기 변화량이 1~1.5mm일 때 가설생성에 성공한 경우에 Action Unit 17, Action Unit 24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5), 가설생성에 실패한 경우에 Action Unit23, Action Unit 26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들이 가설생성학습을 할 때 나타나는 동공크기 변화량 지표를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보이는 정서적 태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