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특성화 정책 추진 성과와 과제

        임천순(Ihm Chon S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4

        본 논문은 최근 정부가 다양한 형태로 추진해 온 대학 특성화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정책방향과 과제를 탐색해 본다. 먼저 주요국들의 대학 특성화 동향과 사례를 개관해 보고 이러한 특성화 사례가 향후 우리의 특성화 정책수립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향후 우리나라의 대학 특성화 전략으로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의 다양한 정책수립과 방안 마련을 제안한다. The paper is an assessment of the achievement and problems of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y - focusing on various financial assistance to support specialization of universities - implemented by Korean government in the last decade. The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casues of problems and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future policy on higher education in Korea. First, trends and cases of major countries in pursuit of reforms in higher education are reviewed breifly, and implications are drawn for application to Korean context.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policy formulation should be redirected toward global standards, rather than dometic criteria,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Korean universities. The paper also recommends specific measures, including: expanding of graduate professional specialized programs, changing the criteria and method of financial allocation and evaluating funded institutions, deregulating higher education regulations and so on.

      • KCI등재

        대학졸업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관한 연구

        임천순(Ihm Chon Sun),양병무(Yang Byoung-m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졸업 후 직업세계로의 이행과 취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우리나라 우량 대기업 18개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최근 입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주로 개인배경과 학력에 관한 요인들이 취업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 요인과 영어능력 등 국제화를 위한 노력이 대학졸업자들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졸업자들이 노동시장으로 이행할 때에는 개인배경과 학력 요인뿐 아니라 국제적 역량의 강화를 위한 각종 경험과 대학에서의 수업과정 및 학점 등 국제화 제고 노력도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다. 특히 이들 요인은 영어능력, 구직 기간, 국제화 업무배치 등 노동시장 진입과 활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영어 능력의 경우 토익 점수, 독해력, 청취력, 언어소통, 문서작성 능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각각에 유의하게 미치는 요인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학력 요인과 외국어 능력 등 국제적 자질의 제고 노력요인이 대학졸업자들의 노동시장 이행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Recent increases in graduate unemployment is a serious social issue which concerns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focused on selection practice of major Korean enterprises which employ large number of recent college graduates. For this purpose, we sampled 684 recent graduates employed in 18 of 100 major firms in Korea in 2006. The results show that educational credentials and global skills(or competencies) such as English language skills play important roles in STWT and employment ofuniversity graduates. Prior literature shows person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credentials as having main influence on graduate employment. However, results of this study show employment preparation and global skills such as English language ability play important roles in graduates' STWT and employment success. In the process of STWT, personal background and credential variables, as well as experiences and curricular exposure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etence (or global skills) play significant roles. These variables, in turn, exert influence on English language competence, period of STWT (job search). Further, specific aspects of English language skills, such as TOEIC score, comprehension level, listening ability, conversation skills, and English writing ability have varying degrees of influence.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iversities in preparing students for employment in the Korean labor market.

      • KCI등재

        교육재정과 학교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임천순(Ihm, Chon-Sun),고장완(Ko, Jang-Wan),김진영(Kim, Jin-Yeong),이광현(Lee, Kwang-hyun),이수정(Lee, Sooje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교육투입요소와 학교교육과정, 그리고 성과자료를 이용하여 학교교육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학교교육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의 기본 특성과 교육재정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학교는 에듀데이타에 나와 있는 2,252개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학교특성관련 변수에서 정책적으로 많이 이슈가 되어온 학급규모는 일정정도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규모가 감소할수록 보통학력이상 비율이 영어와 수학과목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읍면도서벽지지역이 비강남서울과 중소도시 대도시 등에 비해서 성취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변수들은 여교사비율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국어, 영어, 수학 세 과목에서 모두 보통학력이상 비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등학교의 경우, 기존의 많은 학교효과 연구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도 학교의 학업성과(성취도)에 미치는 학교 배경 변수의 영향력은 지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등학교간 학업성취도 격차는 학생선발의 효과에 의해 많은 부분 설명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학교의 ‘투입자원’, 곧 교육재정 및 시설, 인적 자원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에 있어서는 고등학교에서는 모든 과목에서 대체로 정적 영향이 확인된 것에 비해, 중학교에서는 일부 과목에서만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고 오히려 부적 영향이 있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hool effects on students achievement using nation-wide EduData provided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which is the database system integrating NEIS and EduFine and national level student achievement data. The sample was 2,252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lass size, one of controversial issues for past several decade, is positively affecting students’ English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n addition, school characteristics also affe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high school level. However, school resources, including financial inputs for facilities and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are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 achievement in all subjects at the high school level. Some of these variables negatively affect students achievement at the middle school level.

      • KCI등재

        사교육 수요 분석 : 학습보충론과 미래투자론

        임천순(Ihm Chon Sun),우명숙(Woo Myung Suk),채재은(Chae Jae E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 수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교육 수요를 결정하는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사교육 수요는 어떠한 속성(현재지향적 학습보충, 미래지향적 투자)을 갖는 가? 셋째, 사교육 수요결정 요인은 학생과 학부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해서 5개 교육청산하의 총 3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2007년 6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학생수준과 학교 수준변수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위계적 선형모형(Hierachical Linear Model)을 적용하였다.<BR>  연구 결과, 학생들의 경우,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을수록, 모의고사성적이 높을 수록, 그리고 희망대학 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부모들의 경우 자녀에 대한 희망 대학수준 보다 장기적인 교육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생 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학교 수준’의 평균 사회경제적 지위와 평균 모의고사 성적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에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이 사교육이 학습보충 뿐만 아니라 미래투자로서의 속성을 가지며, 사교육 투자에 있어서 빈부격차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는 향후 사교육 대책 마련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d the demand for and cost of private education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were 1. what are major factors determining the private education demands?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ducation demands (present-oriented learning supplement, future-oriented investment strategy)?<BR>  Research team conducted (June, 2007) a questionnaire survey of 24 humanities high schools and 8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Kyonggi-Do, Cholla-Do and Kyungsang-Do area.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sampled to investigate students private learning activities in and after school. Student-level and school-level inform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method.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below.<BR>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re are larg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ivate education costs borne by students among schools. It implies that the demands and level of investment on private learning activities vary depending on students" SES and academic performance. It is interesting that higher achieving students appear to receive more private education programs than lower achieving ones. Also, the results indicate that, rather than contrary to common belief, parents spend more money on private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longer educational aspirations for their children than on immediate supplement to raise the performance(grades) in schools for admission into preferred universities. Parents tend to bear more expenditures on private education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the higher their expectations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attainment level.

      • KCI등재

        대학 졸업생의 채용결정요인 분석 : 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임천순(Ihm Chon Sun),유진봉(Yoo Jin B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에서의 대학 졸업생 "채용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100대 기업 중 서비스 산업 부문의 4개 기업에서 2002년도 채용공모에 지원한 4년제 대학 졸업자 및 예정자 28,7l9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입사지원서에 기록된 정보를 채용결정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서류전형단계에서는 출신대학의 지명도' 전공, 학위, 직무관련 자격증, 외국어 (토익) 성적, 성별, 연령, 군필 여부, 그리고 출신대학 소재지 등 9개의 요인들이 추출되었다. 연정전형단계에서는 서류천형단계 요인들 중 학위요인을 제외한 8개의 요인들만이 채용결정요인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주요 채용결정요인으로 알려진 학점, 학위, 해외연수경험, 그리고 근로경험 등은 채용결정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채용결정요인별 순위는 서류전형단계에서 성별〉군필여부〉출신대학지명도〉천공, 전문자 격증〉외국어 (토익) 성적〉연령순으로 면접전형단계에서는 성별〉출신대학지명도〉군필여부〉전공/전문자격증〉외국어 (토익) 성적〉연령〉출신대학 소재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주로 능력과 학력에 관한 요인들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된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능력과 상관이 없는 개인적 배정요인 즉 성별 및 군필여부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다음으로는 학력 요인인 대학 지명도 및 전공/전문자격증이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대학 졸업생의 직업 세계로 원활한 이행을 위한 대책 마련에 있어 새로운 방향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selection practice in major conglomerates of Korean service industry. Recent increases in graduate unemployment poses a serious social issue in Korea. The issue raises concerns for crisis in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focused on selection practice of major Korean enterprises which employ large number of recent college graduates. We analyzed criteria which firms use for recruitment m successive screening stages. We sampled four major conglomerates in Korean service sector and collected profiles of 28,719 employment applicants in 2002. The results show that, at the initial application screening stage, the name value of college graduated, major, college degree, job-related licenses, foreign language (IOEIC) score, sex, age, completion of military duty and (regional) location of colleges play important roles for selection. The college grades, credentials, overseas internship and employment experience, found to be important in prior studies, were not significantly meaningful determinants of employment. Determinants for employment selection were different in the (second) interview stage. While the prior literature shows competence and academic credentials as important, our results show that individual attributes such as sex, completion of military duty, and reputation of college graduated were more important determinants. The results show that firms employ graduates not based on competence and efforts of applicants but on individual attributes. This gives some implication for policy to easen transition of graduates from school to work Finally we recommend some suggestions for the government, the universities, and the enterprises which employ graduates.

      • KCI등재

        SWOT 분석을 활용한 지방교육행정조직 역량 분석 - 경기도 교육행정조직 사례 -

        임천순(Ihm Chon Sun),반상진(Ban Sang 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2

        21 이 연구의 목적은 SWOT 분석을 활용하여 지방교육행정조직의 내부 구성원이 조직의 내·외부 역량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인식을 토대로 교육청의 조직역량 강화를 위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청 조직구성원 1,500명 대상으로 교육청 조직의 강점과 약점,기회 및 위협 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내용은 SWOT 분석의 기본 틀인 내·외부환경요인을 분석하였고, 내부환경분석요인으로 교육청의 강점과약점(조직적 요인, 교육행정권한 분권 요인, 인적 요인, 재정적 요인, 지도성 요인, 교육청의 이미지 요인)에 대한 구성원의 실제적인 인식과 동일 요인에 대한중요도 인식을 분석하였고, 외부환경분석요인으로는 사회환경적 변화 요인과 교육환경적 변화 요인이 교육청에게 기회 혹은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대한 구성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강점을 가지고 기회를 살리는 전략 (S0: 공격적 전략),강점을 가지고 위협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는 전략 (ST:다양화전략),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살리는 전략 (WO:방향전환전략), 그리고 약점을 보완하면서 동시에 위협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는 전략 (WT: 방어적 전략)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및 전략 제시는 지방교육행정조직간의 자율 혁신 역량강화를 위한 방향 설정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SWOT analysis is a basic and straightforward analytic tool which can provide direction. It can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strategic plans. SWOT analysis is used to assess an organization's strengths (what an organization can do) and weaknesses (what an organization cannot do), as well as opportunities (potential favorable conditions for an organization) and threats (potential unfavorable conditions for an organization). The role of SWOT analysis is to take the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separate it into intemal issue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extemal issues (opportunities and threats).<br/> This study identified positive variations that assist the organization in accomplishing its objectives (a strength or opportunity) and obstacles that need be overcome or minimized to achieve desired results(weakness or threat). We applied the SWOT analysis, and as the result, provide detailed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capacities of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Korea.<br/> An extensiv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 team. Questionaires were mailed to 1,500 officials and employees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response rate was 40.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br/> First, in the intemal analysis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ost employees recognized the administrative leadership of senior officials. Respondents also thought positively of the autonomy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processes and functions, and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as strengths. On the other hand, they responded felt the lack of a cooperativ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mong departments. Also noted was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superiors and inferiors as organizational weaknesses. Second, in the external analysis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ost employees noted the importance of emerging knowledge-based society, the need for open-door policy for education market, and 5-days work week as opportunities. On the other hand, the decline of the economy, the lack of social trust and confidence on public education, and lowered morale of teachers as threats. Finally, we make some specific strategies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capabiliti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SWOT analysis to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this study stimulate more discussion and policy concerns on the need to change the practice and climat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and contribute to enhance their organizational capabilities

      • KCI등재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임천순(Ihm Chon Sun),박소영(Park So-Young),이광호(Lee Kwang H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3 No.1

        This study explored what private education activities improved student learning in Korea. Research team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of 3,619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yonggi Province to investigate private learning activities in and after school. Student-level and local-level inform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below. First, the local-level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learning. It implies that the effects of private learning activities on student learning vary depending on geographical location. Secondly, among the student-level variable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tudents' dependance on private learning activities, and subscription to 'hak seup ji' (daily delivered learning aid material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It is notable that only 'hak seup ji' subscrip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mong various private education activities. It implies that student learning is not determined merely by private education cost per per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to recent measures by education authorities to reduce private burden, and cost, of private learning activities. First, measures to reduce private learning cost should be concentrated on strategies to reduce dependance of students on private learning activities. Often, parents and students have psychological dependance on privat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private tutoring without really knowing about their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Second, measures to reduce private learning cost need to turn away from national to local approach. Studies and assessment of effects of private learning activities need to focus on local samples of data and take into account local differences in student achievement. Many follow-up studies to acquire empirical evidence on student learning effects of private learning activities need to be conducted.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육현상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는 사교육의 효과를 탐색하고, 특히 여러 가지 사교육 형태 중 효과적인 사교육의 형태를 밝히고자 한다.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수준 및 지역수준의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내 초·중·고등학생 3,6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자료와 경기개발연구원에서 발간한 '알기 쉬운 경기도 경제지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관련한 분산 중 지역수준의 분산은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학생의 사교육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생수준의 변인 중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 의존도, 그리고 학습지 구독여부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가져오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에서 여러가지 사교육 활동 중 학습지 구독만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것은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학생 사교육 의존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의 심적 상태가 사교육 효과의 결정적인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본 연구결과에 터하여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학생의 사교에 대한 의존도와 선호도 등 심적 상태가 사교육과 밀접한 관련 있는 연구결과로 미루어 중장기적으로 사교육 경감대책은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를 약화시키는 전략에 집중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교육비 경감대책은 지금까지의 전국적 단위의 접근법에서 탈피하여 사교육비의 평균 규모는 작지만 지역주민의 학원수강 둥 사교육에 의한 의존도 높은 특정 지역을 사교육 경감 시범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사교육에 심리적 의존과 선호도를 개선해나가는 방식을 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방과후학교와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채재은(Chae, jea-Eun),임천순(Ihm, Chon-Sun),우명숙(Woo, Myung-Su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학교와 EBS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6월에 5개 교육청 산하 총 24개 일반계 고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연구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학생수준과 학교수준 변수를 구별하여 분석하는 위해 ‘위계적 선형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성적이 높고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 보다 방과후학교에 많이 참여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대상 변수 중에 ‘방과후학교만’이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점은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방과후학교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교육비’가 높게 나타난 것은 방과후학교 참여가 사교육 활동과 마찬가지로 ‘학업보충’뿐만 아니라 ‘미래투자’로서의 특성을 지닐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사교육 보완대책으로서 방과후학교와 EBS수능강의 모델의 실효성 여부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anded measures to reduce private tutoring costs by the government using survey data on after-school programs and EBS lecture programs for college examination preparation. Parents and students sample survey data were collected in June, 2007 from 24 high schools in 5 nation-wide school districts. Method of analysis used is HLM to analyze both student level and school level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private tutoring cost of after-school program had positive correlation at .05 significant level. This result shows that after-school program increases the private tutoring cost, contrary to the intended policy goal of reducing the cost. However, more careful interpretation is called for. It could be that high achieving students, or those with high expenditure of private tutoring costs tend to participate in other coaching activities such as private tutoring, after-school programs, and EBS programs, as 'supplementary learning' or 'future investment' activities. Meanwhile, only after-school program had positive correlation on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