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 도입이 외식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

        임창식,임정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3 농촌경제 Vol.46 No.3

        Restrictions on face-to-face services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have quickly transformed the paradigm of eating out consumption, such as online food orders and delivery services, into non-face-to-face demand. While this shift offers new opportunities, it can also play a financial burden on small restaurants due to the associated delivery fees and advertising costs.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s that have adopted delivery services post COVID-19 and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is adoption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Data from the 2021 Restaurant Management Status Survey were analys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ajor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to adopt delivery services is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of the restaurant tha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wner. Restaurant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franchises, international cuisine restaurants, those with a majority of female customers and those with a higher number of tables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adopt delivery services. Second, the introduction of delivery services after COVID-19 tends to increase the sales, but it also led to an increase in operating costs.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operating profit or rather decrease in profit. 코로나19로 인한 대면서비스의 제약은 외식 소비의 패러다임을 온라인 음식 주문, 배달서비스와 같은 비대면수요로 빠르게 전환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배달 수수료, 광고료 등의 문제로 영세 외식업체에 오히려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증가한 배달서비스 도입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외식업 경영자뿐만 아니라 정책 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이 논문은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를 도입한 외식업체의 특성과 배달서비스 도입이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1년 외식업경영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성향점수매칭 방식을 응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달서비스 도입은 경영주 특성보다 외식업체의 영업 특성에 더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에 위치, 프랜차이즈, 외국식 음식점, 여성 고객과 테이블 수가 많을수록 배달서비스를 도입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이후 배달서비스의 도입은 매출액을 증가시키지만 동시에 영업비용 역시 증가시켜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보행자 통행안전성을 고려한 회전교차로의 고원식횡단보도 설치기준 연구

        임창식,최양원 대한토목학회 201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6 No.6

        In order to calculate the optimum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that are installed continuously in succession, this study examined the speed of a vehicle that passes different intervals between speed humps and hump type crosswalks from the approach section of a roundabout having a maximum speed limit of 30km/h; analyzed the effects of speed humps and hump type crosswalks installed continuously in succession on vehicle driving speed; and simulated the optimum installation height of hump type crosswalk.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interval between a speed humpand hump type crosswalk,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traffic calming techniques for reducing vehicle speed, to control vehicle speed under 30km/h is 30m.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celeration of a vehicle that pass hump type crosswalks, it was found that if the installation interval is 65 m and above,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had no effec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maximum installation interval between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for controlling vehicle speed within a fixed road section should not exceed 65m. Thir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ptimum installation height of hump type crosswalk is 6-8cm in case vehicle speed at the approach section is 20km/h or lower, 8-10cm in case of 30km/h, and 10cm in case of 30km/h or higher, respectively. Fourth, even at a road section on which a speed hump and hump type crosswalk are installed, speed reduction effects may sometimes be insignificant due to a driver's studying effect, traffic conditions and so on. Thus, it is judged that speed reduction effects will be greater if several traffic calming techniques such as speed hump, chicane, and choker are appli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case of applyingtraffic calming techniques for the purpose of reducing vehicle speed in order to promote pedestrian safety, the composite application of several techniques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에서는 과속방지턱과 연속으로 설치된 고원식횡단보도의 적정 설치간격을 산정하기 위하여 최고속도제한이 30km/h로 운영되는 회전교차로의 접근부에서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 간 서로 다른 간격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를 조사하여 연속으로 설치된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가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고원식횡단보도의 적정 설치높이에 대한 시뮬레이션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는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대표적인 교통정온화 기법으로 차량의 속도를 30km/h 이하로 제어하기 위한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의 적정 간격은 30m로 나타났다. 둘째, 고원식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의 감속도를 비교한 결과 설치 간격이 65m 이상인 경우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정 구간의 차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과속방지 턱과 고원식횡단보도의 최대설치 간격은 65m 이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고원식횡단보도의 설치높이는 차량의 접근부 속도가20km/h 이하일 때 6~8cm, 30km/h일 때 8~10cm, 30km/h 이상일 때 10cm의 설치가 가장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과속방지턱과 고원식횡단보도가 설치된 구간이어도 운전자의 학습효과, 교통상황 등에 의하여 속도감소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있으므로 과속방지턱, 시케인, 초커 등 여러 가지 교통정온화 기법을 동시에 적용할 경우 속도감소 효과가 더 클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량의 속도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교통정온화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 여러 가지 기법의 복합 적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간선도로 최고속도제한 하향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임창식,최양원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downward speed limit of urban arterial roads at 29 sites in Busan Metropolitan Police Agency to reduce road traffic accidents from ‘10 to ’1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ffic accidents occurred for 1~3 years after the decrease in the speed limit,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ㆍdecreased by 3.09% and the number of injured persons decreased by 8.76%, but the number of deaths decreased by 36.7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speed reduction rate of 6.31km/h was decreased by investigating the change of the vehicle speed before and after the downward speed limit, and the change of average spe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st of the sections. The rate of compliance with the speed limit increased by 10.26%p, which is considered to have greatly improved overall traffic safety. A survey conducted by residents near the target area with a lower speed limit showed that 57.9% of the respondents felt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was lowered. However, this project was focused on vehicles with limited speed road signs and traffic safety signs, Only 25.8% of respondents said walking safety was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afety of pedestrians by improving roads around roads such as road curvature and separation. Inaddition, there is a clear positive result in terms of decreasing the fatal accidents in the downward speed limit zone of BusanMetropolitan Subway. However, more detailed analysis is needed for the 29 accid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raffic practitioners will be able to utilize it as a basis to increase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 by setting an appropriate speed limit based on the easy and objective grounds. 본 연구는 부산지방경찰청이 간선도로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10년부터 ’15년까지 실시한 총 29개 구간을 대상으로 도시부 간선도로 제한속도 하향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제한속도 하향 전․후 1년~3년간 발생한 교통사고 통계를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 건수는 3.09%, 부상자수는 8.76%가 감소하여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망자수는 36.73%가 감소하여 제한속도 감소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한속도 하향 전․후 차량 주행속도를 변화를 조사하여 평균 6.31km/h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구간에서 평균 주행속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제한속도 하향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속도 준수율은 10.26%p 증가하여 전반적으로 교통안전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평가된다. 제한속도가 하향된 대상구간 인근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약 57.9%가 차량의 주행속도 하향을 체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이번 사업이 제한속도 노면표시, 교통안전표지 설치 등 차량에 초점을 맞춰 실시되었기 때문에 응답자의 약 25.8%만이 보행안전도가 향상되었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도로굴곡, 보차분리 등 생활도로 주변을 개선하여 보행자 안전까지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부산 도시부 간선도로 제한속도 하향 구간의 사망사고를 감소시키는 측면에서 분명히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조사대상 29개 구간중 사고가 증가된 구간이 10개 구간으로 보다 세부적인 분석이 향후 필요하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교통실무자가 쉽고,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적절한 제한속도를 설정하여 사고감소 효과를 증대시키는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터보형 회전교차로 설치 효과분석

        임창식,최양원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6

        This study deals with Turbo-Roundabout of Special-Roundabouts. Recently, many rotary intersections are being constructed in Korea,but the effect of the rotary intersection depends on the total entrance traffic volume and the area of the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and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turning traffic signal intersection with small traffic volume into turbo - type turning intersec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raffic volume of the main road is high, the traffic volume of thesubway is less than 10 ~ 15%, or when the left turn ratio is less than 30%, it is improved when switching to the turbo type turn intersection instead of the first turn type and second turn type turn intersection Was analyzed.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turbo type rotary intersection is more effective than first - type rotary intersection, and it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road capacity because the area of paper is smaller than that of second - order rotary intersection. Third,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decreased by 45.9% and the number of injured persons decreased by 76.5% after the conversion of the turnover type turnover to turbo type. 100%), the number of car accidents was 0.3, and the number of casualties was 0 (100%). Finally,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the improvement in safety,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was improved by 60.4%, which was improved by 16.4% to 76.8% after the conversion to the turbo type turnover. 이 연구는 특수형 회전교차로 중 터보형 회전교차로를 다루고 있다. 최근 많은 회전교차로가 국내에 건설되고 있으나, 회전교차로의 효과는 총 진입교통량과 용지면적에 달려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도로 교통량이 매우 작은 신호교차로를 터보형 회전교차로로 전환함에 따른 운영 및 사고감소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도로의 교통량 비율이 높고, 부도로의 교통량이 10~15% 이하인 경우나 좌회전 비율이 30% 이하로 적을 경우 1차로형 및 2차로형 회전교차로 보다는 터보형 회전교차로로 전환할 경우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1차로형 회전교차로에 비해 터보형 회전교차로는 지체감소효과가 매우 높고, 2차로형 회전교차로에 비해 용지 면적이 적어 도로용량의 증대에도 더욱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터보형 회전교차로 전환설치 후 교통사고 건수는 45.9%, 부상자수는 76.5%가 감소하였고, 사고유형별로 차대사람 사고가 2.3명에서 2명(14.3%), 차대차 사고가 14.3명에서 0명(100%), 차량단독 사고가 0.3명에서 사상자가 0명(100%)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긍정적인 평가는 60.4%에서 터보형 회전교차로 전환설치 후 76.8%로 약 16.4%가 향상되어 안전성, 접근성, 편의성 등에 대한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국내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적용에 따른 속도패턴과 개선효과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임창식,최양원,Lim, Chang-Sik,Choi, Yang-Wo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1

        현대식 회전교차로의 장점이 부산광역시 내의 운전자 행태 및 여건에서도 그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회전교차로 도입에 따른 사전 사후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회전교차로에서의 속도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차량간 속도의 편차가 낮아지고, 회전차로부의 평균주행속도가 회전차로의 설계속도에 근접하여 대부분의 회전차로가 이상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운영 측면에서는 평균통행속도가 신호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전환 시에서는 평균 약 87.2%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회전교차로의 도입이 통행속도 및 지체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신호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전환 시 연간 발생되는 편익은 교통소통 측면에서 4억1천만원, 교통안전 측면에서 3천9백만원, 에너지절감 측면에서 2억5천5백만원, 대기오염절감 편익에서는 9천5백만원, 그리고 신호등 설치비용 편익에서 7천3백만원으로 총 8억7천2백만원의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광역시 전체 신호교차로 1,926개소의 10%인 193개소를 회전교차로로 전환한다면, 연간 부산광역시 예산의 약 1천6백8십3억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회전교차로 사업투자비용 대비 회전교차로 설치로 인한 편익분석 결과, 회전교차로 1개소당 6억7천9백만원의 사업비 절감액이 발생되며, 부산광역시 신호교차로의 10%를 고려하면 연간 약 1천3백1십억원의 사업비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회전교차로 내에서의 교통사고는 운전자의 통행우선권 미인지로 인한 것으로 회전교차로의 통행우선권이 자리 잡게 되면 충분히 감소될 여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회전교차로에서의 자동차 운전자,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의 교육 및 홍보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To find out if modern roundabout is still effective under drivers behavior and driving conditio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effect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roundabout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on velocity profile at roundabout, velocity deviation decreased, and average vehicle speed was close to design speed.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most roundabouts were properly built. In terms of traffic operation, average vehicle speed improved by 87.2% when a traffic intersection was replaced by a roundabout. therefore,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introduction of roundabout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vehicle speed by reducing traffic congestion. In addition, annual benefits expected from the replacement from a traffic intersection to a roundabout were KRW 872 million as follows; KRW 410 million in traffic communication, KRW 39 million in transportation safety, KRW 255 million in energy saving, KRW 95 million in reduction of air pollution and KRW 73 million in reduction of traffic signal installation cost. In other words, if 10% (193 spots) of all traffic intersections (1,926 spots in total) in Busan City are replaced by roundabouts, the municipal authority would be able to save about KRW 168.3 billion.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benefits expected from the installation of roundabouts compared to the investment cost for traffic intersections, about KRW 679 million could be saved per roundabout. Considering 10% of all traffic intersections in the City of Busan, about KRW 131 billion could be saved annually. The traffic accidents in roundabout usually occur because drivers aren't aware of right-of-way rules. Once the right-of-way rules settl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would significantly decrease. In addition, it is urgent to promote education and campaign for drivers, pedestrians and bikers on the roundabout.

      • KCI우수등재

        BRT 구간 딥 러닝을 활용한 버스우선 신호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임창식,최양원 대한토목학회 202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0 No.1

        In this study, a suitable algorithm for each BRT stop type is presented through the network construction and algorithm design effect analysis through the LISA, a traffic signal program, for the BRT stop type in the BRT Design Guidelines, Ministry of Land, Transportand Maritime Affairs, 2010.6. It was. The phase insert technique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stop before passing the intersection, the early green technique for the stop after the intersection, and the extend green technique for the mid-block type stop. The extension green technique is used only because it consists of BRT vehicles, general vehicles and pedestrians. Analyzed. After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the stop was analyzed as 56.4 seconds for the total crossing time and 29.8 seconds for the delay time. In the mid-block typestop, the total travel time of the intersection was 40.5 seconds, the delay time was 9.6 seconds, the average travel time of up and downBRT was 70.2 seconds, the delay time was 14.0 seconds, and the number of passages was 29. 본 연구는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교차로의 부산 해운대로 BRT 구간 버스정류장 유형을 대상으로 교통신호 프로그램인 LISA를 통해 네트워크 구축 및 알고리즘 설계 효과분석을 통해 버스정류장 유형별로 적합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교차로 통과 전 정류장은 Phase insert 기법, 교차로 통과 후 정류장은 Early green 기법, 미드블럭형 정류장은 Extend green 기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버스 및 일반차량과 보행자 현시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Extend green 기법으로만 분석하였다. 교차로 통과 전 정류장은 교차로의 전체 통행시간은 57.8초, 지체시간은 33.2초, BRT 상ㆍ하행 평균 통행시간 85.3초, 지체시간 31.1초, 통과대수는 28대로 분석되었고, 교차로 통과 후 정류장은 교차로의 전체 통행시간은 58.2초, 지체시간은 31.8초 BRT 상ㆍ하행 평균 통행시간 102.2초, 지체시간 42.5초, 통과대수 26대로 분석되었다. 미드블럭형 정류장은 교차로의 전체 통행시간은 42.5초, 지체시간은 11.2초, BRT 상ㆍ하행 평균 통행시간 74.2초, 지체시간 17.0초, 통과대수 28대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버스우선 신호시범도입, 보행자 시거확보를 위한 계단식정지선, 속도감속을 위한 고원식횡단보도,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무단횡단금지 경고 벨 및 VMS 설치 등으로 BRT 구간에서의 교통사고 감소 효과가 기대되며, 이를 확대 도입할 필요가 있다.

      • 지능형 수세식 변기 배수장치의 개발

        임창식,장희석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3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2 No.-

        Abstract : It is designed to upgrade conventional toilet flushing unit. The new upgraded functions are automatic flushing and added safety features. By judging one's evacuation, volume of flushing water can be controlled with simple mechatronics device. Thus we can save considerable amount of water(4 liters per one operation). Futhermore, for those who are old, single, and handicapped, intelligent logic can detect emergency situation in the toilet. Thus logic triggers Home Security System and make and emergency call to prevent unexpected accidents that can happen around flushing unit.

      • KCI등재

        공압 제어용 전자밸브의 스프링, 시트바디, 피스톤의 품질개선을 통한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임창식,황종대,정영철,김석호 한국기계가공학회 2023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2 No.4

        As pneumatic-related industry has advanced and the confidentiality of pneumatic components is required, thedemand for solenoid valves with ultrahigh ON/OFF time performance is rapidly spreading in aerospace-relatedindustries. Special-purpose pneumatic control solenoid valves, which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bythe state and whose operational suitability and reliability have been verified, are spreading to civil industry aswel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olenoid valves for pneumatic control, the quality of the major parts wasimproved, and various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he main parts inside the valve body, such as springs,seat bodies, and pistons. Through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se major parts, the effects of the performanceimprovement in terms of ON/OFF time, flow rate, and leakage of solenoid valves were ve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