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모형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임진영(Im, Ji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인 교대 4학년 재학생의 수업모형에 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떠하며 그것이 교육실습을 전후하여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특히, 예비교사들의 수업모형에 관한 인식 및 활용 정도 그리고 수업모형 수강 경험 등에 관해 탐색하여 수업모형 관련 강좌의 방향과 접근 설정에 참고하고자 했다. 설문에 참여한 교대 4학년 재학생의 수업모형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으나 교사 집단에 비해 이상적인 성격을 띠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많은 부분에서는 경험이 풍부한 교사들과 마찬가지로 수업모형에 대해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수업의 일상적인 패턴과 스타일이 존재하며 이를 바꾸기 위한 주된 방법으로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점진적 개선을 꼽는 점이 바로 이런 현실인식의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자기 수업을 기록하거나 분석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많았다. 횟수는 적은 편이었으나 수업 기록과 분석의 목적은 주로 자기 수업의 성찰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모형 강좌 개설시 참고할 지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evelop their own system based on existing teaching models. As a part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research focuses on pursuing an essential investigation of context-oriented teaching models. In order to achieve this, a questionnaire (with 22 items, in 6 subsections) has been administered over 414 senior students as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of elementary education. The students offered follow-up responses (before their internship program and after their internship program). The major finding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A large number of the respondents appear to be dependent upon the use of teaching models when they conduct an open class compared with when they conduct an ordinary class. (By open class, it is meant that it is publicly open to fellow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supervisors). (2) It seems that respondents want to introduce a momentum of change in their respective teaching patterns. (3) In the process for changing the teaching patterns, respondents preferred self-reflection and gradual improvement beyond consultation or supervision. (4) It was also shown that respondents’ documents and analysis of their own respective class is highly necessary for self-reflection.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are on the right track of pursuing an important recognition, that is, that a training program on teaching models must lead pre-service teachers to consider more seriously the teaching contexts for producing the teacher-driven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odels.

      • KCI등재

        한국 교사의 수업 문화 탐색

        임진영(Jinyoung Im),최지은(Jieun Cho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크게 학교문화, 교사문화, 교직문화 등의 맥락에서 수업문화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량적 방법으로 수업문화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조사에서 교사들로 하여금 수업과 관련한 제반 사건, 행동 등을 보고하게 하였고 그렇게 수집된 800여개 항목을 전문가 검토를 거쳐 284개의 문항으로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수업문화조사지를 구성하여 전국의 각급 학교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문화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항목들의 평정평균을 이용하여 수업 에서 각 항목이 실현되는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응답을 바탕으로 문화심리학에서 기저문화의 추출에 적용되는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중심수업,수업개선지원,평가활용수업, 학생동기화,수업관련 교사지원,교사 간 수업협력, 소극적 수업, 수업자료준비 등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요인이 기존에 제시된 수업문화요소와 비교되었으며 수업문화진단에의 적용을 포함한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이 제시되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construct the instructional culture shared by the teachers. The instructional culture assumed to b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relating to classroom teaching. Survey questions were initially developed based on a preliminary study examining the views of Korean teachers on instructional planning, implementation practices, and assessment in terms of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classrooms and the factors that facilitated and hindered their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A final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national sample of 680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e eight factors such as ‘student-centered instruction,’ ‘support for instruction improvement,’ ‘utility of evaluation,’ ‘difficulties in students motivation,’ ‘support for teacher on instruction,’‘cooperation of fellow teachers,’ ‘passive teaching’ ‘preparation of class materi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for making educational decisions on how to plan and implement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leading to instructional reform and for diagnosing teacher's instructional culture in a relatively short time.

      • KCI등재

        일반논문 : 수업모형의 친상황성에 대한 맥락주의적 해석

        임진영 ( Jinyoung 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2

        수업모형은 일종의 처방이다. 따라서 수업모형은 수업과 관련한 다양한 수업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수업은 친상황성을 내포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생태학적 관점은 상황에 대한 개념적 정리를 돕는다. 맥락주의도 유사한 시사를 줄 수 있다. 특히 인간발달의 맥락주의는 변증법을 기반으로 수업상황의 원천 중 하나인 학생의 발달특성에 대한 고려가 교과발달이라는 형태를 통해 실현될 가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상황에 대한 재정의를 가능하게 한다. 맥락주의에 의하면 수업모형의 원천은 교과뿐만 아니라 학생, 교사, 지역사회, 시대적 배경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요소 간 교호적 관계가 고려되어야 한다. Teaching model is a king of precription. so, we should maker consideration on many situational factors related to instruction for planning teaching model. Ecological perspectives have many concepts on the instructional situation including subject knowledge, student, teacher, community, historical context. Contextualism on human development based on dialectics suggests many perspectives such as reciprocal interaction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For establishing an ideal situation-oriented teaching model, we should design out teaching model in consideration of inner-biological, personal-psychological, socio-cultural, outer-physical dimensions and their reciprocal interactions in human and social development.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진영(Im, jinyoung),박환보(Park, hwanbo),아즈바르쿠자(Azbarkhuja Buzurukov)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국내 우즈베키스탄 유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을 살펴보고 그들의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행동과학연구소가 개발한 세계시민의식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3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첫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세계시민의식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세계시민의식의 하위요인별 수준은 인지적 영역이 정의적 영역과 실천적 영역보다 모든 하위 영역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세계시민의식에는 자원봉사활동, 해외여행경험과 제도신뢰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 추진에 있어 논의할 부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mong Uzbekistan student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glob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202 Uzbekistan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were surveyed with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KIRBS). The results show that Uzbekistan international students have a high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 level of each sub-factor of global citizenship was higher in cognitive domain than in the affective domain and practical domain.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global citizenship shows that experience of volunteer , overseas and institutional trust were significant factors effect on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These findings helped to understand Uzbekistan students in Korea and suggest areas to be discussed in promo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 효과 분석

        박환보(Park, hwanbo),임진영(Im, jinyoung)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 추진한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에 참여한 교사와 일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선도교사 사업 참여에 따른 인식 변화와 사업 참여동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도교사 132명과 일반 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고,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사업은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이해’,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세계시민교육 활동 참여 의지’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lead teachers program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UNESCO Asia Pacifi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For this purpose, a pre-and post survey was conducted for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GCED lead teacher program (142) and ordinary teachers who did not (48).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GCED lead teacher program,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test as a covariance, and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as also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CED lead teachers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eachers’ ‘recogni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bility to practic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iscuss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competency in implementing the GCED.

      • KCI등재

        교과별 PCK에 기초한 초등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김병수(Kim, ByoungSu),임진영(Im, Ji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이하 PCK)에 대해 교과별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PCK와 수업 전문성의 관계, PCK를 통한 수업 설계와 실행에 주는 시사점을 통해 초등교육에 주는 함의를 탐색해 보았다. 각 교과별로 PCK 연구 현황을 살펴본 결과 수학과와 과학과에서는 교수학적 지식의 형성 과정, 적절한 교수 방법, 실제 수업에의 반영 등 이론과 실제를 넘나드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반면에 국어과에서는 다루어야 할 지식이 명료하지 않아 그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PCK는 교과교육연구의 중핵을 이루는 개념으로 각 교과에서 교사의 종합적 실천지로 규정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전문성은 각 교과에 대한 것을 잘 갖추고 있을 때에 이루어진다. 즉 초등교사는 초등교육에서 교과내용 지식, 교수학습방법 지식, 학생 지식, 상황 지식이 고루 갖추고 있어야 한다. 교사들은 PCK의 경험에 따라 수업 설계와 실행에서의 능력의 차이점들을 질적으로 드러내고, 교육의 성과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 다. 초등교사는 다양한 PCK를 통해 교과별 수업 전문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bject research position by PCK, the relation between PCK and specialty in instruction, instruction design and instruction implementation through PCK in order to grasp the implic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a variety of theory and practice, pedagogical knowledge formation process, a suitable teaching method, reflection in class by science and mathematics. On the other hand research is not being carried out by Korean language as it is not plain. But, PCK was fixed by the synthetic phronesis of the teacher. Specialty in elementary school was approached with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knowledge, knowledge of student, situation knowledge. Teachers bear no resemblance in instruction design and instruction implementation with experience of PCK. It has teachers subject specialty through suitable PCK.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유형과 결정요인 분석

        박환보(Park, hwanbo),임진영(Im, jinyoung),박경희(Park, kyunghee)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따라 집단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에 미치는 개인특성과 경험 요인의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특히 실천적 세계시민의식 영역에 주목하여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을 이해하고, 향후 예비교사 대상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행동과학연구소가 개발한 세계시민의식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대전 지역 소재 A 대학의 교직과목을 수강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유형은 ‘적극적 세계시민의식형(52.1%)’, ‘소극적 세계시민의식형(22.5%), ‘미성숙 세계시민의식형(25.4%)’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유형에 따라 실천적 의지, 능력, 활동 정도가 각각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가지 유형을 구분하는 결정요인으로는 영어능력, 자원봉사활동과 해외경험, 제도신뢰 및 친구와의 정치사회적 대화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유형과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mong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nd to explore the factors effect on each typ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 on the action area among the three dimension of glob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180 students were surveyed A university in Daejeon metro city with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KIRBS).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of pre-service teachers divided into 3 group, ‘active global citizenship (52.1%)’, ‘passive global citizenship (22.5%)’, and ‘immature global citizenship (25.4%)’. fluency of English language, experience of volunteer and overseas, institutional trust, and communication with friends about political issues were significant factor effect on the practical type of global citizen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