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구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 연구

        임원균(Won Guen Im),황성혜(Seong Hye Hw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4 스트레스硏究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조사방법은 서울시 S구 등록 장애인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중도장애인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대해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고, 일상생활동작, 자살시도경험, 우울이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우울’과 ‘자살시도경험’이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상생활동작’은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시도경험이 있고, 우울수준이 높은 중도장애인이 자살생각에 취약하므로 자살 및 우울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자살시도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auses of suicidal ideation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a total of 224 registered disabled persons in S-gu of Seoul were surveyed. The analysis of the suicidal ideation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ose who have ever attempted suicide have more suicidal ideation than those who have not. Howe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daily activities,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without general characteristics uncov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aily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and depression in the past, need more care and support to prevent any future trial of suicide since they are more vulnerable to suicidal ideation.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변인 연구

        임원균(Won Guen 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5 스트레스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특성, 생활경험 변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서울, 경기권 대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심리적 특성과 생활경험 변수를 투입하여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 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학과만족, 사회적지지, 취업스트레스, 낙관성,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나 대학생의 일상적인 생활경험이 심리적 특성보다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긍정적인 생활경험을 제공하는 환경적 개입 강화가 필요하며, 동시에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에 대한 사회복지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traits and life experience that affec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The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of 279 college students who study in Kyunggi-do and Seoul.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is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general factors. Howeve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psychological traits and life experience shows that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Social support, Job-seeking stress, Optimism and Self-efficacy in order of importance affec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and thus life experience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psychological trai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environment building to provide positive experiences in daily lives to the students for their subjective well-being increase is important and also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students’ positive thinking is needed.

      • KCI등재후보

        사례관리 대상자의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 연구

        오은경(Oh, Eun Kyoung),임원균(Im, Won Guen)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 대상자의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의 실태와 특성을 살펴보고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D시와 G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 대상자 174명을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사례관리 대상자의 사회자본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고 생활만족도 또한 중간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사례관리 대상자의 직업 유무, 이혼 및사별 유무 변인이 사회자본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셋째, 사례관리대상자의 생활만족도에는 직업유무, 한부모 및 조손가족 구성 형태, 정신건강상태, 사적신뢰 수준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사례관리 대상자의 사회자본을 확장하고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ality of social capital and a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case management clients in a local community center and to find out what elements could exert influence on social capital and a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irs. Th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by surveys of 174 among guardians of client who use case management service of community center in the city, “D” and “G”. The analysis of materials was done with SPSS 20.0. The findings are that social capital of clients of case management was low whil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lower than the median level. In our study of the client s social-demographic character and variables by frequency of social capital,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client s job-jobless, divorce or bereavement was effected on the social capital. Third, client s mental health and trust of social capital were effected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some plans to extend social capital an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clients in case management service of community center.

      •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치료사의 소진극복요인에 대한 경험 연구

        오은경(Oh, Eun Kyoung),임원균(Im, Won Guen) 한국통합예술심신치유학회 2014 통합심신치유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치료사들의 소진극복요인에 대한 경험을 Van Kaam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문성 강화와 주변 자원의 지지 및 인정, 그리고 내적인 역량 강화 등의 3개 범주 순으로 소진극복요인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서 타 치료분야의 교육, 연수, 학회 등에 참여, 전공 외 분야의 자격증 취득과 진학 등과 같은 소진 극복요인에 대한 몇 개의 새로운 범주 유형과 순위가 나타났는데, 이들 대부분은 치료사들의 개인적인 노력들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는 발달재활서비스 제공 치료사의 소진 극복을 통한 장애인 발달재활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인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계속적인 후속연구의 필요성과 치료사의 소진예방과 극복을 위해 국가의 제도적인 지원이 요구되며 발달재활서비스제공기관 또한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사의 소진에 대처해야 함을 제언하 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therapist in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r regarding burnout overcome factors by using Van Kamm’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consequence, therapist appeared to experience burnout overcome factors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in order: expertise reinforcement, support and recognition from neighboring resources, internal capacity reinforcement. Furthermore, the research surveyed new types of categories and a ranking of burnout overcome factors among therapists in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 vices provider: participation in education, training and society of non-special area; acquisition of certificate and entrance in non-special area; positive change, support and recognition of client and client’s parents; support and recognition of non work-related people; participation in psychotherapy program. It is hop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in seeking practical alternatives to overcome burnouts of therapists in various areas as well as those i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Also the research suggested the followings: that consecutive studies be executed, that systematic aid and support be provided to overcome factors of burno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programs be provided by national system and systematically aided to protect and overcome burnout, and th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r react more actively against burnout of therapists.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에 참여한 장애인의 긍정적 인지정서상태 영향요인 연구

        오은경(Oh, Eun Kyoung),임원균(Im, Won Gu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1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서울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의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이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동기, 교육만족도와 평생교육에 참여하면서 느끼는 긍정적 인지정서상태와 긍정적 인지정서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장애인평생교육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에 참여 경험이 있는 장애인 238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활동지향 동기가 가장 높았다. 교육만족도는 3.96점(표준편차 .848)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시설의 환경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장애인의 긍정적 인지정서상태는 3.61점(표준편차 .718)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쾌락적 즐거움이 가장 높았고 자신감이 가장 낮았다. 둘째, 장애인의 긍정적 인지정서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문화예술교육 참여여부, 학습지향 동기, 강사만족도, 기관만족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 및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ome basic data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s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in future by recognizi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s participation motiv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of education, affirmative cognitive- affective states and Influence Factors of th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which 238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d the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active-oriented motivation was the highest among the motivation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was 3.96 points(sd=.848) and the satisfaction of facility was the highest among them. The affirmative cognitive-affective state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3.61(sd=.718)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e middle. Among the sub-fields of the affirmative cognitive-affective states, pleasure enjoyed the highest and confidence was the lowest.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affirmative cognitive-affective states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participation in cultural arts educatio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satisfaction of institution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ilitie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