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격차와 인적자본 -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법의 적용 -

        김민영,임업,Kim, Minyoung,Lim, Up 한국지역학회 2017 지역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와 인적자본 수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도권 근로자가 비수도권 근로자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임금을 받는 이유가 수도권 근로자의 인적자본 수준이 비수도권 근로자의 인적자본 수준보다 더 높기 때문인지 아니면 동일한 인적자본 수준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근로자에게 더 높은 보상이 제공되기 때문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법을 이용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와 인적자본 사이의 관계가 임금 분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인적자본 지표인 교육년수 및 직무훈련과 함께 인지 및 상호적 숙련, 기술적 숙련, 육체적 숙련 등 직종 숙련 수준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 정규직 여부, 기업 규모 등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의 상당 부분이 인적자본 변수들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본의 질적인 차이로 인한 임금격차를 의미하는 인적자본의 구성 효과가 모든 임금 분위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 문제에서 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은 인적자본의 임금구조 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 숙련을 포함한 다양한 인적자본 변수들 중에서도 특히 교육년수의 임금구조 효과가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의 임금격차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위임금 또는 평균임금 수준에 초점을 두고 있는 전통적인 분석방법에서 벗어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로자 사이의 임금격차가 임금 분위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낼 수 있음을 무조건 분위회귀 분해를 통하여 밝혔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human capital is related to the inter-regional wage gap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the non-capital region in Korea. We focus more specifically on whether the inter-regional wage gap is due to high levels of human capital in the capital region or due to high returns to human capital in the capital region. The decomposition method based on the unconditional quanti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 and the inter-regional wage gap varies along the wage distribution. When first estimating earnings functions from the two regions to apply this decomposition method, we included not only conventional indicators of human capital, such as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 but also occupational skills including cognitive-interactive skills, technical skills, and physical skills. As a result, other things being equal, a large part of the inter-regional wage gap was explained by the human capital variables. Although the composition effect of the human capital variables existed in all the wage quantiles, the more important factor was the wage structure effect of the human capital variables. 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human capital variables, the wage structure effect of years of education was a key factor in explaining the inter-regional wage ga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capital and the inter-regional wage gap may vary depending on the wage quantiles.

      • Contextual Factors Affecting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SMEs in Korea

        Choi, Ye Seul(최예술),Lim, Up(임업)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In recent decades, the signific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as increased considerably in the fast-changing and increasingly competitive global market. In this vein, researchers have traditionally considered a number of explanatory variables related to firms’ general characteristics to explain innovative behavior of firms. However, indeed, although environment (e.g., government and public policies, surrounding culture, knowledge/technology acquisition, networking) has a determining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firms’ strategies, structuring and behavior, very few relevant empirical works have conducted.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 performance and the internal and contextual factors driving technological innovation in manufacturing SMEs in Kore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ur analysis is based on firm-level data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in 2014, and we use a sample of 212 manufacturing SMEs. According to the results, our findings empirically verified that both contextu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play a central role in the creation and sustenance of SMEs’ innovative performance through their innovative capacity.

      • KCI등재

        청년층 노동의 공간적 이동 및 교육정도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

        김동현(Kim, Dong-Hyun),임업(Lim, Up),최예술(Choi, Ye-Seul) 한국지역개발학회 201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4 No.5

        The labor mobility is a kind of individual problem being related to wage, social and economic status, job, and residence. In youth class, the choice of labor market is important for individual career, mobility, and job.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know the effect of labor spatial mobility and education in entering labor market of youth. In this study the Korea Youth Panel 2001 is used to search the labor mobility and other variables. We estimate the returns of mobility and education using the Micerian wage model and OLS method. The effect of labor spatial mobility to wage is -0.259. and the education is 0.039. But the effect of education is 0.059 in labor spatial mobility. It is explained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labor maket and the compensation structure between labor mobility and wage. I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hoice of labor market and the year of education, the returns of wage is high if the labor mobility is existed. It means that the higher competency person has the characteristics to move labor market for high rewards. It has two implications in regional planning. The first is the needs of incentives to attract young employment. The second is to promote the employment information between workers and firm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울의 주관적 행복 수준 및 분포 변화의 추이 분석

        이소현(Lee, So Hyeon),임업(Lim, Up)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2

        본 연구는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를 이용하여 2005~2019년의 기간 동안 서울 시민의 주관적 행복 수준과 그 분포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소득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을 활용하여 행복 빈곤율과 행복 불평등의 추이에 대해서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반기에는 다른 부문에 비해 개인의 재정상태와 관련한 행복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분포적으로는 상대적으로 행복도가 낮은 집단에서 행복이 많이 증가하면서 시민의 전반적인 행복이 뚜렷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의 불평등과 빈곤은 큰 폭으로 하락하여 공리주의와 평등주의의 관점에서 모두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가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후반부에 들어서 행복의 빈곤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지만, 행복한 집단의 행복이 더욱 상승하였을 뿐 하위 집단에서는 행복이 증가하지 않아 행복의 불평등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서울시의 행복 불평등이 심해지지 않도록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level and distribution of subjective happiness in Seoul has changed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19. In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happiness in Seoul increased markedly. This is because the happiness of the financial sector increased and the happiness of the less unhappier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more happier. During this period, happiness inequality and happiness poverty fell sharply. As happiness increased and became more equal, it could be said that socially desirable results were achieved. However in the second half, the poverty rate of happiness remained at a very low level, but the happiness of the more happier increased further, but the happiness did not increase in the less unhappier.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our study have implications for urban policies and can inform future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happiness inequality in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