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특성 및 전공계열에 따른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 분석 연구

        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교육을 대학특성, 전공계열별로 구분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고등교육 투자 수익률을 분석함으로써 고등교육과 노동시장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수준에서 정확한 경제적 효과 구조에 대한 정보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의 1차년도(1998년)~8차년도(2005년) 자료를 토대로 Mincer의 소득함수모형(Human Capital Earning Function)을 활용하여 대학특성, 전공계열, 대학특성과 전공계열의 조합에 따른 수익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방사립대학이나 순위 30위권 밖 대학의 교육, 의약, 공학계열의 수익률이 서울소재대학, 지방국립대학이나 순위 1~30위 대학의 인문, 사회, 예체능계열 수익률보다 더 높았다. 이 연구는 학교급, 대학특성, 전공계열 등 각각에 대한 분석 수준을 넘어서 조합에 따른 분석을 최초로 시도함으로써 대학의 특성 효과를 추월하는 전공 효과를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 단순한 수익률 수치 산출을 넘어서는 우리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raw economic effect structure of higher education and labor market at the more concrete level through combining college characteristics and college major and analyzing return to higher education. Based on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998-2005, the Mincer"s ""Human Capital Earning Function (HCEF)"" model i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turns to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college characteristics, college major and combination of them. The major finding is that the returns to Education, Medical, and Engineering in local-private colleges, and off-ranking 30 colleges are higher than those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 & Physical in Seoul located colleges, local-public colleges, or top 1~30 colleges. By analyzing the returns through combining college major and college characteristics as well as analyzing each return, this study provides more sufficient and concrete information on return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returns by combining some factors proved economic effects of some majors" effects exceeding college quality eff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are more concrete and meaningful facts about th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다전공 선택 요인 및 다전공자 대학생활 실태 분석

        이희숙(Lee, Heesook),한재범(Han, Jaebu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이 연구는 다전공 선택 요인 및 다전공자의 대학생활 실태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중 가장 최근 자료인 2019년 자료를 분석에 주로 활용하고 지난 10년간의 GOMS 자료를 활용하여 다전공 추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간 4년제 대학생의 20%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부침 없이 다전공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전공을 선택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전공은 인문, 사회, 자연계열 순이고 다전공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전공은 경상, 인문, 사회, 공학계열 순이었다. 동일계열 내 다전공 비율은 34.3%였고 다전공의 선택에 있어서 소위 문, 이과를 넘나드는 선택을 가장 많이 한 경우는 자연계열이 주전공인 경우였다. 10년 전에 비해 공학계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경상계열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가장 높았다. 다전공 선택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일수록, 서울소재 대학에 재학 중일수록 다전공 선택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문계열 학생들이 타 전공계열 보다 다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고 본인의 주전공을 다시 선택하지 않겠다고 응답할 경우 다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다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음으로 다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를 분석한 결과, 다전공을 이수한 학생들은 단일전공 학생들에 비해 초과학기 선택의 비율이 높았고 졸업평점이 높았으며 대학에 대한 만족도와 대학프로그램 참여도도 높았다. 학비 마련을 장학금으로 충당하는 비율이 높았고 학자금 대출액은 낮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근 들어 대학혁신의 일환으로 대학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는 다전공 제도를 이수하는 학생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이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election of multiple majors and their college life experience. For this study,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9 data were the main source of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Over the past decade, it was found that 20%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had chosen multiple majors. The ratios of students with multiple majors were the highest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 that order, while the most popular fields for multiple majors were business,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engineering in that order. The preference for majoring in engineering has increased compared to 10 years ago, while the preference for business majors has consistently been the highest. The rate of selection of multiple major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Humanities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choose multiple majors than those in other colleges. Students who responded that, if they had to do it over again, they would not have chosen their major were more likely to prefer multiple majors. Also, the higher thei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choose multiple majors. In terms of the university life of students with multiple majors, they had a higher rate of enrollment for extra semesters, a higher grade point average (GPA),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universities, and greater participation in university programs. Students with multiple majors had a high rate of covering tuition with scholarships and a low amount of student lo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understand students completing multiple majors, a phenomenon that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universities as part of university innovation in recent years.

      • KCI등재

        대학 학제 구분에 따른 등록금 지원 효과 분석

        이희숙(Lee, Heesook),이정미(Lee, Jung-M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3

        이 연구는 대학 등록금에 대한 장학금 지원의 효과를 학비 부담 경감, 학업성적 및 대학생활, 학업지속 및 몰입, 진학 및 취업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그간의 장학금 효과 연구에서 전문대학 학생들에 대한 분석이 부족했던 점에 주목하여 학제 구분에 따른 장학금 지원의 효과를 분석한 점에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전체적인 효과성의 측면에서 등록금에 대한 지원은 학비 부담 경감, 학업성적 및 대학생활, 학업지속 및 몰입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비 부담 경감, 학업성적, 대학 프로그램 참여도, 졸업유예 등에 있어서는 전문대학과 대학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대학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휴학횟수 및 학기 초과정도의 감소 등의 측면에서는 대학에서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끝으로, 학제 구분 내 특성에 따른 학자금 지원의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의 경우 학자금 대출 규모의 감소 효과 크기가 수도권소재대학과 사립대학에서 비수도권소재대학이나 국공립대학 보다 컸고 학기 초과 정도에 있어서는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에 비해 더 컸다. 반면, 전문대학의 경우에는 학자금 대출이용의 감소와 학업성적 향상에 주는 영향력이 비수도권소재대학 보다 수도권소재대학에서 유의하게 더 컸다. 따라서 학자금 필요 및 장학금 효과에 있어서 학제 구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장학금 정책에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cholarship support on tuition fees. In particular, there is a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scholarship support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types. For analysis, the 2019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was used. First of all, in terms of overall effectiveness, support for tuition has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the burden of tuition, academic performance, continuing and immersing in academic studies. Second, there are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the burden of tuition, academic performance, participation in university programs, and suspension of graduation across the types, but only with universities there exist the effects on overall satisfaction, reduced number of breaks and term excesses. Finally,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student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shows metropolitan and private universities have a larger reduction in student loans tha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and public universitie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junior colleges, the influences on the reduction of student loan use and the improvement of academic performance are significantly greater in institutions bas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an in non-metropolitan institutions. Therefore, the implications on the scholarship polic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국가장학금정책과 학자금대출수요의 관계 분석

        이희숙(Lee, Heesook)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3

        2012년도에 시행된 국가장학금 정책과 2010년도에 현재의 형태로 완성된 학자금 대출제도는 모두 정부가 고등교육에 드는 비용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등록금 지원사업으로 볼 수 있다. 그간 등록금 지원사업으로서의 두 사업 각각에 대한 영향요인 및 성과에 대한 분석은 상당히 진행되었으나 두 사업이 서로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은 진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 및 보도자료에서는 국가장학금 정책의 시행이 학자금 대출 수요를 흡수하여 정부의 학자금 대출사업을 유명무실하게 만들었다는 지적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장학금 정책의 변화가 학자금 대출제도 이용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가장학금의 확대가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기초분석의 일환으로 국가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이용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장학금정책의 시행 전, 후에 있어서 장학금 비중 및 학자금 대출 이용에 시계열적 변화가 있는 가? 둘째, 대학의 특성에 따라 국가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이용에 시계열적 변화가 있는가? 셋째, 국가장학금 비중의 증가가 학자금 대출 이용의 변화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관계가 있는가? 넷째, 국가장학금이 학자금 대출 수요에 주는 유의한 영향이 있는가?이다. 분석을 위해 대학 알리미의 2011, 2012, 2013년 3개년도 4년제 대학의 국가장학금, 학자금 대출 및 대학의 여건 및 재정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 국가장학금정책의 도입이 후 재학생 1인당 장학금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국가장학금과 지원대상이 중첩되는 든든 학자금 대출 수요 역시 증가하였다. 둘째, 국가장학금정책의 시행으로 사립대학에 대한 국가장학 금 지원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가장학금 도입 전?후에 변함없이 사립대학의 학자금 대출 수요가 국공립대학 보다 높았고 7분위 이하 학생들에 대한 장학금지원 확대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대출 수요도 여전히 높았다. 셋째, 국가장학금 도입 이전에는 장학금과 학자금대출간의 역의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2013년에는 오히려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끝으로 국가장학금정책 시행 이전에는 국가장학금이 학자금 대출 수요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국가장학금정책 시행 이후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국가장학금정책의 시행에도 고등교육 비용 부담의 측면에서의 학자금 대출수요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향후 정부 학자금 지원 정책 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gure out how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Scholarship relates the demand of Student Loans. Both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and the student loan scheme can be regarded as interventions coined in order to reduce the cost burden on higher education. However, it is not clear how the change of national scholarship policy has brought a substantial change in the student loan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s; first, are there time sequential changes in scholarship and student loan between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National Scholarship? second, are the proportion of using national scholarship and students loan changing according to college characteristics? third, is t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of national scholarship and the change of utilization of students loan? the last, does national scholarship influence on the demand of students loan? For the analysis, 2011 through 2013 data of universities on national scholarship, students loan, and financial situation are used.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sinc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scholarship system, the amount of scholarship per a student has increased and the rate of using Income Contingent Loan also went up. Second, in spite of the increase of supporting students from private schools and under income 7 th quintile, they still requires students loan consistently. Thir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scholarship system,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scholarship and demand of students loan. The last, national scholarship influence positively on the demand of students loan. Based on there results, it is empirically figured out that national scholarship policy has influenced the change in demand of student loan. and It has implications of research in terms of suggesting the fundamental evidence to support proposing overall structure of further government funded students aid policies.

      • KCI등재

        고등교육단계 공교육비 실태 및 지원 유형 국제 비교

        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9 No.4

        이 연구는 고등교육단계의 공교육비 실태 및 국가별 지원 유형을 국제 비교한 연구이다. 분석에는 지난 20년간의 OECD 교육지표 자료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우리나라의 GDP 대비 고등교육비 수준은 OECD 평균에 비해 높지만, 학생 1인당 고등교육비와 국민 1인당 GDP 대비 학생 1인당 고등교육비 수준은 낮고 지난 20년간 격차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교육단계 공교육비 분담구조 국제비교 결과 고등교육단계 공교육비의 정부부담 수준은 OECD 평균을 밑돌고 고등교육단계 공교육비의 정부-민간 부담률 비교에 있어 민간 부담률은 OECD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국가장학금정책이후 고등교육단계 공교육비 정부부담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셋째, 고등교육 재정에 관한 국가별 접근방식에 대해 판별분석을 적용한 결과, 우리나라가 유형 3(높은 등록금과 덜 발달된 학생 지원 시스템)에서 유형2(높은 등록금과 잘 발달된 학생 지원 시스템)로 이동을 위해서는 정부재정지원을 받는 학생 비율을 높이는 전략 외에도 학생 1인당 교육비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OECD 국가들의 고등교육 재정에 관한 접근 방식에 대하여 계량적으로 이해하고 국제 비교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학생 1인당 고등교육비 증대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 점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state of expenditure o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ypes of national support at higher education levels. OECD education data for last 20 yea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 s level of higher education expenditure to GDP is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but the expenditure per student and the expenditure per student to GDP per capita is overly low and the gap has continued to grow over the past two decades. Second, the level of government burden in higher education level is below the OECD average and the private sector burden ratio in comparison with the government-private burden ratio is considerably higher than in OECD countries. However, it has been recently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s burden on public education has continued to rise since the National Scholarship policy.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in order for Korea to move from Type 3 (high tuition and less developed student support systems) to Type 2 (high tuition fees and well-developed student support system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el of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in addition to the strategy of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students receiv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analysis yielded the quantitative understanding about the OECD countries approaches to higher education finances and provided empirical grounds for the need to increase the expenditure of higher education per student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tional comparisons.

      • KCI등재

        교육경제학 연구에서 메타분석법 적용가능성 탐색

        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2

        전 세계적으로 교육경제학 연구 분야에서 메타분석법을 활용하여 선행 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종합하려는 시도가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기법이 소개된 이후 적용한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메타분석법은 기존 연구물들의 결과가 하나의 방향으로 수렴되지 않고, 서로 상반되어 하나로 종합되지 않을 때 기존 연구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통계적ㆍ체계적으로 종합하는 기법이다. 이는 특히 교육정책의 효과성이나 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상이할 경우, 결과의 방향성과 크기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법이다. 그럼에도 이 기법을 교육경제학 연구 분야에 적용하지 못한 것은 기존의 메타분석법이 교육경제학 연구에서 활용된 분석 방법 특히 회귀분석법으로부터 효과크기를 도출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발전되지 못한 데 그 원인이 있다. 그러나 최근 메타회귀분석(MRA), 부분상 관계수(semi-partial correlation) 등 새로운 메타분석 방법의 등장으로 교육경제학 연구에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선행연구 결과를 체계적으로 종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경제학에서 메타분석법을 적용할 연구 과제 및 대상으로서 교육의 효율성 연구를 내적ㆍ외적 효율성 연구로 구분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방법으로서의 메타분석법을 고찰한다. 또한 메타분석법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분석한 선행 연구물을 체계적으로 종합하고자 시도한 교육경제학 연구의 예를 탐색하며, 끝으로 최근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메타분석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교육경제학 연구에서 메타분석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adaptability of meta-analysis to economics of education studies, especially to educational efficiency research. Internationally, the efforts of synthesizing previous studies using meta-analysis have been pervading in the economics of education research area. However, in Korea, the case of adapting meta-analysis to economics of education studies has been scarce since the introduction of meta-analysis in 1980s. Meta analysis is a useful tool of synthesizing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n disputable and controversial topics. The reason why economics of education research area did not utilize this method was based on the lack of methodology in synthesizing regression coefficients from previous studies. Recently new meta-analysis methods such as Meta Regression Analysis(MRA) and Semi-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o on have been developed, and it could be feasible to combine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economics of education in a synthesizing way. This study identified research trend on educational efficiency as the target of meta-analytic approach and reviewed "meta-analysis" as a methodology. In addition, previous efforts to combin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in the filed of economics of education were introduced. And finally, it handled newly revised meta-analytic method and explored the adaptability of meta-analysis to economics of education research area.

      • KCI등재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이용유무에 따른 신용카드 이용자의 신용관리역량 차이

        이희숙(Heesook Lee),곽민주(Minjoo Gwag) 한국FP학회 201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1 No.2

        본 연구는 신용카드 이용자가 자신의 신용을 잘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신용카드 이용자를 대상으로 신용관리역량 수준을 측정하고 부족한 점을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또한 많은 금융소비자가 사용하고 있는 신용정보보호서비스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6대 광역시 거주자 중 물품을 구매할 때 주로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소비자 1,600명(신용정보보호서비스 이용자 653명, 미이용자 947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21일∼8월 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용관리역량 중 신용관리태도 수준은 5점 리커트의 2.31점으로 신용카드 이용자는 신용 사용에 다소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즉,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외상 거래를 하는 것에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이용 유무에 따라서는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이용자가 미용자보다 신용 사용에 조금 더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신용관리역량 중 신용관리지식 수준은 9개의 문항(0점~9점의 분포)을 통해 측정한 결과 6.71점이었으며,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이용자가 미이용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신용관리지식 수준을 보였다. 셋째, 신용관리역량 중 신용관리기능 수준은 5점 리커트의 3.38점으로 ‘보통’(3점)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을 보였다.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이용자가 미이용자에 비해 ‘나는 할부로 물건을 구매할 때 할부수수료율과 할부기간 등을 참고하여 할부수수료를 계산할 수 있다’ 문항에서만 상대적으로 높은 기능 수준을 보였다. 넷째, 신용카드 이용자의 신용관리역량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하위영역 점수는 신용관리지식(74.52점) > 신용관리태도(67.31점) > 신용관리기능(59.41점)의 순으로 나타나 신용관리에 대한 지식은 높지만 그에 비해 행동이나 실천으로 옮기는 역량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모두 합산한 신용관리역량 점수는 67.08점으로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용정보보호서비스가 신용관리역량과 그 하위영역인 태도, 지식,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신용정보보호서비스 이용자가 미이용자보다 신용관리역역량, 태도, 지식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용정보보호서비스가 신용관리를 하는데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신용정보보호서비스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어 제공하는 서비스별로 세분화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evel of credit management competency for credit card users so that they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manage their own credit. In addition, we want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s used by many financial consum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ly 21 ~ August 2, 2016 with 1,600 subjects (653 users and 947 non-users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redit management attitudes was 2.31 out of 5 on a Likert-type scale, reflecting a somewhat conservative attitude in using credit. The user group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s was more likely to be allowable than the non-users. Second, the level of credit management knowledge was 6.71 out of 9, and the user group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s was lower than the non-users. Third, the level of credit management skills was 3.38 out of 5 on a Likert-type scale, and the user group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s was higher than the nonusers only in the question ‘I can calculate installment commission based on installment period and interest rate when I buy goods and services.’ Fourth, credit management competency of credit card users was 67.07 out of 100, and 74.54 for credit management knowledge, 67.31 for credit management attitudes, and 59.41 for credit management skill as subcategories of credit management competency. Fifth, the factor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credit management competency of credit card users. That is, the credit management competency of the user group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user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not able to investigate in detail the service provi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servi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희숙(Lee, Heesook),정제영(Chung, Jae Young),장수연(Jang, Suyeon),장선희(Jang, Seonhee),김재령(Kim, Jaerye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1패널의 6차년도 자료(n=1,768)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일수록, 독서시간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일수록, 학교생활의 적응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다문화 수용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논의사항은 첫째, 적절한 부모의 관심과 보살핌을 받은 아동의 다문화 수용도가 높으므로,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나 가정문제에 대한 상담서비스가 적극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는 다문화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어야 하고, 성차를 반영한 다문화 교육이나 다문화 가정과의 교류 시간 등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비교과 활동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교육정책은 초등학생의 타 문화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높이고 사고와 인식 체계를 폭넓게 하는 독서 활동을 장려하며 학교 교육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상호이해능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공감과 배려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다문화 학생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다문화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 역량을 강화시키고, 학생 간 문화의 이해도를 높이는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Drawing on data from the sixth wave of the elementary school year 1 panel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elementary students’ level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Gender(female), reading time, self-esteem, multi-cultural family, adaptation level to school life, and level of local community consciousness positively affect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students. On the other hand, parents’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s negatively affect it. These findings imply the following: First, counseling services for parental education or family problems should be provided. Second, school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issu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multi-cultural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at school into accounts. Additionally, there is a real need to operate practical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raise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adopted to encourage more reading activities. Furthermore, students’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should be promoted through school based education programs.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ll students, including multi-cultural students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